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일맹검시험을 통한 대황(大黃) 상용량(常用量)의 독성작용 평가
Evaluation on Toxicity of Habitual dose of Extract of Rheum Palmatum through Single Blinded Pilot Study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4 no.3, 2010년, pp.390 - 400  

권혁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지규용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엄현섭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test physiological and hematological actions of Rheum palmatum through clinical pilot study optimized for usual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Thirty-one cases were finally collected and the sample extract 100 $m{\ell}$ of Rheum palmatum (ERP) was administered two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약의 독성과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일반적으로 한약의 독성과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單味藥혹은 복합처방에 대한 급성 독성과 아급성 독성실험 및 한약과 양약의 병용투여에 의한 독성, 한약물 이상반응 등의 임상연구로부터 이루어진다. 한약의 화학적 분석을 통해 오염물질과 중금속 포함여부를 관찰하기도 하고, 마우스 및 랫드를 대상으로 in vivo 실험을 통하여 한약에 의한 동물의 임상증상변화 및 조직검사를 하기도 하며, 표적장기세포에 대한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한약의 세포독성을 스크리닝하기도 한다.
한의학에서 쥐란? 그러나 한의학 이론상 小鼠(mouse)나 白鼠(rat)를 막론하고 쥐는 사람의 생리적 특성과 다른 것으로 인식되며 생리대사적 유사성에 근거하여 확립된 서양과학의 동물실험이론과는 다른 논리적 기반을 갖는다2). 더구나 서양의과학에서 확립된 세포주를 이용하여 수많은 생화학적 과정 중의 몇몇 지표를 가지고 효능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연구방법은 整體觀에 바탕한 辨證論治의 관점에서 보면 片面性을 가질 수밖에 없다.
大黃 常用量의 독성작용 평가를 위한 임상시험의 제외 기준으로 정한 것은? (1) 위장기능이 무력하여 설사나 연변이 있는 경우 (2) 특정한 질환에 대한 치료를 목적으로 약을 복용하는 경우 (3) 發熱, 感冒, 癰疽등의 감염성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 (4) 월경이 시작되거나 끝나는 경우 (5) 임신이 의심되거나 임신 중인 경우 (6) 의사의 지도에 의하여 주의를 요하는 정신질환, 신장질환, 심혈관계 질환 등의 중대질환이 있는 경우 (7) 기타 약제 복용 중 발생한 신체변화에 의해 실험중단을 원한 경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동준. 식이 유래 독성간염의 진단 및 보고체계 구축을 위한 다기관 예비 연구. 국립독성연구원, 2003. 

  2. 지규용. 韓醫學에서의 Rat에 대한 實驗的硏究를 위한 基礎硏究. 玄谷學會. 第三醫學, 1(2):15-30, 1996. 

  3. 吳 普, 述著, 孫星衍, 孫馮翼. 神農本草經. 의성당, p 244, 2003. 

  4. 최호영, 서부일. 임상한방 본초학. 도서출판 영림사, pp 46-54, 2004. 

  5. 陰 健, 郭力弓. 中藥現代硏究與臨床應用 1. 學苑出版社, 北京, pp 66-71, 1993. 

  6. 식품의약품안전청. 대한약전외한약(생약) 규격집 2007. 신일북스, 2008. 

  7. 김미화, 장성엽, 이제현, 고성권, 육창수. 대황속의 sennoside A의 HPLC에의 정량. 경희대학교 논문집, Bull. KH. Pharma, Sci, 28: 115-120, 2000. 

  8. 문준전 외 6인 공편. 傷寒論精解. 경희대학교출판국, p 239, 422, 1999. 

  9. Susan Smeltzer, Brenda Bare. Textbook of medical surgical nursing 9ed. Lippincort, p 545, 2000. 

  10. Wilson, et a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Vol. 1, Int. ed, McGraw Hill Inc, 1191, p 125. 

  11. 이봉교, 박영배. 한방진단학, 성보사, p 42, 275, 2000. 

  12. 온라인 진단시스템에 사용되는 의사용 체질진단 함수의 진단 정확률 연구 사상체질 의학회지 20(3):83, 2008. 

  13. 대한형상학회. 지산형상 의안. 지산출판사, pp 17-29, 2003. 

  14. 蔡德元. 古本傷寒雜病論校評. 河南科技, p 165, 1992. 

  15. 최연순, 최영희, 김조자 편역. 신체검진, 수문사, p 196, 1998. 

  16. 지규용 외. 한방병리학. 한의문화사, pp 390, 407, 471-472, 2007. 

  17. 최명희, 박원환. 人身의 形象醫學的 觀察方法에 關한 硏究. 대한한의진단학회지 5(2):262-282, 2001. 

  18. 郭望祥. 大黃的藥理硏究槪況. 江漢大學學報(醫學版), 30(2):60-61, 2002. 

  19. 王淸秀, 吳純啓, 廖明陽. 大黃及其主要成分的毒性毒理硏究 毒理學雜誌 21(4):301-302, 2007. 

  20. 나명석 외. 신장 상피세포주 A498을 이용한 대황(Rheum undulatum L.)추출물의 세포독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3(5):460-464, 2000. 

  21. Yan, M., Zhang, L.Y., Sun, L.X., Jiang, Z.Z., Xiao, X.H. Nephrotoxicity study of total rhubarb anthraquinones on Sprague Dawley rats using DNA microarrays., J Ethnopharmacol. 107(2):308-311, 2006. 

  22. 이선동, 강순수. 한약의 毒性연구(최근 보고된 문헌을 中心으로). 원광한의학회지 1(1):33-38, 1991. 

  23. Wang, C., Wu, X., Chen, M., Duan, W., Sun, L., Yan, M., Zhang, L. Emodin induces apoptosis through caspase 3-dependent pathway in HK-2 cells, Toxicology. 231(2-3): 120-128, 2007. 

  24. Bironaite, D., Ollinger, K. The hepatotoxicity of rhein involves impairment of mitochondrial functions. Chem Biol Interact. 103(1):35-50, 1997 

  25. 孫玉琦, 曹俊?, 肖小河, 李祖倫. 對大黃"毒性"的認識與思考. 세계중서의결합잡지, 2(2):112-114, 2007. 

  26. 김순선 외. 천연물이 간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III).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 2, 1998. 

  27. Yuen, M.F., Tam, S., Fung, J., Wong, D.K., Wong, B.C., Lai, C.L.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ausing hepatotoxicity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a 1-year prospective study. Aliment Pharmacol Ther. 24(8):1179- 1186, 2006. 

  28. 李 瑛, 劉伏友. 大黃的毒副作用硏究 China Pharmacy 17(9): 710-711, 2006. 

  29. 김준규 외. 식품.의약품 등 유해가능물질의 최신 독성연구동향에 관한 조사 연구(II) 독성물질 국가관리체계 구축사업 연구보고서. 국립독성연구원, pp 16-25, 2006. 

  30. 염영나 외. 식품.의약품 중 유해가능물질의 일반독성 스크리닝, 독성물질 국가관리체계 구축사업 연구보고서. 국립독성연구원, pp 26-33, 2006. 

  31. 고성규, 장병은, 최재선. 한약물의 ADR.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8(4):957-964, 2004. 

  32. 서울대 출판부, 서울대 의과대학 편. 임상약리학. p 272,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