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극치수문자료의 계절성 분석 개념 및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이용한 확률강수량 해석
Concept of Seasonality Analysis of Hydrologic Extreme Variables and Design Rainfall Estimation Using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3 no.8, 2010년, pp.733 - 745  

이정주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권현한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황규남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문자료의 계절성은 수자원관리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계절성의 변동은 댐의 운영, 홍수조절, 관개용수 관리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수문빈도해석을 위해 POT 자료와 같은 부분기간치계열을 사용함으로써 자료의 확충, 계절성 확보, 발생빈도모형의 구축 등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POT 자료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빈도해석에 연계시키는 방법론으로서 POT 자료로부터 계절성을 추출하고 이를 빈도해석과 연계시켜 Bayesian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비정상성 빈도해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서울지점의 관측 자료로부터 98% Threshold를 적용하여 POT 자료를 추출하였으며, GEV 분포에 대한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위치 및 규모매개변수의 계절적변동성을 Fourier 급수로 표현하고,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모의를 통해 매개변수들의 사후분포를 추정하였으며, 사후분포와 Quantile 함수를 이용하여 재현기간에 따른 확률강수량을 추정하였다. 계절성을 고려한 비정상성빈도해석 결과 7~8월의 비정상성 확률강수량과 기존 정상성빈도해석의 결과가 유사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동시에 계절성을 반영한 확률강수량의 거동을 효과적으로 모의가 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sonality of hydrologic extreme variable is a significant element from a water resources managemental point of view. It is closely related with various fields such as dam operation, flood control, irrigation water management, and so on. Hydrological frequency analysis conjunction with partial du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사용할 확률분포형을 결정하기 위해 추출된 POT를 대상으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자료의 계절성에 대한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위해서 GEV 분포형을 가정하였으며, GEV 분포가 서울 지역의 POT 사상에 적합한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각적인 검토를 실시하였다.
  • 그러나 자료의 주기특성이 복잡한 경우에는 Spline기법과 같은 Smoothing 기법을 적용하여 해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48년간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며 총 8개의 매개변수의 사후분포를 추정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6개의 회귀매개 변수는 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점의 시단위 강수량 자료를 이용해 추출한 POT 자료계열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Fig.
  • 이를 빈도해석으로 연계시키기 위해서는 계절성을 비정상성으로 고려하여 모형화 할 수 있는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계절성을 고려할 수 있는 비정상성 빈도해석 기법의 개념을 제시하고 모형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연주기가 뚜렷하고 모형의 매개변수 또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1차 급수만으로 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기성을 비정상성으로 고려하는 방법론의 전개 및 해석 방법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자료의 주기특성이 복잡한 경우에는 Spline기법과 같은 Smoothing 기법을 적용하여 해석이 가능하다.
  • 최근 수문빈도해석을 위해 Block Maxima와 같은 연최대치계열보다는 POT 자료와 같은 부분기간치계열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POT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들을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자료의 확충뿐만 아니라 계절성 확보, 발생 빈도(occurrence) 모형 구축 가능 등의 다양한 이유로 POT 자료의 사용이 장려되고 있다 하겠다.
  • 이러한 경우에 전 자료를 하나의 모형으로 적합 시키는 경우 극치자료의 빈도해석 시 자료의 시간적 분포특성을 고려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방의 24시간 임의지속시간 강수량을 대상으로 POT 자료를 구축하고 이들 자료에서 나타나는 계절성을 고려할 수 있는 비정상성빈도해석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매개변수 추정, 불확실성분석, 빈도 강수량 추정 등 일련의 빈도해석을 위해서 Bayesian 통계 기법을 활용하였다.

