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주형태에 따른 노인 우울증과 자살경향성 비교 연구
Geriatric Depression and Suicidality According to Residence Type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City Area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6 no.1, 2010년, pp.45 - 54  

왕희령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최용성 (성안드레아 신경정신병원) ,  조명제 (이천시 정신보건센터) ,  최윤미 (이천시 정신보건센터) ,  신희숙 (이천시 정신보건센터) ,  제수경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최재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  홍진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정신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천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인구를 대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과 자살경향성, 우울증과 자살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살펴본 연구이다. 전체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은 28% 정도로 파악되어 실제로 65세 이상의 연령대에서 상당수의 노인들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자살경향성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약 20%에서 자살생각, 자살의도, 자살계획, 자해의도, 자살시도 중 한 가지 이상을 지난 한 달 동안 경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형태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혼자 생활하거나 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에서 동거가족이 있는 노인들보다 우울증의 유병률이 높고, 증상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에게서 자살경향성 역시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이들 고위험군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우울증의 조기 발견 및 자살예방사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험요인 분석에서는 고령, 시설거주, 낮은 사회적 지지 수준은 우울증의 위험요인으로, 독거생활, 시설거주, 낮은 사회적 지지 수준, 두통의 기왕력은 자살경향성의 위험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ity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city according to their residence type. Methods : Participants were 311 elderly people (109 male and 202 female) in Icheon City, whom trained researchers interviewed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천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인구를 대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과 자살경향성, 우울증과 자살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살펴본 연구이다. 전체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은 28% 정도로 파악되어 실제로 65세 이상의 연령대에서 상당수의 노인들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Quality of Life Scale(SF-8)은 원래 Ware 등13에 의해 개발된 척도로서, 일반 인구 연구 및 보건정책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건강상태를 측정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원래는 36문항으로 제작되었으나, SF-20, SF-8 등 단축형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거주형태에 따라 가족과 함께 사는 동거노인, 혼자서 생활하는 독거노인, 시설에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시설노인으로 분류하여, 세 군 간에 일반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우울증의 유병률, 자살경향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동거노인이 전체 연구대상자 311명 중 가장 많은 182명을 차지하였고, 독거노인은 91명, 시설노인은 38명으로 가장 적었다.
  • 본 연구에서 자살경향성의 위험요인으로 밝혀진 독거 및 시설 거주의 경우, 이들 독거노인 및 시설 노인의 많은 수에서, 동거노인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결여되어 있고, 전반적으로 신체 질병의 유병률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IADL 및 ADL 등으로 살펴 본 일상생활능력도 동거노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볼 때 이런 복합적인 요인들이 이들의 높은 자살경향성을 설명한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 고혈압을 비롯한 총 7개의 질환군에 대하여 우울증 및 자살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통의 기왕력만이 자살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질환이 자살의 위험을 높인다는 여러 논문들이 있으나, 질환의 종류 및 심각도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천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우울증상의 유병률과 자살 경향성을 조사하고, 우울증과 자살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가설 설정

  • 자살경향성 유무의 기준은, 지난 달을 기준으로 총 5 항목에 대하여 하나의 항목 이상에서 “예”로 응답한 경우에 자살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우울증이 제대로 치료되지 않았을때 야기되는 가장 심각한 후유증은 무엇인가? 5% 등6으로 보고되고 있고, 주요우울장애는 아니지만,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우울증상을 호소하는 비율은 7~33%까지도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노인의 우울증이 제대로 발견되고 치료되지 않았을 때 야기되는 가장 심각한 후유증은 무엇보다 자살이라고 하겠다. 노인 자살과 관련하여 세계보건기구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대부분의 나라에서 노인의 자살률이 젊은 연령층에 비해 높고, 평생동안 자살의 위험성과 자살 사고(wish to die)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같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인에서 가장 흔한 정신과적 질환은 무엇인가? 1 이와 같은 노인 인구 비율의 증가는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노인 정신질환과 관련된 문제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우울증은 그 중에서도 노인에서 가장 흔한 정신과적 질환 중의 하나이며, 노인 삶의 질을 크게 손상시킨다.
우리나라의 노령화 사회 전망은 어떠한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급속히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2000년을 기점으로 65세 이상 인구는 총 인구의 7%를 상회하며 고령화 사회로 돌입하였고, 2018년에는 노인 인구가 총 인구의 14%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1 이와 같은 노인 인구 비율의 증가는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노인 정신질환과 관련된 문제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Statistics of the Elderly;2008. 

