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주염이나 구취발생과 관련된 구강미생물에 대한 저출력레이저의 살균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Porphyromonas gingivalis 2561 (P. gingivalis 2561), Prevotella intermedia (Pr. intermedia)에 광감수성증가물질을 처리함으로써 실험균주의 광민감성을 증가시킨 후 저출력레이저 650nm의 파장을 연속적으로 1분, 2분, 3분, 5분간, 각각 1cm, 2cm, 3cm 거리에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 gingivalis 2561의 경우 Toluidine blue O(TBO) 처리 후 650nm의 파장으로 3cm의 거리에서 1분간 조사한 실험군은 TBO만 처리한 실험대조군에 비해 99.99% 이상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2. Pr. intermedia의 경우 TBO 처리 후 650 nm의 파장으로 3 cm의 거리에서 1분간 조사한 실험군은 TBO만 처리한 실험대조군에 비해 99.8% 이상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3. P. gingivalis 2561의 경우 TBO 처리 후 650 nm의 파장을 연속으로 각각 1분, 2분, 3분간 조사한 실험군의 경우 시간이 길어질수록 살균효과가 점차 증가되었다. 4. P. gingivalis 2561의 경우 조사거리가 1 cm, 2 cm, 3 cm으로 증가할수록 살균효과가 약간 감소되었다. 5. Pr. intermedia의 경우 조사거리가 1 cm, 2 cm, 3 cm으로 증가할수록 살균효과가 약간 감소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저출력레이저의 살균효과는 조사시간이 길어질수록, 조사거리가 짧을수록 살균효과가 증가되었는데, 살균효과가 가장 적게 나타난 3 cm의 거리에서 1분간 조사한 실험군에서도 TBO만 처리한 경우보다 99.8% 이상의 살균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저출력레이저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는 명백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photosensitizer의 부작용이 없는 한계 내에서 사용한다면 저출력레이저가 치주염, 임플란트주위염 등에 대한 보조적 치료와 구취조절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리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bacteriocidal effect of the Low Level Laser (LLL) against oral microorganisms which are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periodontal diseases and oral malodors. The Porphyromonas gingivalis 2561 (P. gingivalis 2561) and Prevotella intermedia (Pr. intermedia) were treated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저출력 레이저를 치의학 분야에 활용하고자, 치주염과 구취 발생에 관련된 Porph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등에 저출력 레이저를 조사하여 그 살균효과를 밝힘으로써 구강 내 질환자에 대한 우수한 치료, 또는 예방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려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점막은 어떤 기능을 하는가? 구강은 저작된 음식물을 위장관계에 전달하고 소화를 시작하며 연하를 위해 음식물을 부드럽게 하고, 코가 막혔을 때에는 호흡을 위한 기도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또한, 구강점막은 감각, 체온조절, 방어, 분비 등의 기능을 하며, 그 기능에 따라 저작점막, 피복점막, 특수점막 등으로 구분되어 피부와는 구조적으로 다른 몇 가지 차이점을 가지고 있어 구강의 면역체계를 형성하여 구강건강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11,12)
타액에 포함되어 있는 병원균이 유발하는 것은 무엇인가? 또한 그 중에는 질환을 일으키는 다양한 병원균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구취를 발생시키고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등의 질환을 일으켜 섭식기능에 장애를 일으키거나 통증을 유발하며 치아상실을 초래하기도 하며, 구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17,18)
저출력레이저가 가지고 있는 기능은 무엇인가? 최근 레이저는 고출력레이저와 저출력레이저가 각각 임상의 여러 분야에서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는데,33-41) 고출력레이저는 조직을 탄화시킴으써 암의 제거 등 복잡하거나 단순한 외과적 절제술이나 충치 제거 등에 사용되고 있고,33-35) Diode, He/Ne gas, GaAIAs 등의 종류가 있는 저출력레이저는 출력이나 파장에서도 다양하며, 그에 따라 용도도 다양하다. 저출력레이저는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창상치유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쉐그렌 증후군환자의 치료나 턱관절장애 환자에 있어서의 통증조절, 예민한 치아에 대한 처치, HSV 감염증에 의한 연조직 질환 등의 치료, 수술 후의 치유촉진을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36-39) 또한 레이저 도플러를 이용하여 신체표피의 혈액양과 흐름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치수를 진단하거나 혈행과 관련된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후 예후를 관찰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어,40-42)레이저는 향후 임상의학에서 매우 활용도가 높은 진단, 치료기기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Canaan TJ, Meehan SC. Variations of structure and appearance of the oral mucosa. Dent Clin North Am 2005;49(1):1-14. 

