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임상적 증상이나 검사실 소견없이 구강점막에 나타나는 작열감을 말하며 중년이후 폐경기 여성에게 높은 발생율을 보인다.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보여지는 통증은 자발적이며 뚜렷한 악화요인을 보이고 있지 않다. 통증 유발과 관련해서 치과적 술식, 최근의 질환, 투약(항생제 요법)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작열감이 한 번 시작되면 수년간 지속된다. 대부분의 구강작열감 환자는 국소적 또는 전신적 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신경병리학적 활성화에서 기원되는 만성구강증상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정신학적 원인에 대한 역할은 아직은 명확하지 않다. 구강작열감의 신경학적 측면에 대하여 연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런 연구는 구강작열감에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가 관여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에 하나로 대두 되고 있는 것이 미각에서의 이상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supertaster의 존재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이는 미각과 유해수용성 기전에 상호작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즉 중추신경계에서 미각과 구강 통증 감각이 연결되어 있고 이것은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고삭신경, 설인신경수준에서 미각체계 변형에 의한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가 같이 상호 작용하여 구강작열감증후군을 발생시킴을 보여준다. 이에 본 저자는 만성구강통증으로 여겨지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유발하는 요인과 병태 생리를 고찰하여 환자의 진단과 원인 지향적인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rning mouth syndrome(BMS) is a chronic oral pain and a symptom complex disorder usually unaccomplished by mucosal lesion or other clinical and laboratory signs of organic disease. BMS is characterized by a spontaneous burning sensation that mainly affects middle-aged and postmenopausal wome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강 내에 작열감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론과 병태생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있어 원인지향적인 방향에서의 접근은 환자의 불편감과 통증을 좀 더 신속하고 수월하게 다룰 수 있게 한다.
  • 이에 본 저자는 만성구강통증으로 여겨지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유발하는 요인과 병태 생리를 고찰하여 환자의 진단과 원인 지향적인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작열감증후군이란?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임상적 증상이나 검사실 소견없이 구강점막에 나타나는 작열감을 말하며 중년이후 폐경기 여성에게 높은 발생율을 보인다.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보여지는 통증은 자발적이며 뚜렷한 악화요인을 보이고 있지 않다.
구강작열감증후군 누구에게 많이 나타내나?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주로 중년이후 폐경기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남녀 비율은 1:3 정도로 여자에게 우세하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평균 연령 55세에서 60세에 나타나며, 30세 이전에는 드물고 평균 2~3년의 지속 기간을 가진다.
구강내 burning mouth syndrome의 특징은? 작열감은 최소한 4개월에서 6개월 이상 지속되며, 구강작열감증후군으로 진단할 때에는 작열감의 정도와 부위에 따라 정의하며, 주로 혀에 나타나기 때문에 glossodynia, glossopyrosis, glossalgia와 같은 용어가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주로 burning mouth syndrome이란 용어를 선호하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구강내 작열감은 지속적이고 자발적이며, 환자는 불에 덴 것 같은 느낌이나 고춧가루를 뿌린 듯 한 얼얼한 감각을 호소한다. 작열감은 한곳이나 그 이상에서 시작되고 주로 혀의 전방 2/3, 경구개, 하순점막에서 많이 나타나고 안면피부는 보통 영향받지 않는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Drage LA, Rogers RS 3rd. Burning mouth syndrome. Dermatol Clin 2003;21(1):135-145. 

  2. Danhauer SC, Miller CS, Rhodus NL, Carlson CR. Impact of criteria-based diagnosis of burning mouth syndrome on treatment outcome. J Orofac Pain 2002;16(4):305-311. 

  3. Browning S, Hislop S, Scully C, Shirlaw P. The association between burning mouth syndrome and psychosocial disorder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7;64(2):171-174. 

  4. Lopez-Jornet P, Camacho-Alonso F, Andujar-Mateos P, Sanchez-Siles M, Gomez-Garcia F. Burning mouth syndrome : An update.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09 Dec 29 [Epub ahead of print]. 

  5. Klasser GD, Fischer DJ, Epstein JB. Burning mouth syndrome : recognition,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ral Maxillofac Surg Clin North Am 2008;20(2):255-271. 

  6. Abetz LM, Savage NW. Burning mouth syndrome and psychological disorders. Aust Dent J 2009;54(2):84-93. 

  7. Scala A, Checchi L, Montevecchi M, Marini I, Giamberardino MA. Update on burning mouth syndrome : overview and patient management. Crit Rev Oral Biol Med 2003;14(4):275-291. 

