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원문보기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v.14 no.3, 2010년, pp.781 - 793  

이봉환 (대전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및 모바일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u-Healthcare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u-Healthcare 시스템은 댁내의 무선 센서네트워크, 원격지에 위치하는 헬스케어센터 및 센싱한 생체선호를 헬스케어 센터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3 채널 ECG센서, 맥박산소 농도계, 혈압 센서 등 세 가지의 센서를 이용하였다. 각 센서는 mote에 탑재되어 있으며, mote는 센성된 생체신호를 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베이스 노드로 전송한다. 베이스 노드는 수신한 신호를 헬스케어 센터로 보내게 되고 헬스케어센터는 이 선호를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처리한다. 처리된 결과를 표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 적절한 처방을 환자에게 SMS 또는 웹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환자는 주기적으로 자선의 건강을 체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경증의 건강상의 문제로부터 자신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owing to the development of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ny studies on healthcare system are being carried out.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 mobile u-Healthcare system based on sensor network. The u-Healthcare system is composed of...

주제어

참고문헌 (22)

  1. 남상엽, 이강현, 디지털 컨버전스를 위한 유비쿼터스 공학, pp.111-274,상학당, 2008. 

  2. I.Y. Chen, C.H. Tsai, "Pervasive Digital Monitoring and Transmission of Pre-Care Patient Biostatics with an OSGi, MOM and SOA Based Remote Health Care System," In Proc. of the Sixth Annual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vasiv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pp.704-709, 17-21 March 2008. 

  3. 통계청, 2007 고령자 통계, pp.2-22, 2007. 

  4. 강성욱, 이성호, "u-Health의 경제적 효과와 성장전략", 삼성경제연구소, pp.i-iii, 2007. 

  5. J. Y. Jung and J. W. Lee, "Zigbee Device Access Control and Reliable Data Transmission in Zigbee Based Health Monitoring System," ICACT, pp.795-797, Feb. 2008. 

  6. Toshiyo Tamura, Takahiro Kawada and Masaki Sekine, "The home health care with th ad-hoc network system," pp.307-310, SICE, Sept. 2007. 

  7. Philipp Steurer and Mani B. Srivastava, "System Design of Smart Table," In Proc.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vasiv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PerCom 2003), March 2003. 

  8. L.E. Holmquist, F. Mattern, B. Schiele, P. Alahuhta, M. Beigl and H.W. Gellersen. "Smart-Its Friends: A Technique for Users to Easily Establish Connections between Smart Artefacts," In Proc. of UBICOMP 2001, Atlanta, GA, USA, Sept. 2001. 

  9. 김진태, "REID와 ZigBee를 이용한 u-Health 시스템구현과 망 최적화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 제43권 TC편 제1호, pp.79-88, 2006.06. 

  10. Mao-Cheng Huang, Jyun-Ciang Huang, Jing-Cyun You, Gwo-Jia Jong, "The Wireless Sensor Network for Home-Care System Using ZigBee," In Proc. of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Information Hiding and Multimedia Signal Processing 2007. IIHMSP 2007. Volume l,pp.643 - 646, 26-28 Nov. 2007. 

  11. Safaric S., Malaric K., "ZigBee wireless standard," In Proc. of 48th International Symposium ELMAR-2006 on Multimedia Signal Processing and Communications, pp. 259-262, June 2006. 

  12. 송미순 외 4명,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pp.68-239, 2001. 

  13. 김수진 외 5명, "산소포화도 측정을 위하 신호처리 방법 및 계산 알고리즘", 한국광학회지 제11권6호, pp.452-456, 2000. 12. 

  14. 옥상훈, Adobe 플렉스2, 에이콘, 2007. 

  15.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응급구조와 응급처치, 군자출판사, 2005. 

  16. 전국응급구조학과교수협의회, 응급환자평가, 한미의학, 2007. 

  17. Smart Kindergarten Project, http://nesl.ee.ucla.edu/projects/smartkg/ 

  18. Smart Its Project, http://www.smart-its.org/ 

  19. B. Brumitt et al., "EasyLiving: Technologies for Intelligent Environments," In Proc. of the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Handheld and Ubiquitous Computing, pp.12-29, Bristol, UK, September 2000. 

  20. MobiHealth Project,http://www.mobihealth.otg! 

  21. Code Blue Project, http://fiji.eecs.harvard.edu/CodeBlue 

  22. UbiMon Project, http://www.ubimon.ne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