  2. Mackenzie IC, Binnie WH. Recent advances in oral mucosal research. J Oral Pathol 1983;12(6):389-415. 

  3. Griffin CJ. The fine structure of epithelial cells in normal and pathological buccal mucosa. IV. Interactions between epithelial cells, lymphocytes, and macrophages. Aust Dent J 1980;25(5): 284-294. 

  4. O'Brien WJ. Capillary Action Around Dental Structures. J Dent Res 1973;52:544-550. 

  5. Scardina GA, Ruggieri A, Messina P. Oral microcirculation observed in vivo by videocapillaroscopy: a review. J Oral Sci 2009 Mar;51(1):1-10. 

  6. Terakawa Y, Ichinohe T, Kaneko Y. Relationship between oral tissue blood flow and oxygen tension in rabbit. Bull Tokyo Dent Coll 2009;50(2):83-90. 

  7. Yojiro K, Toru H. Blood Circulation Response in Oral Soft Tissues and its Physiological Mechanisms. J Dent Res 1965;44;448. 

  8. Abiko Y, Saitoh M. Salivary defensins and their importance in oral health and disease. Curr Pharm Des 2007;13(30):3065-3072. 

  9. Gutner M, Chaushu S, Balter D, Bachrach G. Saliva enable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L-37 in the presence of proteases of Porphyromonas gingivalis. Infect Immun 2009;77(12):5558-5563. 

  10. Huq NL, Cross KJ, Ung M et al. A review of the salivary proteome and peptidome and saliva-derived peptide therapeu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Peptide Research and Therapeutics 2007;13(4):547-564. 

  11. Diamond G, Beckloff N, Ryan LK. Host defense peptides in the oral cavity and the lu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J Dent Res 2008;87(10):915-927. 

  12. Szpaderska AM, Zuckerman JD, DiPietro LA. Differential injury responses in oral mucosal and cutaneous wounds. J Dent Res 2003;82(8):621-626. 

  13. Walker DM. Oral mucosal immunology:an overview. Ann Acad Med Singapore 2004;33(4):27-30. 

  14. Leevesque C, Lamothe J, Frenette M. Coaggregation of Streptococcus salivarius with periodontopathogens: evidence for involvement of fimbriae in the interaction with Prevotella intermedia. Oral Microbiol Immunol 2003;18(5):333-337. 

  15. Leevesque C, Lamothe J, Frenette M. Coaggregation of Streptococcus salivarius with periodontopathogens: evidence for involvement of fimbriae in the interaction with Prevotella intermedia. Oral Microbiol Immunol 2003;18(5):333-337. 

  16. Rosan B, Lamont RJ. Dental plaque formation. Microbes Infect 2000;2:1599-1607. 

  17. 김각균. 구강질환에 대한 타액의 면역기능. 타액과 타액선 토론회 1995;38-41. 

  18. Welsh C. Complementary therapies in hospice care: touch with oils-a pertinent part of holistic care. Am J Hospice Palliat Care 1997;14(1):42-44. 

  19. Socransky SS, Haffajee AD, Cugini MA, Smith C, Kent RL Jr. Microbial complexes in subgingival plaque. J Clin Periodontol 1998;25:134-144. 

  20. Kornman KS, Loesche WJ.Effects of estradiol and progesterone on Bacteroides melaninogenicus and Bacteroides gingivalis. Infect Immun 1982;35:256-263. 

  21. Chu L, Bramanti TE, Ebersole JL, Holt SC. Hemolytic activity in the periodontopathogen Porphyromonas gingivalis: kinetics of enzyme release and localization. Infect Immun 1991;59:1932-1940. 

  22. Travis J, Pike R, Imamura T, Potempa J. Porphyromonas gingivalis proteinases as virulenc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eriodontitis. J Periodontal Res 1997;32:120-125. 

  23. Kesavalu L, Holt SC, Ebersole JL. Trypsin-like protease activity of Porphyromonas gingivalis as a potential virulence factor in a murine lesion model. Microb Pathog 1996;20:1-10. 