  8. 고명연, 장용석, 허준영, 안용우.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미각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6;31(4):275-281. 

  9. Grushka M, Epstein JB, Gorsky M. Burning mouth syndrome. Am Fam Physician 2002:65(4);615-20. 

  10. Patton LL, Siegel MA, Benoliel R, De Laat A. Manage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 systematic review and management recommendatio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3:S39.e1-13. 

  11. Maltsman-Tseikhin A, Moricca P, Niv D. Burning mouth syndrome : will better Understanding yield better management?. Pain Pract 2007;7(2):151-162. 

  12. Marino R, Capaccio P, Pignataro L, Spadari F. Burning mouth syndrome : the role of contact hypersensitivity. Oral Dis 2009;15(4):255-258. 

  13. Pinto A, Sollecito TP, DeRossi SS. Burning mouth syndrome - A retrospective analysi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N Y State Dent J 2003;69(3):18-24. 

  14. Granot M, Nagler RM. Association between regional idiopathic neuropathy and salivary involvement as the possible mechanism for oral sensory complaints. J Pain 2005;6(9):581-587. 

  15. Hershkovich O, Nagler RM. Biochemical analysis of saliva and taste acuity evaluation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xerostomia and/or gustatory disturbances. Arch Oral Biol 2004;49(7):515-522. 

  16. Ito M, Kurita K, Ito T, Arao M. Pain threshold and pain recovery after experimental stimulation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Psychiatry Clin Neurosci 2002;56(2):161-168. 

  17. Salort-Llorca C, Minguez-Serra MP, Silvestre FJ. Drug-induced burning mouth syndrome : a new etiological diagnosis.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08;13(3):E167-170. 

  18. Savage NW, Boras VV, Barker K. Burning mouth syndrome : clinical present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Australas J Dermatol 2006;47(2):77-81. 

  19. Lamey PJ, Freeman R, Eddie SA, Pankhurst C, Rees T. Vulnerability and presenting symptoms in burning mouth syndrom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5;99(1):48-54. 

  20. Woda A, Dao T, Christelle Gremeau-Richard. Steroid dysregulation and stomatodynia (burning mouth syndrome). J Orofac Pain 2009;23(3):202-210. 

  21. Heckmann SM, Heckmann JG, Hilz MJ et al. Oral mucosal blood flow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Pain 2001;90(3):281-286. 

  22. Lauria G, Majorana A, Borgna M et al. Trigeminal small-fiber sensory neuropathy causes burning mouth syndrome. Pain 2005;115(3):332-337. 

  23. Femiano F. Damage to taste system and oral pain : burning mouth syndrome. Minerva Stomatol 2004;53(9):471-8. 

  24. Forssel H, Jaaskelainen S, Tenovuo O, Hinkka S. Sensory dysfunction in burning mouth syndrome. Pain 2002;99:41-47. 

  25. Svensson P, Bjerring P, Arendt-Nielsen L, Kaaber S. Sensory and pain thresholds to orofacial argon laser stimul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burning mouth syndrome. Clin J Pain 1993;9(3):207-215. 

  26. Gao S, Wang Y, Wang Z. Assessment of trigemin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in burning mouth syndrome. Chin J Dent Res 2000;3(1):40-46. 

  27. Jaaskelainen SK, Rinne JO, Forssell H et al. Role of the dopaminergic system in chronic pain - a fluorodopa-PET study. Pain 2001;90(3):257-260. 

  28. Femiano F, Scully C. Burning mouth syndrome(BMS) : double blind controlled study of alpha-lipoic acid(thioctic acid) therapy. J Oral Pathol Med 2002;31(5):267-269. 

  29. Llewellyn CD, Warnakulasuriya S. The impact of stomatological disease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ur J Oral Sci 2003;111(4):297-304. 

  30. Trombelli L, Zangari F, Calura G.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patients with the burning mouth syndrome. Minerva Stomatol 1994;43(5):215-221. 

  31. Formaker BK, Frank ME. Taste function in patients with oral burning. Chem Senses 2000;25(5):575-581. 

  32. Albuquerque RJ, de Leeuw R, Carlson CR, Okeson JP, Miller CS, Andersen AH. Cerebral activation during thermal stimulation of patient who have burning mouth disorder : and MRI study. Pain 2006;122(3): 223-2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