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oral malodor inhibitory effect of Scutellariae Radix (SR), Phellodendri Cortex (PC), Moutan Cortex (MTC) and Magnoliae Cortex (MGC) for the development of a gargle solution. Methods: 1. Against P. gingivalis and Pr. intermedia, the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강 함수제 개발을 위해, 임상에서 빈용 되는 한약재 중에 구강 함수제로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약재를 탐색하여 구취억제의 효능과 그 기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 과정을 통해 黃芩, 黃柏, 牧丹皮, 厚朴이 구취제거용 구강 함수제로써의 효능이 기대되는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취란 무엇인가? 구취란 입안이나 인접기관에서 유래하는 냄새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냄새를 말한다1). 구강 내 원인으로 발생하는 구취는 구강 내에 존재하는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 탈락한 구강점막의 상피세포, 치주낭에서 유래된 백혈구 및 타액 등이 부패되면서 발생하는 methyl mercaptan (CH3SH), hydrogen sulfide (H2S)와 같은 휘발성 황 화합물 (volatile sulfur compound; VSC)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구강 내 대사 산물인 VSC는 어떻게 발생되는가? 이 가운데 구강 내 원인이 약 85% 내외를 차지하고16) 주로 구강 내 설태와 관련된 세균성 부패와 그 대사산물인 VSC가 주요 악취 물질이다2). 이 VSC는 황을 함유한 아미노산, 펩타이드 및 단백질로 이루어지는 기질에 대한 그람음성 혐기성 세균의 부패 작용을 통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00여 구강 내 세균 중에 그람음성 세균인 Porph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idia, Fusobacterium nucleatum, Veillonella alcalescens, 등이 구취의 주요 원인균으로 보고 되었다13).
구취의 원인은 무엇인가? 구취란 입안이나 인접기관에서 유래하는 냄새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냄새를 말한다1). 구강 내 원인으로 발생하는 구취는 구강 내에 존재하는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 탈락한 구강점막의 상피세포, 치주낭에서 유래된 백혈구 및 타액 등이 부패되면서 발생하는 methyl mercaptan (CH3SH), hydrogen sulfide (H2S)와 같은 휘발성 황 화합물 (volatile sulfur compound; VSC)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에 따라 구강 내 구취를 감소시키기 위해 혀를 포함한 구강점막과 치아표면의 세균성 기질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방법3,4)과 구강 함수제를 이용하여 VSC를 비롯한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방법5)이 연구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Tonzetich J. Prodcu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a review of mechanisms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ol. 1977;48(1):13-20. 

  2. Feller L, Blignaut E. Halitosis: a review. SADJ. 2005;60(1):17-9. 

  3. Yang SJ, Moon HS, Kim JB. A study on the effect of toothbrushing and tongue-brushing in reduction of oral malodor.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3;17(2):268-278. 

  4. Kang EH, Lim HS, Kim DK, Seong JH. Effectiveness of toothpick method on the reduction of oral malodor.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4;8(1):127-138. 

  5. Park JH, Han KS, Kim MK. Effect of tongue scraping, ZnCl2 mouth rinse, and periodontal treatment on the reduction of oral malodor. Kor J Oral Med. 2000;25(1):41-51. 

  6. Flotra L. Side effects of chlorohexidine mouth washes. Scan J Dent Res. 1971;79:119-25. 

  7. Park JB, Auh QS, Chun YH, Lee JY, Hong JP. The effect of the Phytoncide in Decreasing the Mouth Odor. J Kor Acad Oral Med. 2007;32(2):151-156. 

  8. Lee DS, Kim SB, Kim TJ, Kim JH, Ji CI, Park JH. Deodorant effect of marine algae extracts on halitosis.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1999;57:195-201. 

  9. Lee JH, Kim ME, Kim SB.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argle solution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 for oral malodor. Kor J Oral Med. 2003;28(1):1-10. 

  10. Eom GH, Kim JS. Deodorizing effect of Cheonggugamrosu. Kor J Orient Int Med. 2007;28(2):354-62. 

  11. Kim JS, Park JW, Yoon SW, Ryu BH. Inhibitory effect of respective herbs in Cheonggugamrosu on oral malodor using modeling of the Salivary Sediment System. J Korean Oriental Med. 2009;30(2):79-87. 

  12. Park SK, Hong SS, Lim JH, Han SY, Ryu JM, Jang SY et al. Effect of Junghyanghwan on reducing halitosis and the comparison with GARGLIN and Normal Saline. Kor J Orient Int Med. 2003;spr(1):154-68. 

