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증록(辨證錄)" 권지이(卷之二)의 중풍(中風), 비증(痹證), 심통(心痛), 협통(脇痛), 두통(頭痛), 복통(腹痛), 요통(腰痛)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wind stroke, impediment disease, heart pain, side pain, headache, abdominal pain, lumbago in the "Byun Jeung Rok(辨證錄)" vol.II 원문보기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informatics, v.16 no.2, 2010년, pp.89 - 161  

이귀인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  박동석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금경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un Jeung Rok(辨證錄)" is composed of 14 volumes. In relation to the contents, it is organized into 126 gates(門) and 700 remaining syndromes(餘證) where internal medicine, external medicine, pediatrics, gynecology(內科 外科 小兒 婦人), etc. are divided into sub-sections of cold damage, cold stroke, wind strok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陳士鐸의 自號는 무엇인가? 陳士鐸은 淸代 初期 醫學家로서, 字는 ‘敬之’, 號는 ‘遠公’, 別號는 ‘朱華子’, 自號는 ‘大雅堂主人’이다. 그의 生卒年月은 자세히 詳考할 수 없으며, 正史에도 記載되어 있지 않다.
辨證錄·凡例에 기록된 陳士鐸의 生卒年代를 추측할 수 있는 단서가 되는 문구는? 그의 生卒年月은 자세히 詳考할 수 없으며, 正史에도 記載되어 있지 않다. 嘉廉 八年 『山陰縣志』의 記錄에 의하면 80歲에 卒하였으며, 『辨證錄·凡例』에 스스로 “내 나이 60을 넘어 精神이 흐려져 두 스승께서 나에게 傳授하신 말씀을 부끄럽게도 잘 기억하지 못하여 辯論하신 것을 잊을까 걱정스럽다. 혹 未備한 점이 많지만 뜻을 함께 하는 사람들이 나에게 가르침을 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는데, 두 스승이 陳 士鐸에게 傳授한 時期는 『自序』에 따르면 康熙丁酉 가을로서 西紀 1687年이다.
현재 남아있는 그의 著書 중 光緖年間에 가장 늦게 나온 책은? 현재 남아있는 그의 著書로는 『石室秘 錄』, 『辨證奇聞』, 『辨證錄』, 『本草新編』, 『外經微言』, 『辨證玉函』, 『洞天奧旨』, 『脈訣闡微』, 『辨證冰鑑』이 있는데, 이 가운데 『辨證奇聞』, 『辨證錄』, 『辨 證冰鑑』은 이름만 다를 뿐 같은 책으로 여겨진다. 『辨證冰鑑』이 光緖年間에 가장 늦게 나왔는데 그 내용이 『辨證錄』과 완전히 같아서 나중에 전해진 책을 改名한 것으로 여겨진다. 『辨證奇聞』과 『辨證錄』은 文字에 있어서 차이는 있으나 內容의 構 造는 같고2), 『辨證錄』의 自序에 『辨證奇 聞』의 명칭이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 보면3), 『辨證奇聞』이 『辨證錄』보다 먼저 나온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