$\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돼지풀이 작물과 잡초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Allelopathy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folia var. elatior) o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rops and Weeds 원문보기

한국잡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v.30 no.1, 2010년, pp.34 - 42  

최봉수 (국립식량과학원) ,  송득영 (국립식량과학원) ,  김충국 (국립식량과학원) ,  송범헌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우선희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이철원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돼지풀의 추출물에 의한 잡초의 발아와 토양혼입에 따른 작물 및 잡초의 초기생육을 조사하였다. 돼지풀의 잎 추출물은 줄기 및 뿌리 추출물보다 잡초의 발아를 억제시켰으며, 5%농도에서 돌피, 바랭이 및 금방동사니의 발아율은 각각 23.0, 19.5 및 9.2%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68.3, 74.7 및 87.3% 억제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돼지풀의 혼입에 의한 작물과 잡초의 출아율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출아 억제효과는 돌피보다 바랭이와 금방동사니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돼지풀의 혼입은 콩과 옥수수의 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돼지풀의 잎 혼입량이 5%까지 증가함에 따라 돌피, 바랭이, 금방동사니의 초장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48, 63 및 66% 억제되었다. 돼지풀 혼입에 따른 잡초의 생육으로 돌피, 바랭이 및 금방동사니의 건물중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72, 78 및 71% 억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etitive ability, allelopathy, made the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 one of the most dangerous weeds in Korea.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role of common ragweed as test species under laboratory bioassay and glasshouse conditions. Inhibition effect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allelopathy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주변 식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돼지풀 잔유물이 다른 식물의 발아 및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험하였다.

가설 설정

  • 2)Values in a column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0.05 probability lev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돼지풀은 무엇인가? 돼지풀(Ambrosia artemisifolia var. elatior)은 북미 원산의 국화과 1년생 초본 식물로 1950년대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표적인 귀화식물이다(이 2002). 8~9월에 개화하고 9~10월에 결실하는 돼지 풀은 자생식물의 생장을 억제할 뿐만아니라 개화기에 발생하는 꽃가루에 의해 알레르기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식물로서(Gergen 등 1987), 1999년 1월 자연환경보전법 규정에 의하여 생태계 위해 외래식물로 단풍잎돼지풀과 함께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정․고시되었다(환경부 1999).
돼지풀이 개화하는 시기는? elatior)은 북미 원산의 국화과 1년생 초본 식물로 1950년대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표적인 귀화식물이다(이 2002). 8~9월에 개화하고 9~10월에 결실하는 돼지 풀은 자생식물의 생장을 억제할 뿐만아니라 개화기에 발생하는 꽃가루에 의해 알레르기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식물로서(Gergen 등 1987), 1999년 1월 자연환경보전법 규정에 의하여 생태계 위해 외래식물로 단풍잎돼지풀과 함께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정․고시되었다(환경부 1999).
돼지풀이 확산되고 있는 이유는? 돼지풀은 고약한 냄새를 지녀 초식동물이 전혀 먹지 않아 자연방제가 어려우며(이 1980), 높은 번식력과 다른 식물과의 경합에서 우위를 점하기 때문에 경작지 및 비경작지에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Bruckner 등 2003; Perry 등 2009). 생태계에서 어느 특정식물이 우점하는 것은 다른 식물의 생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allelopathy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Bhowmik와 Doll 1984; Rice 1984; Baldwin과 Callahan 1993), 이들 억제물질 (allelochemical)은 식물의 세포분열, 단백질 합성 및 광합성 작용을 억제하거나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변화시켜 주변 식물 종의 생육을 저해한다(Blevins 등 1971; Whittaker와 Feeny 1977; Putnam 19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건우, 김순영. 2005. 국내 자생식물 추출물의 살초 및 살균활성. 한국잡초학회지 25:221-232. 

  2. 김성문. 2006. 국내 자생 살초활성 식물종의 탐색. 한국잡초학회지 26:225-245. 

  3. 김해수, 김종희. 2001. 돼지풀 잎의 휘발성 물질이 수용체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알레로파시 효과. 한국생태학회지 24:61-66. 

  4.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1988.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5. 안종웅, 최정섭, 조광연. 1989. 천연에서부터 제초활성물질의 탐색. 한국잡초학회지 9:76-79. 

  6. 유창연, 전인수, 정일민, 허장현, 김이훈. 1995. 잡초와 작용에 대한 알팔파 잔유물의 Allelopathy 효과. 한국잡초학회지 15:131-140. 

  7. 이영노. 2002. 원색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p. 782. 

  8.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 733. 

