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編)에 나타난 질병(疾病)의 병기론적(病機論的) 변증(辨證)화 연구 - 정신기혈(精神氣血)을 중심으로 -
Study on Mechanistic Pattern Identification of Disease for NaeGyungPyen of DongEuiBoGam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4 no.2, 2010년, pp.177 - 186  

김영목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병리학교실 & 한국전통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researching DongEuiBoGam by analysing with pattern identification of modern Traditional Korean medical patholgy as more logical, systematic and standardized theory. Disease pattern mechanisms of essence, spirit, qi and blood in NaeGyungPyeb of DongEuiBoGam are these. In Esse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辨證化라고 하는 것은 임상의 각종 症狀과 體徵의 기초에서 종합하여 한방 기초 이론을 파악하고 환자의 體質, 病因, 病性 그리고 病位를 정확하게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다. 그래서 정확한 증후 진단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로, 각종 辨證의 강령을 종합하여 통일된 辨證 體系를 형성함으로 辨證의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로 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許浚이 선조대왕의 명에 따라 중국의 치료 의학 경향을 비판하면서 人體(human body)보다는 人間(human being)을 중시하는 身體觀에서 養生醫學觀을 세워 중국과는 다른 東醫學의 整體性을 확립했다. 다만 『東醫寶鑑』의 저술배경, 시대적 제한성 그리고 인용문헌의 다양성 등으로 인한 病機理論의 일관성이 결여된 것을 현대 韓方病理學的 病機와 辨證에 의한 재해석을 하는 것이 본 연구를 하게 된 당위성이라 할 수 있다.
  • 이와 같이 『東醫寶鑑』에 인용된 醫書가 다양함으로 인하여 질병과 처방의 病機論的 해석의 一貫性이 떨어진다. 따라서 明代 後期, 淸代 그리고 현대 韓方病理學의 이론을 근거로 재해석한 病機와 病證의 표준화를 통하여 학교교육이나 임상에서의 적극적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東醫寶鑑』에 대한 현대 한방병리학의 辨證論治的 해석을 통하여 보다 논리적이고 체계적이며 표준화된 이론으로 究明하여 임상에 응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본연구자는 각과의 증후문헌을 기초로 하여 형성된 證候의 각종 요소를 참고로 하여 분석하고 病因, 病位, 病性 등을 형성하는 辨證化를 통하여 『東醫寶鑑』에 나타난 疾病의 辨證化를 연구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辨證化라고 하는 것은 임상의 각종 症狀과 體徵의 기초에서 종합하여 한방 기초 이론을 파악하고 환자의 體質, 病因, 病性 그리고 病位를 정확하게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東醫寶鑑의 내용 구성은 무엇으로 나뉘어져 있는가? 『東醫寶鑑』의 내용을 보면 內景篇, 外形篇, 雜病篇, 湯液編, 鍼灸篇 등 5개의 篇으로 구성되어 있다. 內景篇에서는 인체 내부에 대한 내용을, 外形篇은 외부에 드러나 있는 부위를, 雜病篇에서는 질병을, 마지막 湯液篇과 鍼灸篇에서는 치료의 구체적 방식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明代 後期, 淸代 그리고 현대 韓方病理學의 이론을 근거로 재해석한 病機와 病證의 표준화를 통하여 학교교육이나 임상에서의 적극적 활용을 목적으로 한 이유는? 이와 같이 『東醫寶鑑』에 인용된 醫書가 다양함으로 인하여 질병과 처방의 病機論的 해석의 一貫性이 떨어진다. 따라서 明代 後期, 淸代 그리고 현대 韓方病理學의 이론을 근거로 재해석한 病機와 病證의 표준화를 통하여 학교교육이나 임상에서의 적극적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許浚이 중국의 치료 의학 경향을 비판한 이유는? 우리나라에서는 許浚이 선조대왕의 명에 따라 중국의 치료 의학 경향을 비판하면서 人體(human body)보다는 人間(human being)을 중시하는 身體觀에서 養生醫學觀을 세워 중국과는 다른 東醫學의 整體性을 확립했다. 다만 『東醫寶鑑』의 저술배경, 시대적 제한성 그리고 인용문헌의 다양성 등으로 인한 病機理論의 일관성이 결여된 것을 현대 韓方病理學的 病機와 辨證에 의한 재해석을 하는 것이 본 연구를 하게 된 당위성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許浚. 東醫寶鑑. 南山堂, 1986. 

  2. 柯雪帆主編. 中醫辨證學. 上海中醫學院出版社, 1989. 

  3. 中國中醫硏究院主編. 中醫症狀鑑別診斷學. 人民衛生出版社, 1987. 

  4. 中國中醫硏究院主編. 中醫證候鑑別診斷學. 人民衛生出版社, 1987. 

  5. 양기상 외. 한의진단명과 진단 요건의 표준화 연구(I). 한의학연구소, 1995. 

  6. 6. 양기상 외. 한의진단명과 진단 요건의 표준화 연구(II). 한의학연구소, 1996. 

  7. 정우열. 변증논치란 무엇인가. 병증진단 표준화를 위한 연구 모임 자료집.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1995. 

  8. 박경모. 한의 질병 분류에 대한 연구방법론. 제3의학 월례학술모임 발표. 꽃마을 한방병원, 1999. 

  9. 정우열. 동의보감의 질병분류에 대한 연구(1). 동의병리학회지 13(1):1-10, 1999. 

  10. 심범상. 국제한의학표준용어(WHO IST/WPRO) 및 국제한의학질병분류(ICTM/WPRO)의 개발 현황 보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1(3):776-780, 2007. 

  1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기술혁신전략 수립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12. 한방병리학교재편찬위원회. 한방병리학. 한의문화사,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