가설 설정

  • Bayesian 모형 하에서, Eq. (3)의 모든 매개변수들은 확률분포를 가지게 된다. 즉, (μ(t), a(t), ξ가 사전분포를 가지게 되며 μ(t), a(t)는 시간에 따른 주기성을 갖는 함수로서 다음의 Eqs.
  • 본 연구에서는 48년간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며 총 8개의 매개변수의 사후분포를 추정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6개의 회귀매개 변수는 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a와 b의 분산 aa와 bb는Gamma 분포로 가정하였으며 이를 Eqs.
  • 3) POT 자료에 대해서 확률강수량을 추정하기 위해서 GEV분포형을 선택하였으며 적합도 검정 및 도시적 해석을 통해 분포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GEV 분포형의 3개의 매개변수 중 위치 및 규모 매개변수가 계절적으로 변한다고 가정하였으며 형상매개변수는 계절적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 6개의 회귀매개 변수는 정규분포로 가정하였다. a와 b의 분산 aa와 bb는Gamma 분포로 가정하였으며 이를 Eqs. (7)~(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POT 계열의 분포가 GEV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할 때, 계절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POT자료 Y의 위치 및 규모 매개변수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시간에 따른 변동성을 갖는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형상매개변수는 시간에 따라 일정하다고 가정하였다.
  • 여기서, t는 시간을 의미하며 a와 b는 시간과 매개변수 μ와 a의 사전분포를 연계시키는 Fourier 계수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라 2개의 매개변수가 동시에 변화한다고 가정하여 통계적 추론(statistical inference)을 실시하였다. 주기함수는 시간의 변화에 따른 POT의 발생일자 td(t)를 계절성의 범위 T에 대한 상대주기함수로 표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치수문자료의 경향성 및 변동성과 관련한 POT 분석의 예로는 무엇이 있는가? 국외의 경우 최근 들어 극치수문자료의 경향성 및 변동성과 관련한 POT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An and Pandey(2005)는 풍속자료의 극치분포를 Standard Gumbel, Modified Gumbel, POT, MIS (method of independent storms)의 네 가지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 Quantile 추정값을 도출하였으며, Pujol et al. (2007)은 프랑스 중부지방의 92개 관측소 일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전체를 7개의 기상학적 동질지역으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해서 POT사상을 추출하였다. 극치사상의 비정상성을 판별함에 있어서 POT 모형의 규모매개변수(scale parameter)와 Poisson 분포의 λ가 일정하지 않으며, 시간에 따라 선형 변화한다고 가정함으로써 지역적인 규모에서 극치사상의 발생 빈도와 강도의 정상성에 대한 판별을 가능케 하였으며,Poisson분포와 GPD분포에 의해 POT 자료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경향의 변동성을 갖는 지역을 분류하였다. Cooley et al. (2007)은 극치강우사상에 대하여 강우강도와 빈도로 분리된 계층모델(separate hierarchical models)을 구성하였으며, 강우강도에 대해서는 높은 Threshold를 넘는 일강우량을 GPD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고, 빈도에 대해서는 관측소들의 POT 발생횟수를 변수로 모델링하였으며, Markov Chain Monte Carlo (MCMC) 알고리즘을 이용한 불확실성 추정과 공간보간법을 이용하여 콜로라도 지역의 지역빈도를 해석하였다. Mendez et al. (2008)은 태풍의 지속시간과 계절성을 고려한 유의 파고(significant wave height)의 장주기 극치분포의 통계학적 모델을 구성하였다. 시간 종속성을 고려한 POT 자료와 Harmonic Function에 의해서 연주기(annual cycle)와 반년주기(semiannual cycle)를 고려한 모형을 구성하고, 계절적인 변동성을 고려함으로써 모델의 추정오차를 줄였다. 이 외에도 기상학적 인자들로서 SOI(Southern Oscillation index), AOI(Antarctic Oscillation index), 그리고 SI(solar irradiance) 등을 고려한 계층적 공간모형을 이용해 POT 분석을 수행한 Aryal et al.(2009)의 연구도 극치강수량의 시공간적 경향성에 대한 해석방법을 다루고 있다.
수문빈도해석 시 부분기간치계열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무엇인가? 수문자료의 계절성은 수자원관리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계절성의 변동은 댐의 운영, 홍수조절, 관개용수 관리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수문빈도해석을 위해 POT 자료와 같은 부분기간치계열을 사용함으로써 자료의 확충, 계절성 확보, 발생빈도모형의 구축 등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POT 자료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빈도해석에 연계시키는 방법론으로서 POT 자료로부터 계절성을 추출하고 이를 빈도해석과 연계시켜 Bayesian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비정상성 빈도해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수문자료 분석 시 부분기간치계열을 사용하게 되면 어떤 장점이 있는가? 이는 극치 수문량을 해석하는 방법론으로서 연최대치계열(annual maxima) 즉, Block Maxima가 이용됨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점이다. 그러나 부분기간치계열(partial duration series)을 활용하게 되면 자료의 확충뿐만 아니라 자연적으로 극치수문량의 계절성에 대한 평가 또한 가능하다(Clarke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노재식, 이길춘 (1992). “하천 홍수량의 크기 및 빈도 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2권, 제2호, pp. 141-150. 

