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약복합제제인 SH21B의 adipogenesis 억제 효능에 대한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밝히는 데 있다. 실험에 사용된 SH21B는 7가지 생약성 천연물질인, 황금, 행인, 마황, 석창포, 포황, 원지하엽으로 이루어졌다. 최근, 본 연구진에 의해 3T3-L1을 이용한 in vitro 연구와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연구에서 SH21B의 adipogenesis 억제효능이 밝혀진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세포가 분화될 때 작용하는 다양한 지방세포형성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이 SH21B에 의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시간중합효소반응(real time PCR) 기술을 이용하여 SH21B를 처리한 지방세포와 그렇지 않은 지방세포를 비교한 결과, 최종마커인 ADIPOQ와 SLC2A4의 유전자 발현이 SH21B에 의해 급격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최종마커의 발현을 유도하는 핵심전사인자인 $PPAR{\gamma}$와 C/$EBP{\alpha}$의 유전자 발현 역시 SH21B의 처리 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좀 더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핵심전사인자의 상위에 위치한 다양한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러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 중, Krox20과 KLF15의 유전자 발현이 SH21B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C/$EBP{\beta}$와 KLF5의 유전자 발현은 SH21B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지방세포형성 억제조절자인 KLF2와 CHOP의 유전자 발현은 SH21B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SH21B의 지방세포형성 억제효능이 지방세포의 분화에 작용하는 다양한 상위조절자 중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인 Krox20과 KLF15 그리고 지방세포형성 억제조절자인 KLF2와 CHOP 등의 유전자 발현이 변화되면서 일어나는 복합적인 반응의 결과임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ur previous study, it was reported that an herbal mixture, SH21B, inhibits fat accumulation and adipogenesis both in vitro and in vivo models of obesity. SH21B is a mixture composed of seven herbs: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runus armeniaca Maxim, Ephedra sinica Stapf, Acorus gramineus S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H21B는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행인(Prunus armeniaca Maxim), 마황(Ephedra sinica Stapf),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 포황(Typha orientalis Presl),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 하엽(Nelumbo nucifera Gaertner)의 혼합(비율 3:3:3:3:3:2:2)으로 이루어진 생약복합물로 최근 본 연구진에 의해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결과 3T3-L1세포 및 고지방식이 마우스 동물모델에서 adipogenesis 억제를 통한 지방축적 억제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11].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세포에서 SH21B가 미치는 adipogenesis 억제에 대한 보다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adipogenesis를 조절하는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무슨 현상의 결과인가? 비만은 지방세포와 지방조직의 비정상적인 증식과 성장에 의한 결과로써 당뇨, 심혈관 질환 그리고 암 등의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18]. 비만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지방세포형성(adipogenesis)은 세포 형태의 변화, 호르몬 민감성의 변화,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의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유도된다[23].
지방세포형성은 어떻게 유도되는가? 비만은 지방세포와 지방조직의 비정상적인 증식과 성장에 의한 결과로써 당뇨, 심혈관 질환 그리고 암 등의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18]. 비만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지방세포형성(adipogenesis)은 세포 형태의 변화, 호르몬 민감성의 변화,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의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유도된다[23]. 지방세포형성 및 분화의 in vitro 연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T3-L1 전지방세포는 여러 호르몬들과 세포분열 유도물질 등에 의해 지방세포형성 요건이 충족되면 지방세포로 분화된다[16].
SH21B에 의한 지방세포형성 억제효능 및 adipogenesis를 조절하는 인자들의 mRNA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통해 SH21B에 의한 지방세포형성 억제효능 및 adipogenesis를 조절하는 인자들의 mRNA 발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SH21B의 지방세포형성 억제효능은 Krox20, KLF15와 같은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와 KLF2, CHOP과 같은 지방세포형성 억제조절자의 mRNA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나타났다. SH21B에 의해 변화된 다양한 상위조절자들의 mRNA 발현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결국, 지방세포형성의 핵심 전사인자인 PPARγ와 C/EBPα의 mRNA 발현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지방세포형성의 최종마커인 ADIPOQ나 GLUT4의 mRNA 발현을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SH21B에 의한 지방 세포형성 억제효능은 핵심전사인자를 포함한 다양한 지방세포형성 조절자의 mRNA 발현이 복합적으로 조절되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med, W., O. Ziouzenkova, J. Brown, P. Devchand, S. Francis, M. Kadakia, T. Kanda, G. Orasanu, M. Sharlach, F. Zandbergen, and J. Plutzky. 2007. PPARs and their metabolic modulation: new mechanisms for transcriptional regulation? 

  2. Chen, Z., J. I. Torrens, A. Anand, B. M. Spiegelman, and J. M. Friedman. 2005. Krox20 stimulates adipogenesis via C/EBPbeta-dependent and -independent mechanisms. Cell Metab. 1, 93-106. 

  3. Darlington, G. J., S. E. Ross, and O. A. MacDougald. 1998. The role of C/EBP genes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73, 30057-30060. 

  4. Freytag, S. O., D. L. Paielli, and J. D. Gilbert. 1994. Ectopic expression of the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promotes the adipogenic program in a variety of mouse fibroblastic cells. Genes Dev. 8, 1654-1663. 

