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광제 광산화에 의한 Bisphenol A 안정성 감소
Decreased Stability of Bisphenol A by Photosensitiz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3 = no.211, 2010년, pp.277 - 280  

박찬억 (서울산업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재환 (서울산업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내분비교란물질인 BPA는 식품의 포장용기나 젖병 등의 제조에 이용되며, 라이보플라빈 광산화에 의해 안정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산화 시 메틸렌블루, 로즈벵갈, 라이보플라빈, 또는 이산화티타늄 등의 감광제 종류에 따른 BPA안정성을 비교하였고, sodium azide($NaN_3$) 농도에 따른 BPA안정성을 확인하였다. BPA 농도는 라이보플라빈, 로즈벵갈, 메틸렌블루 순서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지만(p<0.05), 이산화티타늄 첨가 시료와 대조구인 감광제 무첨가군의 BPA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BPA의 안정성은 메틸렌블루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NaN_3$ 농도가 증가할수록 BPA 안정성은 증가하였다. 이는 메틸렌블루 광산화에 의한 BPA농도 감소에 일중항산소가 관여함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sphenol A (BPA) is an endocrine disruptor frequently used in food containers, including epoxy resin and polycarbonates. BPA concentrations were monito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under photosensitization of riboflavin (RF), methylene blue (MB), rose bengal (RB), or titani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감광제인 라이보플라빈, 로즈벵갈, 메틸렌블루와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을 활용하여 가시광선 조사 시 BPA안정성을 확인하고, 감광제 중 메틸렌블루의 농도 변화에 따른 BPA안정성 변화와 일중항산소 관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sphenol A란 무엇인가? Bisphenol A(BPA, 2,2-(4,4-dihydoxydiphenyl)propane)는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 수지 등 플라스틱 중합체의 단위체로서, 젖병, 전자레인지용기, 음료수 캔 등의 식품 저장용기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로(1) 공기, 물, 토양, 식품 및 사람의 세포나 혈액에서도 미량 발견된다(2,3). BPA의 구조는 에스트로겐과 유사하며, 체내에서 정상적인 에스트로겐 작용을 방해하는 내분비교란물질로 작용한다.
광분해법은 무엇이 있는가? 식품이나 환경에서 BPA 함량 저감화를 위해 화학적방법 및 광분해법 등의 다양한 제거방법이 연구되고 있다(6-9). 광분해법으로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과 같은 광촉매제(photocatalyst)와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10)과 과산화수소와 Fe(II)이온, 자외선 조사를 통한 photon-Fenton 반응법 등이 대표적이다(8,11). 최근 Ha 등(12)은 라이보플라빈(riboflavin)이 감광제로 작용 시 가시광선 조사에 의해 BPA 농도가 모델시스템 및 차 음료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보고하였다.
Bisphenol A는 에스트로겐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Bisphenol A(BPA, 2,2-(4,4-dihydoxydiphenyl)propane)는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 수지 등 플라스틱 중합체의 단위체로서, 젖병, 전자레인지용기, 음료수 캔 등의 식품 저장용기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로(1) 공기, 물, 토양, 식품 및 사람의 세포나 혈액에서도 미량 발견된다(2,3). BPA의 구조는 에스트로겐과 유사하며, 체내에서 정상적인 에스트로겐 작용을 방해하는 내분비교란물질로 작용한다. BPA는 에스트로겐이 관여하는 여러 반응에서 유전적, 비유전적인 독성을 유발시키며(1), 갑상선 호르몬 활성 저해(4) 및 발암 가능성 등도 보고되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llesteros-Gomez A, Rubio S, Perez-Bendito D. Analytical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bisphenol A in food. J. Chromatogr. A 1216: 449-469 (2009) 

  2. Vandenberg LN, Hauser R, Marcus M, Olea N, Welshons WV. Human exposure to bisphenol A (BPA). Reprod. Toxicol. 24: 139-177 (2007) 

  3. Bergeron RM, Thompson TB, Leonard LS, Pluta L, Gaido KW. Estrogenicity of bisphenol A in a human endometrial carcinoma cell line. Mol. Cell. Endocrinol. 150: 179-187(1999) 

  4. Kaneko M, Okada R, Yamamoto K, Nakamura M, Mosconi G, Polzonetti-Magni AM, Kikuyama S. Bisphenol A acts differently from and independently of thyroid hormone in suppressing thyrotropin release from the bullfrog pituitary. Gen. Comp. Endocr. 155: 574-580 (2008) 

  5. Keri RA, Ho SM, Hunt PA, Knudsen KE, Soto AM, Prins GS. An evaluation of evidence for the carcinogenic activity of bisphenol A. Reprod. Toxicol. 24: 240-252 (2007) 

  6. Lin Y, Shi Y, Jiang M, Jin Y, Peng Y, Lu B, Dai K. Removal of phenolic estrogen pollutants from different sources of water using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ic microspheres. Environ. Pollut. 153: 483-491 (2008) 

  7. Imai S, Shiraishi A, Gamo K, Watanabe I, Okuhata H, Miyasaka H, Ikeda K, Bamba T, Hirata K. Removal of phenolic endocrine disruptors by Portulaca oleracea. J. Biosci. Bioeng. 103: 420-426 (2007) 

