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벼 이앙시기별 및 벼 품종별 줄무늬 잎마름병 발생 및 벼 수량에 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줄무늬 잎마름병 발생이 심한 경우 간장, 수장, 이삭수, 수당입수, 등숙율 등이 매우 낮아서 정상주에 비교하여 64%의 감수를 보였다. 2. 벼 이앙시기별 발병률은 5월 30일 > 6월 15일 > 7월 1일 순으로 나타났고, 발병률이 높은 상습 발병지나 감수성 품종의 경우는 이앙시기를 6월 15일 이후로 정하는 것이 줄무늬 잎마름병에 대한 병 발생률을 줄이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3. 벼 줄무늬 잎마름병 저항성 품종으로는 화영벼, 온누리, 일미벼, 남평벼, 동진2호, 호품벼, 황금누리, 말그미, 새누리, 풍미1호, 해찬물결, 황금노들, 칠보벼, 동진벼, 영안벼, 주남벼, 삼광벼, 낙동벼 등 총 18개 품종이었으며, 감수성 품종으로는 오대벼, 운광벼, 신운봉1호, 만나벼, 호평벼, 보라미, 다미벼, 왕찰벼, 설갱벼, 백진주벼, 농림6호, 사사니시끼, 유니시까리, 청무벼, 동진1호, 흑남벼, 구로마이, 상해항혈나, 흑찰벼, 흑향벼, 아랑향찰벼 등 총 21개 품종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occurrence rate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under different rice transplanting time and different rice cultivars. After final harvest, the yield of rice infected by rice stripe virus was obtained on Wangchal cultivar compared to uninfected rice. Th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벼줄무늬 잎마름병의 보완대책으로는 병 저항성 품종재배라고 할 수 있다(이와 김, 1968). 이러한 이유 때문에 본 시험은 전라남도 장흥군 예찰답에서 양질의 다수 품종으로 친환경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다양한 벼 품종을 포장에서 조사하였다(Table 3, Table 4). 그 결과 저항성 품종으로는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답작 시험포장 내에서 화영벼, 온누리, 일미벼, 남평벼, 동진2호, 호품벼, 황금누리, 말그미, 새누리, 풍미1호, 해찬물결, 황금노들, 칠보벼 등 13품종으로 조사되었고, 전라남도 장흥군 예찰답에서 동진벼, 영안벼, 주남벼, 삼광벼, 낙동벼등 5품종으로 총 18품종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 줄무늬 잎마름병은 우리나라 언제, 어디서 최초로 발병이 확인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 벼 줄무늬 잎마름병(縞葉枯病, Rice stripe disease)은 바이러스(Rice stripe tenui-virus; RSV)가 원인이 되는 병으로 1935년 낙동강주변 벼 재배농가에서 최초로 발병이 확인된 바이러스병으로(野賴久義, 1940) 별로 잘 알려지지 않은 병이었으나 1963~1965년 사이에 경남일대를 중심으로 남부지방에 많은 피해를 가져와 방제하기 어려운 문제의 벼 줄무늬 잎마름병으로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그 이후에는 병 발생이 다소 소강상태를 이루었으나 1972년부터 다시 병 발생이 되어 피해 농가가 많이 늘어났다.
벼 줄무늬 잎마름병의 방제법으로 애멸구에 대한 살충제를 살포하는데 큰 효과를 얻을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벼 줄무늬 잎마름병의 병원체는 바이러스로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EN)에 의해 매개(媒介) 전염된다(Kuribayashi, 1931). 그러므로 이 병에 대한 방제법은 살충제를 살포하여 간접적으로 방제하게 되는데 애멸구는 활동영역이 광범위하므로 한정된 지역만의 약제 살포만으로는 큰 효과를 얻을 수 없는 실정이다(정, 1973). 벼 재배양식에 따른 줄무늬 잎마름병 발생은 1모작 이앙답(5월 25일)과 담수직파시 병 발생률이 2모작 이앙 답보다 높았다고 했으며(노 등, 2006), 또한 위도별, 고도별 줄무늬 잎마름병 발생 조사결과 추청벼, 오대벼, 일품벼, 운광벼, 동진1호 등 감수성 품종에서 병 발생이 확인되었다 (이 등, 2008).
벼 줄무늬 잎마름병의 증가 원인은 무엇인가? 8배 증가한 추세였다. 벼 줄무늬 잎마름병의 증가 원인으로 겨울철 녹비작물과 조사료용 맥류재배로 인한 매개충인 애멸구의 기주범위 확대, 겨울철 온도 상승으로 인한 애멸구 월동 한계선의 북상 및 줄무늬 잎마름병에 약한 조생품종의 재배면적 확대 등으로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벼 안전 다수확의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이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노태환.이두구.심형권.박종철.최만영.강미형.김재덕.박진우. 2006. 재배양식에 따른 벼 줄무늬잎마름병 전염원인 애멸구의 밀도.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9(4): 488-490. 

  2. 이봉춘.윤영남.홍성준.홍연규.곽도연.이종희.여운상.강항원.황흥구. 2008. 벼 줄무 늬잎마름병의 발생 분석. 식물병연구 14(3): 210-213. 

  3. 이순형.김종희. 1968. 줄무늬잎마름병에 벼 품종의 저항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보호학회지 5(6): 47-53. 

  4. 임형기.차광홍.박인선. 1976. 줄무늬잎마름병 감염시기시험. 전남농시 1976: 569-571. 

  5. 정봉조. 1973. 벼 바이러스병의 발생현황과 방제대책. 한국식물보호학회지 12(4): 157-168. 

  6. 정봉조. 1974. 한국에서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 피해, 기주범위, 전염 및 방제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보호학회지 13(4): 181-204. 

  7. 野賴久義. 1940. 稻縞葉枯病の 發生に 就て. 朝農報. 14(10): 23-26. 

  8. Kuribayashi, K. 1931. On the relation between rice stripe disease and Delphacodes striatellus Fallen. Journal of Plant Protection, Japan 18: 565-6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