  24. Ashimoto A, Chen C, Bakker I, Slots J. Polymerase chain reaction detection of 8 putative periodontal pathogens in subgingival plaque of gingivitis and advanced periodontitis lesions. Oral Microbiol Immunol 1996;11:266-273 

  25. Boutaga K, Savelkoul PHM, Winkel EG, van Winkelhoff AJ. Comparison of subgingival bacterial sampling with oral lavage for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periodontal pathogens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J Periodontol 2007;78:79-86. 

  26. 김수성, 해경임. 침술 후 발생한 Pervotella intermedia/nigrescens에 의한 종격동염. 대흉외지 2000;33:440-444. 

  27. Guan SM, Shu L, Fu SM, Liu B, Xu XL, Wu JZ. Prevotella intermedia induces matrix metalloproteinase-9 expression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FEMS Microbiol Lett 2008;283(1):47-53. 

  28. Wilson M, Dobson J, Sarkar S. Sensitization of periodontopathogenic bacteria to killing by light from a low-power laser. Oral Microbiol Immunol 1993;8:182-187. 

  29. Haas R, Dortbudak O, Mensdorff-Pouilly N, Mailath G. Elimination of bacteria on different implant surfaces through photosensitization and soft laser. An in vitro study. Clin Oral Impl Res 1997;8:249-254. 

  30. Orhun D, Robert H, Thoas B, Georg MP. Lethal photosensitization for decontamination of implant surfaces in the treatment of peri-implantitis. Clin Oral Impl Res 2001;12:104-108. 

  31. Jamil AS, Marilia CM, Leticia HT et al. Lethal photosensitization in microbiological treatment of ligature-induced peri-implantitis: a preliminary study in dogs. J Oral Science 2003:45(1):17-23. 

  32. Ricardo RA. Hayek R, Ney S et al.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Efects of Photodynamic Therapy and Conventional Therapy on Microbial Reduction in Ligature-Induced Peri-Implantitis in Dogs. J Periodontol 2005;76(8):1275-1281. 

  33. Campos L, Simoes A, Sa PH, Eduardo Cde P.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of an oncological patient by laser phototherapy. Photomed Laser Surg 2009;27(2):371-374. 

  34. Ishikawa I, Aoki A, Takasaki AA. Clinical application of erbium:YAG laser in periodontology. J Int Acad Periodontol 2008;10(1):22-30. 

  35. van As G. Erbium lasers in dentistry. Dent Clin North Am 2004;48(4):1017-1059. 

  36. Simoes A, Platero MD, Campos L, Aranha AC, Eduardo Cde P, Nicolau. Laser as a therapy for dry mouth symptoms in a patient with Sjogren's syndrome: a case report. J Spec Care Dentist 2009;29(3):134-137. 

  37. Sicilia A, Cuesta-Frechoso S, Suarez A et al. Immediate efficacy of diode laser application in the treatment of dentine hypersensitivity in periodontal maintenance patient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 Clin Periodontol 2009;36(8):650-660. 

  38. Sperandio FF, Marotti J, Aranha AC, Eduardo Cde P. Photodynamic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recurrent herpes labialis: Preliminary results. Gen Dent 2009;57(4):415-419. 

  39. Carrasco TG, Mazzetto MO, Mazzetto RG, Mestriner W Jr. Low intensity laser therapy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a phase II double-blind study. Cranio 2008;26(4):274-281. 

  40. Akyol U, Gungormus M. The Effect of Low-Level Laser Therapy on Healing of Skin Incisions Made Using a Diode Laser in Diabetic Rats. Photomed Laser Surg 2009;15:50-55. 

  41. Jafarzadeh H. Laser Doppler flowmetry in endodontics: a review. Int Endod J 2009;42(6):476-490. 

  42. Verdonck HW, Meijer GJ, Kessler P, Nieman FH, de Baat C, Stoelinga PJ. Assessment of bone vascularity in the anterior mandible using laser Doppler flowmetry. Clin Oral Implants Res 2009;20(2):140-144. 

  43. Pejcic A, Kojovic D, Kesic L, Obradovic R. The Effects of Low Level Laser Irradiation on Gingival Inflammation. Photomed Laser Surg 2009;22:35-41. 

  44. de Almeida JM, Theodoro LH, Bosco AF, Nagata MJ, Bonfante S, Garcia VG. Treatment of experimental periodontal disease by photodynamic therapy in rats with diabetes. J Periodontol 2008;79(11):2156-21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