  13. De Boever EH, Loesche WJ.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anaerobic microflora of the tongue to oral malodor. JADA. 1995;126:1384-93. 

  14. Tokita F, Ishikawa M, Shibuya K, Koshimizu M, Abe R. Deodorizing activity of some plant extracts against methyl mercaptan. Nippon Nogeikagaku Kaishi. 1984;58(6):585-9. 

  15. Kleinberg I, Codipilly D. $H_{2}S$ generation and Eh reduction in cysteine challenge testing as a means of determining the potential of test products and treatment for inhibiting oral malodor. J Breath Res. 2008; 2(1):1-9. 

  16. Delanghe G, Ghyselen J, Van Steenberghe D, Feenstra L. Multidisciplinary breath-odour clinic. Lancet. 1997;350(9072):187. 

  17. Parth L, Ken Y, Ali K, Toshio I, Tsutomu S, Tomoko T et al. Effect of Green Tea on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Mouth Air. J Nutr Sci Vitaminol. 2008;54:89-94. 

  18. Wang L. The effect of radix scutellariae and Tea Polyphenol on halitosis-correlated bacteria and substrate. 四川大學化西口腔醫學院碩士學位論文. 2005. 

  19. Wang L, Yang XZ, HU DY. Anti-halitosis effect of radix scutellariae and tea polyphenol. Chin J Conserv Dent. 2006;16(3):149-52. 

  20.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공저. 본초학. 서울: 영림사; 2006, 218-20, 223-5, 237-8, 336-7. 

  21. 김호철. 한약약리학. 서울: 집문당; 2001, 129-33, 138-40, 147-50, 211-3. 

  22. 謝龍. 中藥治療口臭臨床觀察. 實用中西醫結合雜誌. 1997;10(17):1723. 

  23. 曾海付燦?. 甘露飮加味治療구취 80例. 實用中醫內科雜誌. 2005;19(5);467. 

  24. ZHU CL, LIM IY. Screenig of chinese herbs for anit-halitosis activity. Acd J Shanghai Sec Med Univ. 2005;25(4):345-348. 

  25. Chung YG, Kwon OJ. Anibacterial action of water extracts of Korean medicinal herbs. J Kor Env Hygi Sci. 1993;3(1):233-239. 

  26. Cho SH, Kim YR.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 J Kor Soc Food Sci Nutr. 2001;30(5);964-968. 

  27. Son DH, Lee SI, Chung YG. Antioxidative of medicinal plants on pathogenic bacteria. J Kor Soc Hygi Sci. 2001;7(2):103-108. 

  28. Park UY, Chang DS, Cho HR.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 Sco Food Nutr. 1992;21(1):91-96. 

  29. Cai H. Choi SI, Lee YM, Hoe TR. Antimicrobial effects of herbal medicine extracts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Kor J Biotechnol Bioeng. 2002;17(6):537-542. 

  30. Kweon OG, Son JC, Kim SC, Chung SK, Park SW.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Moutan Cortex Extract.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1998;5(3):281-285. 

  31. Bae KH, Oh HR. Synergistic effect of lysozyme on bacterical activity of magnolol and honokiol against a carriogenic bacterium, Streptococcus mutans OMZ 176. Arch Pharm Res. 1990;13:117-119. 

  32. Chung CP, Ku Y, Bae KH. Biological effect of magnolia and Gingo Biloba extract to the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d cellular activity. J Kor Acad Periodontol. 1995;25(3): 478-486. 

  33. Greenberg M, Umezis P, Tian M. Compressed mints and chewing gum containing magnolia bark extract are effective against bacteria responsible for oral malodor. J Agric Food Chem. 2007;55(23):9465-9. 

  34. 홍정표. 구취. 경희의학. 2000;16(1):4-7. 

  35. Hunter CM, Niles HP, Vazquez J, Kloos C, Subramanyam R, Williams MI et al. Breath odor evaluation by detec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correlation with organoleptic odor ratings. Oral Dis. 2005;11 Suppl 1:48-50. 

  36. Baharvand M, Maleki Z, Mohammadi S, Alavi K, Moghaddam EJ. Assessment of oral malodor: a comparison of the organoleptic method with sulfide monitoring. J Contemp Dent Pract. 2008 Jul 1;9(5):76-83. 

  37. Kleinberg I, Codipilly M. Modeling of the oral malodor system and methods of analysis. Quintessence Int. 1999;30:357-69. 

  38. Nakano Y, Yoshimura M, Koga T. Correlation between oral malodor and periodontal bacteria. Microbes Infect. 2002;4:679-683. 

  39. Mel Rogenberg. 구취: 진단 및 연구방법. 서울:신흥인터내셔널;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