  2. 노재식, 이길춘 (1993). “하천홍수량의 지역화 회귀모형 개발을 위한 지역빈도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3권, 제3호, pp. 139-154. 

  3. 엄명진, 조원철, 허준행 (2008). “GPD 모형 산정을 위한 부분시계열 자료의 임계값 산정방법 비교.”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5호, pp. 527-544. 

  4. 유철상(2002). “강수의 계절성과 면적평균강수량의 추정오차”.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5호, pp. 575-581. 

  5. 유철상, 류소라, 김정환 (2002). “서울지점 월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가뭄의 장기 재현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3B호, pp. 281-289. 

  6. 진영훈, 박성천, 이연길 (2005). “수문시계열의 장.단기성분 추출을 위한 웨이블렛 변환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6B호, pp. 493-499. 

  7. An, Y., and Pandey, M.D. (2005). “A comparison of methods of extreme wind speed estimation.” Journal of Wind Engineering and Industrial Aerodynamics, Vol. 93, No. 7, pp. 535-545. 

  8. Aryal, S.K., Bates, B.C., Campbell, E.P., Li, Y., Palmer, M.J., and Viney, N.R. (2009). “Characterizing and modeling temporal and spatial trends in rainfall extreme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0, No. 1, pp. 241-253. 

  9. Beirlant, J., Joossens, E., and Segers, J. (2009). “Secondorder refined peaks over-threshold modelling for heavy-tailed distributions.” Journal of Statistical Planning and Inference, Vol. 139, No. 8, pp. 2800-2815. 

  10. Clarke, R.T., de Paiva, R.D., and Uvo, C.B. (2009). “Comparison of methods for analysis of extremes when records are fragmented: A case study using Amazon basin rainfall data.” Journal of Hydrology, Vol. 368, No. 1-4, pp. 26-29. 

  11. Cooley, D., Nychka, D., and Naveau, P. (2007). “Bayesian spatial modeling of extreme precipitation return levels.” Journal of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102, No. 479, pp. 824-840. 

  12. Drees, H., and Kaufmann, E. (1998). “Selecting the optimal sample fraction in univariate extreme value estimation.” Stochastic Processes and Their Applications, Vol. 75, pp. 149-172. 

  13. George, E.I., and Mcculloch, R.E. (1993). “Variable Selection Via Gibbs Sampling.” Journal of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88(423), pp. 881-889. 

  14. Gomes, M.I., and Pestana, D. (2007). “A sturdy reducedbias extreme quantile (VaR) estimator.” Journal of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102, No. 477, pp. 280-292. 

  15. Hall, P. (1990). “Using the bootstrap to estimate mean squared error and select smoothing parameter in nonparametric problems.” Journal of Multivariate Analysis, Vol. 32, pp. 177-203. 

  16. Hall, P., and Welsh, A.H. (1985). “Adaptive estimates of parameters of regular variation.” Annals of Statistics, Vol. 13, pp. 331-341. 

  17. Kwon, H.H., and Moon, Y.I. (2006). “Improvement of overtopping risk evaluations using probabilistic concepts for existing dam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0, No. 4, pp. 223-237. 

  18. Madsen, H., Pearson, C.P., and Rosbjerg, D. (1997a). “Comparison of annual maximum series and partial duration series methods for modeling extreme hydrologic events. 2. regional modeling.”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3, pp. 759-769. 

  19. Madsen, H., Rasmussen, P.F., and Rosbjerg, D. (1997b). “Comparison of annual maximum series and partial duration series methods for modeling extreme hydrologic events. 1. at-site modeling.”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3, pp. 747-757. 

  20. Mendez, F.J., Menendez, M., Luceno, A., Medina, R., and Graham, N.E. (2008). “Seasonality and duration in extreme value distributions of significant wave height.” Ocean Engineering, Vol. 35, No. 1, pp. 131-138. 

  21. Pujol, N., Neppel, L., and Sabatier, R. (2007). “Regional approach for trend detection in precipitation series of the French Mediterranean region.” Comptes Rendus Geoscience, Vol. 339, No. 10, pp. 651-6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