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 사용 환경의 사용자 초기 감성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Initial Stage of Emotion in Use Context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3 no.1, 2010년, pp.111 - 120  

이재화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  이건표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품 사용자의 감성 측정 연구에 있어서 제품을 처음 접하는 순간에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초기 감성의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감성은 사용자의 주관적인 평가를 토대로 하는 심리적 측정방법과 생리신호를 이용하는 생리적 측정방법, 그리고 행위적인 반응을 측정하는 행위적 측정방법이 있다. 하지만 각 측정방법들이 초기 감성 측정에 활용될 경우 여러 가지 한계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제품을 실제 접하는 환경에서의 초기 감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사용자의 초기 감성을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초기 감성 측정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고, 이에 부합하는 감성 측정 방법들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초기 감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초기 감성 측정 시스템(IEMS)을 제안하였다. 시선 추적 및 동공 크기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모바일 시선 추적 장비를 활용하였고, 행동 관찰을 위한 관찰 카메라와 음성 녹음을 위한 휴대용 음성 녹음기를 결합하여 생리적, 행위적 감성 반응이 측정 가능한 초기 감성 측정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제품을 접하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초기 감성을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itial stage of emo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building up product image and impression. Because of its influencing effects, measuring initial stage of emotion has potential to be a key factor for designers and marketers to achieve a distinct product concept. While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제품을 실제 접하는 환경에서의 감성 측정의 중요성을 밝혀 제품 사용 환경에서의 사용자 초기 감성 측정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용자 초기 감성 측정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기 위하여 초기 감성의 특징을 규명하고 기존 감성 측정 방법의 장단점 및 초기 감성 측정에 활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들을 파악하였다. 이런 문제점과 한계점들을 바탕으로 초기 감성 측정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초기 감성 측정 프로세스를 제시하였으며, 제안된 초기 감성측정 프레임워크에 부합하는 감성 측정 방법들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초기 감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초기 감성 측정 시스템(IEMS)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실제 제품 환경에서 사용자가 제품을 처음 접하는 순간 느끼는 초기 감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선 초기 감성을 정의하고 그 중요성을 밝혔다. 또한 제품을 실제 접하는 환경에서의 감성 측정의 중요성을 밝혀 제품 사용 환경에서의 사용자 초기 감성 측정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용자 초기 감성 측정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기 위하여 초기 감성의 특징을 규명하고 기존 감성 측정 방법의 장단점 및 초기 감성 측정에 활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들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실제 제품 환경에서 사용자가 제품을 처음 접하는 순간 느끼는 초기 감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선 초기 감성을 정의하고 그 중요성을 밝혔다. 또한 제품을 실제 접하는 환경에서의 감성 측정의 중요성을 밝혀 제품 사용 환경에서의 사용자 초기 감성 측정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하지만 이런 생리적 측정 방법은 거추장스러운 장비와 복잡한사용법으로 인해 디자인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기가 쉽지 않다. 셋 째, 실제 제품 환경에서의 측정이 어렵다. 제품을 처음 접할 때 느끼는 초기 감성은 실내 환경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에서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현 생리적인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장비는 외부 환경에서 활용되기가 쉽지 않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품 사용자의 감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제품 사용자의 감성 측정 연구에 있어서 제품을 처음 접하는 순간에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초기 감성의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감성은 사용자의 주관적인 평가를 토대로 하는 심리적 측정방법과 생리신호를 이용하는 생리적 측정방법, 그리고 행위적인 반응을 측정하는 행위적 측정방법이 있다. 하지만 각 측정방법들이 초기 감성 측정에 활용될 경우 여러 가지 한계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사용자초기 감성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이 모델은 제품 사용 전에 외형적 요소를 통해 일어나는 본능적 단계(Visceral Level)와 제품의 사용 과정에서 일어나는 행위적 단계(Behavioral Level)그리고 최종적으로 회상적인 인지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반성적 단계(Reflective Level)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 초기 감성은 제품 사용 전에 제품의 외형적인 요소를 통해 일어나는 본능적 단계(Visceral Level)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Norman, 2004). 위에서 제시된 개념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초기 감성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제품을 처음 접하는 순간 제품의 시각적 요소, 촉각적 요소, 청각적 요소를 통해서 느끼는 감성의 총체”로 정의할 수 있다.
인지 과정 모델의 단계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사용자 초기 감성의 개념을 제품에 대한 3단계 인지 과정 모델에 적용시켜 설명해 볼 수 있다. 이 모델은 제품 사용 전에 외형적 요소를 통해 일어나는 본능적 단계(Visceral Level)와 제품의 사용 과정에서 일어나는 행위적 단계(Behavioral Level)그리고 최종적으로 회상적인 인지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반성적 단계(Reflective Level)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 초기 감성은 제품 사용 전에 제품의 외형적인 요소를 통해 일어나는 본능적 단계(Visceral Level)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Norman, 2004). 위에서 제시된 개념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초기 감성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제품을 처음 접하는 순간 제품의 시각적 요소, 촉각적 요소, 청각적 요소를 통해서 느끼는 감성의 총체”로 정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이재화, 이건표 (2008). 제품 사용 환경의 사용자 초기 감성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연구, 2008 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 정상훈 (2007). 제품의 사용성이 사용자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박사학위논문. 