  5. Gray, S., M. W. Feinberg, S. Hull, C. T. Kuo, M. Watanabe, S. Sen-Banerjee, A. DePina, R. Haspel, and M. K. Jain. 2002. The Kruppel-like factor KLF15 regulates the insulin-sensitive glucose transporter GLUT4. J. Biol. Chem. 277, 34322-34328. 

  6. Gustafson, B. and U. Smith. 2006. Cytokines promote Wnt signaling and inflammation and impair the normal differentiation an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preadipocytes. J. Biol. Chem. 281, 9507-9516. 

  7. Hamm, J. K., A. K. el Jack, P. F. Pilch, and S. R. Farmer. 1999. Role of PPAR gamma in regula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insulin-responsive glucose uptake. Ann. N Y Acad. Sci. 892, 134-145. 

  8. Kaczynski, J., T. Cook, and R. Urrutia. 2003. Sp1- and Kruppel-like transcription factors. Genome Biol. 4, 206. 

  9. Kadowaki, T., T. Yamauchi, N. Kubota, K. Hara, K. Ueki, and K. Tobe. 2006. Adiponectin and adiponectin receptors in insulin resistance, diabetes, and the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116, 1784-1792. 

  10. Koerner, A., J. Kratzsch, and W. Kiess. 2005. Adipocytokines: leptin--the classical, resistin--the controversical, adiponectin-- the promising, and more to come.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19, 525-546. 

  11. Lee, H., R. Kang, and Y. Yoon. 2009. SH21B, an anti-obesity herbal composition, inhibits fat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and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through the modulation of the adipogenesis pathway. J. Ethnopharmacol. 

  12. Lin, F. T. and M. D. Lane. 1994.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is sufficient to initiate the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gram. Proc. Natl. Acad. Sci. USA 91, 8757-8761. 

  13. Livak, K. J. and T. D. Schmittgen. 2001. Analysis of relative gene expression data using real-time quantitative PCR and the 2(-Delta Delta C(T)) Method. Methods 25, 402-408. 

  14. Medina-Gomez, G., S. Virtue, C. Lelliott, R. Boiani, M. Campbell, C. Christodoulides, C. Perrin, M. Jimenez-Linan, M. Blount, J. Dixon, D. Zahn, R. R. Thresher, S. Aparicio, M. Carlton, W. H. Colledge, M. I. Kettunen, T. 

  15. Mori, T., H. Sakaue, H. Iguchi, H. Gomi, Y. Okada, Y. Takashima, K. Nakamura, T. Nakamura, T. Yamauchi, N. Kubota, T. Kadowaki, Y. Matsuki, W. Ogawa, R. Hiramatsu, and M. Kasuga. 2005. Role of Kruppel-like factor 15 (KLF15) 

  16. Morrison, R. F. and S. R. Farmer. 2000. Hormonal signaling and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J. Nutr. 130, 3116S-3121S. 

  17. Morrison, R. F. and S. R. Farmer. 1999. Role of PPARgamma in regulating a cascade expression of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s, p18(INK4c) and p21(Waf1/Cip1), during adipogenesis. J. Biol. Chem. 274, 17088-17097. 

  18. Nawrocki, A. R. and P. E. Scherer. 2005. Keynote review: the adipocyte as a drug discovery target. Drug Discov. Today 10, 1219-1230. 

  19. Oishi, Y., I. Manabe, K. Tobe, K. Tsushima, T. Shindo, K. Fujiu, G. Nishimura, K. Maemura, T. Yamauchi, N. Kubota, R. Suzuki, T. Kitamura, S. Akira, T. Kadowaki, and R. Nagai. 2005. Kruppel-like transcription factor KLF5 is a key regulator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Cell Metab. 1, 27-39. 

  20. Rosen, E. D. and O. A. MacDougald. 2006.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side out. Nat. Rev. Mol. Cell Biol. 7, 885-896. 

  21. Shao, D. and M. A. Lazar. 1997.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and cell cycle status regulate the commitment to adipocyte differentiation. J. Biol. Chem. 272, 21473-21478. 

  22. Shepherd, P. R. and B. B. Kahn. 1999. Glucose transporters and insulin action-implications for insulin resistance and diabetes mellitus. N. Engl. J. Med. 341, 248-257. 

  23. Spiegelman, B. M. and J. S. Flier. 2001.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104, 531-543. 

  24. Takano, H. and I. Komuro. 2009.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and cardiovascular diseases. Circ. J. 73, 214-220. 

  25. Tanaka, T., N. Yoshida, T. Kishimoto, and S. Akira. 1997. Defective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mice lacking the C/EBPbeta and/or C/EBPdelta gene. EMBO. J. 16, 7432-7443. 

  26. Tontonoz, P., E. Hu, and B. M. Spiegelman. 1994. Stimulation of adipogenesis in fibroblasts by PPAR gamma 2, a lipid-activated transcription factor. Cell 79, 1147-1156. 

  27. Zhang, J., M. Fu, T. Cui, C. Xiong, K. Xu, W. Zhong, Y. Xiao, D. Floyd, J. Liang, E. Li, Q. Song, and Y. E. Chen. 2004. Selective disruption of PPARgamma 2 impairs the development of adipose tissue and insulin sensitivity. Proc. Natl. Acad. Sci. USA 101, 10703-107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