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senchymal chondrosarcoma is very aggressive and represents approximately 1% of all chondrosarcomas. While it affects a very wide age range, the peak frequency is in the second decade of life. It may occur in the head and rib region with a predilection for the maxillofacial skeleton. The small cel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Fig. 13) 현재까지 특이할 만한 사항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엽성 연골육종의 가장 흔한 임상 증상은? 주로 10대 또는 20대에 발병하고, 안면골과 늑골 내에서 주로 발생하며, 이환된 병소 부위 중 안면부에서 발생빈도가 25-30%로 가장 높다1,2,4,5. 간엽성 연골육종의 1/3-1/4은 연조직에서 발생하기도 하며, 가장 흔한 임상 증상으로는 종창과 통증이 단시간 동안 발생하며2-5, 방사선학적으로는 내부에 점상의 석회화상을 가진 침윤적인 경계의 방사선 투과성 병소를 보인다. 조직학적으로는 혈관 분포가 풍부하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혈관주위세포종과 감별진단이 필요하다1-3.
종양과 감별진단을 요하는 질병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종양 내에서의 연골 형성이 간엽성 연골육종만의 특징은 아니며, 연골 형성이 결여될 수도 있다. 종양과 감별진단을 요하는 질병으로는 Ewing’s sarcoma, 주위성 유암종, 활막육종, 혈관주위세포종과 횡문성 육종이 있으며,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소견으로 이들 질환과 구별하기는 매우 어렵다1,6,13. 소세포형 상피성 신생물에서는 CD45와 같이 상피의 세포 케라틴에 대한 면역학적 진단이 다른 질환과 감별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간엽성 연골육종은 주로 어디에서 발생하는가? 간엽성 연골육종은 연골육종 중 매우 높은 전이도와 공격적 성향을 가지는 악성 종양으로, 전체 연골육종 중 1%를 차지한다1-3. 주로 10대 또는 20대에 발병하고, 안면골과 늑골 내에서 주로 발생하며, 이환된 병소 부위 중 안면부에서 발생빈도가 25-30%로 가장 높다1,2,4,5. 간엽성 연골육종의 1/3-1/4은 연조직에서 발생하기도 하며, 가장 흔한 임상 증상으로는 종창과 통증이 단시간 동안 발생하며2-5, 방사선학적으로는 내부에 점상의 석회화상을 가진 침윤적인 경계의 방사선 투과성 병소를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uller S, Soder S, Oliveira AM, Inwards CY, Aigner T. Type II collagen as specific marker for mesenchymal chondrosarcomas compared to other small cell sarcomas of the skeleton. Mod Pathol 2005;18:1088-94. 

  2. Pellitteri PK, Ferlito A, Fagan JJ, Suarez C, Devaney KO, Rinaldo A. Mesenchymal chondrosarcoma of the head and neck. Oral Oncol 2007;43:970-5. 

  3. Aigner T, Loos S, Muller S, Sandell LJ, Unni KK, Kirchner T. Cell differentiation and matrix gene expression in mesenchymal chondrosarcomas. Am J Pathol 2000;156:1327-35. 

  4. Aziz SR, Miremadi AR, McCabe JC. Mesenchymal chondrosarcoma of the maxilla with diffuse metastasis: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J Oral Maxillofac Surg 2002;60:931-5. 

  5. Crawford JG, Oda D, Egbert M, Myall R. Mesenchymal chon drosarcoma of the maxilla in a child. J Oral Maxillofac Surg 1995;53:938-41. 

  6. Zakkak TB, Flynn TR, Boguslaw B, Adamo AK. Mesenchymal chondrosarcoma of the mandible: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Oral Maxillofac Surg 1998;56:84-91. 

  7. Dantonello TM, Int-Veen C, Leuschner I, Schuck A, Furtwaengler R, Claviez A, et al. Mesenchymal chondrosarcoma of soft tissues and bone in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experiences of the CWS and COSS study groups. Cancer 2008;112:2424-31. 

  8. Knott PD, Gannon FH, Thompson LD. Mesenchymal chondrosarcoma of the sinonasal tract: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13 case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Laryngoscope 2003; 113:783-90. 

  9. Christensen RE Jr. Mesenchymal chondrosarcoma of the jaw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2;54:197-206. 

  10. Ceylan A, Kagan Degerliyurt M, Celenk F, Ata¸c MS, Sabri Uslu S. Haemangiopericytoma of the hard palate. Dentomaxillofac Radiol 2008;37:58-61. 

  11. Gadwal SR, Fanburg-Smith JC, Gannon FH, Thompson LD. Primary chondrosarcoma of the head and neck in pediatric patients: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14 case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Cancer 2000;88:2181-8. 

  12. Dunfee BL, Sakai O, Pistey R, Gohel A. Radiologic and 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of the mandible. Radiographics 2006;26:1751-68. 

  13. Berk R, Heller A, Heller D, Schwartz S, Klein EA. Ewing's sarcoma of the mandible: a case repor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5;79:159-62. 

  14. Folpe AL, Hill CE, Parham DM, O'Shea PA, Weiss SW.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FLI-1 protein expression: a study of 132 round cell tumors with emphasis on CD99-positive mimics of Ewing's sarcoma/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Am J Surg Pathol 2000;24:1657-62. 

  15. Acio?glu E, Cansiz H, Mercan H, Derv¸iso?glu S. Head and neck hemangiopericytomas: diagnostic contradictions. J Craniofac Surg 2009;20:93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