  3. Ambady, N., & Rosenthal, R. (1993). Half a minute: Predicting teacher evaluations from thin slices of nonverbal behavior and physical attractiv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3), 431-441. 

  4. Banse, R., & Scherer, K. R. (1996). Acoustic profiles in vocal emotion ex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614-636. 

  5. Bradley, M. M., & Lang, P. J. (2000). Measuring Emotion: behavior, feeling, and physiology, in cognitive neurosciences of emo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 Brave, S., & Nass, C. (2003). Emotion in HCI, The human-computer interaction handbook (pp. 81-96). Lawrence Erlbaum, Erlbaum. 

  7. Castellano, G., Kessous, L., & Caridakis, G. (2008). Emotion recognition through multiple modalities: Face, body gesture, speech, Affect and emotion in HCI. LNCS, 4868, 92-103. 

  8. Creusen, E. H., & Schoormans, P. L. (2005). The different roles of product appearance in consumer choice,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22(1), 63-81. 

  9. Cutrell, E., & Guan, Z. (2007). An eye-tracking study of information usage in Web search: Variations in target position and contextual snippet length. CHI 2007. 

  10. Davis, G. (2003). Prolonging the pleasure, Pleasure with products; beyond usability (pp. 315-319), Taylor & Francis. 

  11. Desmet, P. (2002). "Designing Emotions", Doctorial Thesis. 

  12. Iris, M., Robert, B., Loren, M., Frank, W., & James G. (1995). American physiological association, 5(2), 175-190. 

  13. Izard, C.E. (1977). Human Emotions. Plenum Press, New York. 

  14. Kuroshu, M., & Kashimura, K. (1995). Apparent usability vs. inherent usability, Proceedings of the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292-293. 

  15. Lang, P. J. (1980). Behavioral treatment and bio-behavioral assessment, Computer applications (pp. 119-137). Ablex publishing, greenwich. 

  16. Lindgaard, G. (2007). Austrian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ies and society, 5(1), 1-14. 

  17. Lindgaard, G., Fernades, G., Dudek, C., & Brown, J. (2006). Attention web designer: You have 50 milliseconds to make a good first impression, Behavioral & information technology, 25(2), 115-126. 

  18. Mahlke, S., & Minge, M. (2008). Consideration of multiple components of emotions in human-technology interaction. Affect and emotion in HCI, LNCS, 4868, 51-62. 

  19. Norman, D. (2004). Emotional Design(pp. 21-34). Basic Books. 

  20. Park, J. M., & Lee. K. P. (2007). Eyetrack-developing eyegaze analysis visualization software for designer's use, KEER2007, Sapporo, Japan, 10. 

  21. Poole, A., & Ball, L. J. (2004). Eye tracking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Usability Research: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People and computers-design for life, Proceeding of HCI 2004. 

  22. Russell, J. A. Affect Grid (1989). A single-item scale of pleasure and arousa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3), 493-502. 

  23. Schere, K. R. (2001). Appraisal processes in emotion: theory, methods, research(pp. 92-120).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