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앱을 이용한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obile Healthcare System using Hybrid App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17 no.2, 2013년, pp.503 - 514  

조양현 (삼육대학교 컴퓨터학부) ,  김성완 (삼육대학교 컴퓨터학부) ,  정필성 (광운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바일 헬스케어정보 통신 기술과 바이오 기술을 융합하여 언제 어디서나 건강과 생활을 관리하고자 하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서는 생체신호 계측 기술인 WBAN과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이 필수적이다. 통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플랫폼의 특성상 호환성 부재로 해당 플랫폼에 맞게 재개발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플랫폼의 이질성을 극복하고 다양한 모바일 장치와의 호환성을 가진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앱을 기반으로 게이트웨이 기능과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센서를 이용한 센서 구성 부분,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바일 구성 부분,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구성 부분, 측정된 생체 데이터 축적 및 관리를 목적으로 구성된 서버 구성 부분으로 나누어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bile Healthcare is a new type of health care services for managing health and life irrespective of time and space by uniting IT and BT. For this service bio-signal measurement using WBAN, and data analysis and monitoring technologies based on mobile devices are essential. Generally, however, mob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플랫폼의 이질성을 극복하고 다양한 모바일 장치의 호환성을 가진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이브리드 앱을 기반으로 게이트웨이 기능과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하이브리드 앱은 HTML5를 통해 동작하기 때문에 별도의 소스코드 수정이 없이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구현이 가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헬스케어를 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은 무엇인가? 모바일 헬스케어는 정보 통신 기술과 바이오 기술을 융합하여 언제 어디서나 건강과 생활을 관리하고자 하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서는 생체신호 계측 기술인 WBAN과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이 필수적이다. 통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플랫폼의 특성상 호환성 부재로 해당 플랫폼에 맞게 재개발해야 한다.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는 어떤 환경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가?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는 환자의 신체 내외에 부착된 센서를 통하여 습득한 생체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통합 환경을 기반으로 하고있다. 또한 의료 정보의 보안 유지를 위하여 별도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받은 이용자만이 환자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는 무엇인가? 모바일 헬스케어는 생체 신호 계측, 자동 진단, 응급 경보 등이 가능한 무선 생체계측 시스템과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를 말한다. 모바일 헬스케어를 이용하면 기존의 병원정보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진료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환자의 임상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진료 효율을 증대 시키고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조위덕, 허익현, 이찬호, 스마트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트렌드, 진한엠엔비, 2012. 

  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ependent Population," OECE factbook 2011-2012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tatics, pp. 16-17, 2010. 

  3. J.M.L.P. Caldeira, J.J.P.C. Rodriguess, P. Lorenz, "Toward Ubiquitous Mobility Solutions for Body Sensor Networks on HealthCare,"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50, No. 5, pp. 108-115, 2012. 

  4. N. Park, M. Lee, D. Han, C. Cho, J. Cho, "A Mobile Healthcare Questionnaire Service Framework using Composite Web Services," e-health Networking, Applications and Service, pp.8-12, July. 2008. 

  5. A. Boukerche, Y. Ren, "A Secure Mobile Healthcare System using Trust-Based Multicast Scheme,"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Vol. 27, No. 4, pp. 387-399, 2009. 

  6. S. Sultan, P. Mohan, "How to Interact: Evaluating the Interface between Mobile Healthcare Systems and the Monitoring of Blood Sugar and Blood Pressure," Mobile and Ubiquitous Systems: Networking & Services, MobiQuitous, pp. 1-6, 2009. 

  7. 남홍순 외 2인, "WBAN 응용서비스 동향,"전자통신동향분석, 제24권, 5호, pp.109-118, 10월, 2009. 

  8. Rossi Kamai, Choong Seon Hong, "Mobile Middleware for Body Sensor Network: A Grid Approach,"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 37 권, 2호(B), pp.165-168, 11월, 2010년. 

  9. 김국현 외 4인, "HTML5 기반 모바일 서비스 모니터링 도구 설계," 한국정보과학회지, 제37권, 2호 (C), pp.133-138, 11월, 2010년. 

  10. 이고은, 이종우, "스마트폰 상에서의 웹 응용프로 그램 개발 환경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0권, 12호, pp.155-163, 12월, 2010년. 

  11. PhoneGap, http://www.phonegap.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