  9. 최용수, 홍기찬, 남재작, 임정은, 이현용, 최용범, 주진호, 양재의, 옥용식. 2009. 벼 재배시 유채의 녹비환원에 따른 잡초발생 억제효과. 한국잡초학회지 29:39-45. 

  10. 환경부. 1999. 환경백서. 남형문화(주). pp. 272-274. 

  11. Anderson, J. M., and J. S .I. Ingram. 1993. Tropical soil biology and fertility:A handbook of Methods. Second Edition.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pp. 221. 

  12. Baldwin, I. T., and P. Callahan. 1993. Autotoxicity and chemical defense:nicotine accumulation and carbon gain in solanaceous plants. Oecologia 94:534-541. 

  13. Beres, I., G. Kazinczi and S. S. Narwal. 2002. Allelopathic plants. 4. Common ragweed (Ambrosia elatior L. Syn A. artemisiifolia), Allelopath. J. 9:27-34. 

  14. Bhowmik, P. C., and J. D. Doll 1984. Allelopathic effects of annual weed residues on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corn and soybeans. Agron. J. 76:383-388. 

  15. Blevins, R. L., D. Cook, S. H. Phillips and R. E. Phillips. 1971. Influence of no-tillage on soil moisture. Agron. J. 63:593-596. 

  16. Bruckner, D. J. 1998. The allelopathic effect of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L.) on the germination of cultivated plants. Novenytermeles 47:635-644. 

  17. Bruckner, D. J., A. Lepossa and Z. Herpai. 2003. Inhibitory effect of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L.)- inflorescence extract on the germination of Amaranthus hypochondriacus L. and growth of two soil algae. Chemosphere 51:515-519. 

  18. Choi, B., M. Ohe, J. Harada and H. Daimon. 2008. Role of belowground pans of green manure legumes, Crotalaria spectabilis and Sesbania rostrata, in N uptake by the succeeding tendergreen mustard plant. Plant Prod. Sci. 11:116-123. 

  19. Choi, B., and H. Daimon. 2008. Effect of hairy vetch incorporated as green manure on growth and N uptake of sorghum crop. Plant Prod. Sci. 11:211-216. 

  20. Gergen, P. J ., P. C. Turkeltaub and M. G. Kovar. 1987. The prevalence of allergic skin test reactivity to eight common aeroallergens in the U.S. population : results form the secon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Allergy Clin. Immunol. 80:669-679. 

  21. Gleissman, S. R. 1983. Allelopathic interactions in management. J. Chem. Ecol. 9:991-999. 

  22. Liebman, M., and A. S. Davis. 2000. Integration of soil, crop and weed management in low-external-input farming systems. Weed Res. 40:27-47. 

  23. Liebman, M., and D. N. Sundberg. 2006. Seed mass affects the susceptibility of weed and crop species to phytotoxins extracted from red clover shoots. Weed Sci. 54:340-345. 

  24. Miller, D. A. 1983. Allelopathic effects of alfalfa. J. Chem. Ecol. 9:1059-1072. 

  25. Nakahisa, K., E. Tsuzuki and T. Mitsumizo. 1993. Study on the allelopathy of alfalfa (Medicago saliva L.) : I. Observation of allelopathy and survey for substances inducing growth inhibition. Jpn. J. Crop Sci. 62:294-299. 

  26. Perry, L. G., S. A. Cronin and M. W. Paschke. 2009. Native cover crops suppress exotic annuals and favor native perennials in a greenhouse competition experiment. Plant Ecol. 204:247-259. 

  27. Petersen, J., R. Belz, F. Walker and K. Hurle. 2001. Weed suppression by release of isothiocyanates from turnip-rape mulch. Agron. J. 93:37-43. 

  28. Putnam, A. R. 1985. Allelopathic research on agriculture : Past highlights and potential. Am. Chem. Soc., Washington D.C. pp. 1-8. 

  29. Rice, E. L. 1984. Allelopathy. 2nd ed. Academic Press. New York. 

  30. Shetty, K. G., K. Jayachandran, K. Quinones, K. E. O'Shea, T. A. Bollar and M. R. Norland. 2007. Allelopathic effects of ragweed compound thiarubrine-A on Brazilian pepper. Allelopath. J. 20:371-378. 

  31. Yun, K. W., and M. A. Maun. 1997. Allelopathic potential of Artemisifolia campestris ssp. coudata on lake Huron sand dunes. Can. J. Bot. 75:1903-1912. 

  32. Whittaker, D. C., and P. P. Feeny. 1977. Allelochemicals : chemical interactions between species. Science 171:757-7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