  2. Gomez GE. Depression in the elderly. J Psychosoc Nurs Ment Health Serv 1993;31:28-33. 

  3.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Advance Report of Final Mortality Statistics. NCHS Monthly Vital Statistics Report 1985;34:6. 

  4. Koenig HG. Epidemiology of geriatric affective disorders. Clin Geriatr Med 1992;8:235-251. 

  5. Beekman AT, Prince MJ. Review of community prevalence of depression in later life. Br J Psychiatry 1999;174:307-311. 

  6. 서국희, 조맹제, 김장규. 노인정신의학의 역학: 경기도 연천군. 노인정신의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1999. p.15-21. 

  7. Barrow S. Suicidality and tiredness of life among very old persons: result from the Berlin Aging Stud (BASE). Arch Suicide Res 1997; 3:171-182. 

  8. Scocco P, Dello Buono M. Suicidal ideation and its correlate: survey of an over-65-year-old population. J Nervous Mental D In press. 

  9. Suh GH, Kim JK, Jung HY, Kim MJ, Cho MJ. Wish to die and associated factors in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999;3:70-77. 

  10.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 Personality Assess 1988;52:30-41. 

  11. Katz S, Moskowitz RW.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JAMA 1963;185:914-919. 

  12. Lawson MP.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erontologist 1969;9:179-186. 

  13. Ware JE. The MOS 36 item short-form health survey: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1992;30:473-483. 

  14. Lee SH, Kang MH, Kim CE, Lee JS, Bae JN, Cho MJ. Comparing various short-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s in elderly psychiatric pati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009;13:32-37. 

  15. Cho MJ, Hahm BJ, Jhoo JH, Bae JN, Kwon JS.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an urban commun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8;37:352-362. 

  16. Oh BH, Kim HS, Kim JH, Cho HS, Cho KH, Cho HS, et al. Epidemiologic study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ve symptoms of the elderly in a Korean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998;2:176-186. 

  17. Evans KC. Epidemiology of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primary care attenders. Dementia 1993;4:327-333. 

  18. Cho MJ, Hahm BJ, Rhi BY, Kim SY, Shin YM, Lee CI.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of the elderly in a longterm institut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8; 37:913-920. 

  19. Mulsant BH. Epidemiology and diagnosis of depression in late life. J Clin Psychiatry 1999;60 (Suppl 20):9-15. 

  20. Lee MS, Choi YK, Jung IK, Kwak DI. Epidemiological study of geriatric depression in a Korea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000;4:154-163. 

  21. Awata ST, Koizumi Y, Sato S, Hozawa A, Omori K, Kuriyama S,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in an elderly urban Japanese population: a community-based, cross-sectional study. Psychiatry Clin Neurosci 2005;59:327-336. 

  22. Hawley CJ, Birkett PL, Baldwin DS, de Ruiter MJ, Priest RG. Associated diagnoses and characteristics in a casualty population. Br J Psychiatry 1991;159:232-238. 

  23. Park IO, Kim JS, Lee KJ, Jung IK. Depressive factors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998;2:47-63. 

  24. Parmelee PA, Lawton MP. Depression and mortality among institutionalized aged. J Gerontol 1992;47:3-10. 

  25. Katz I. Drug treatment of depression in the frail elderly: Discussion of the NI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the late life. Psychopharmacol Bull 1993; 29:101-108. 

  26. Kim HS.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s Suicidal Thought. Th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2;22:159-172. 

  27. Duberstein PR, Conner KR, Eberly S, Evinger JS, Caine ED. Poor social integration and suicide: fact or artifact? A casecontrol study. Psychol Med 2004;34:1331-1337. 

  28. Fukuda Y, Takano T. Cause-specific mortality differences across socioeconomic position of municipalities in Japan, 1973-1977 and 1993-1998: increased importance of injury and suicide in inequality for ages under 75. Int J Epidemiol 2005;34:100-109. 

  29. Juurlink DN, Szalai JP, Kopp A, Redelmeier DA. Medical illness and the risk of suicide in the elderly. Arch Intern Med 2004;164:1179-1184. 

  30. Cheon JS, Lee SS, Roh JR, Oh BH.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 among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005;9:132-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