  8. Ioan I, Wilson S, Lundanes E, Neculai A. Comparison of Fenton and sono-Fenton bisphenol A degradation. J. Hazard. Mater. 142: 559-563 (2007) 

  9. Zhan M, Yang X, Xian Q, Kong L. Photosensitized degradation of bisphenol A involving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presence of humic substances. Chemosphere 63: 378-386 (2006) 

  10. Xie YB, Li XZ. Degradation of bisphenol A in aqueous solution by $H_{2}O_{2}$ -assisted photoelectrocatalytic oxidation. J. Hazard. Mater. 138: 526-533 (2006) 

  11. Katsumata H, Kawabe S, Kaneco S, Suzuki T, Ohta K. Degradation of bisphenol A in water by the photo-Fenton reaction. J. Photoch. Photobio. A 162: 297-305 (2004) 

  12. Ha DO, Jeong MK, Park CU, Park MH, Chang PS, Lee JH. Effect of riboflavin photosensitization on the degradation of bisphenol A (BPA) in model and real-food systems. J. Food Sci. 74: 380-384 (2009) 

  13. Foote CS, Denny RW. Chemistry of singlet oxygen quenching by $\beta$ -carotene. J. Am. Chem. Soc. 90: 6232-6238 (1968) 

  14. Boff JM, Min DB. Chemistry and reaction of singlet oxygen in foods. Compr. Rev. Food Sci. F. 1: 58-72. (2002) 

  15. King JM, Min DB. Riboflavin photosensitized singlet oxygen oxidation of vitamin D. J. Food Sci. 63: 31-34 (1998) 

  16. Skibsted LH. Light-induced changes in dairy products. Bull. Int. Dairy Fed. 346: 4-9 (2000) 

  17. Diaz M, Luiz M, Alegretti P, Furlong J, Amat-Guerri F, Massad W, Criado S, Garci NA. Visible-light-mediated photodegradation of 17 $\beta$ -estradiol: Kinetics, mechanism and photoproducts. J. Photoch. Photobio. A 202: 221-227 (2009) 

  18. Fischer BB, Krieger-Liszkay A, Eggen RIL. Oxidative stress induced by the photosensitizers neutral red (type I) or rose bengal (type II) in the light causes different molecular responses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Plant Sci. 168: 747-759 (2005) 

  19. Kim JI, Lee JH, Choi DS, Won BM, Jung MY, Park JY. Kinetic study of the quenching reaction of singlet oxygen by common synthetic antioxidants (tert-butylhydroxyanisol, tert-di-butylhydroxytoluene, and tert-butylhydroquinone) as compared with $\alpha$ -tocopherol. J. Food Sci. 74: 362-369 (2009) 

  20. Lee JM, Chang PS, Lee JH. Effects of photosensitisation and autoxidation on the changes of volatile compounds and headspace oxygen in elaidic trans fatty acid and oleic cis fatty acid. Food Chem. 119: 88-94 (2010) 

  21. Oh YS, Jang ES, Bock JY, Yoon SH, Jung MY. Singlet oxygen quenching activities of various fruit and vegetable juices and protective effects of apple and pear juices against hematolysis and protein oxidation induced by methylene blue photosensitization. J. Food Sci. 71: 260-268 (2006) 

  22. Chang HS, Kim JE, Chung DJ, Lee JS, Choi CB, Kim HY. The antibacterial effect of photo-catalytic titanium dioxide on canine skin. Korean J. Vet. Res. 46: 279-284 (2006) 

  23. Kim HY, Yang WH. Development of wastewater treatment system by energy-saving photocatalyst using combination of solar light, UV lamp and $TiO_{2}$ . Kor. J. Env. Health 29: 51-61 (2003) 

  24. Barbieri Y, Massad WA, Diaz DJ, Sanz J, Amat-Guerri F, Garcia NA. Photodegradation of bisphenol A and related compounds under natural-like conditions in the presence of riboflavin:Kinetics, mechanism, and photoproducts. Chemosphere 73: 564-571 (2008) 

  25. Lee JH, Min DB. Changes of headspace volatiles in milk with riboflavin photosensitization. J. Food Sci. 74: C563-568 (2009) 

  26. Yang SO, Lee SW, Chung J, Lee JH. Stability of isoflavone daidzein and genistein in riboflavin, chlorophyll b, or methylene blue photosensitization. J. Food Sci. 73: 100-105 (2008) 

  27. Lee SW, Chang PS, Lee JH. Effects of riboflavin photosensitization on the changes of isoflavones in soymilk. J. Food Sci. 73: 551-555 (2008) 

  28. Yang SO, Lee JM, Lee JC, Lee JH. Effects of riboflavin-photosensitization on the formation of volatiles in linoleic acid model systems with sodium azide or $D_{2}O$ . Food Chem. 105: 1375-1381 (2007) 

  29. DeRosa MC, Crutchley RJ. Photosensitized singlet oxygen and its applications. Coordin. Chem. Rev. 233-234: 351-371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