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학교급식에서의 잠정적 위험식품에 접종된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변화
The Growth Kinetics of S. aureus Inoculated onto Potentially High Risk Foods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3, 2010년, pp.335 - 345  

최정화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정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청) ,  윤기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곽동경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 선정된 메뉴를 대상으로 경쟁 미생물이 존재하는 상태(비멸균)와 존재하지 않는 상태(멸균)에 따라 접종한 S. aureus의 증식결과를 비교 시 콩나물은 경쟁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두부조림과 잡채는 경쟁미생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우세적으로 S. aureus가 성장하였으며 미트볼 완자전의 성장은 경쟁 미생물이 존재하는 상태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모두 유사하게 활발히 증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S. aureus는 독소를 생성하는 균으로 조리 후에도 생육이 가능하므로 조리 후 배식되기까지 보관온도 및 초기 오염 농도에 따른 균의 증식을 예측한 결과 초기오염농도에 대한 S. aureus의 증식은 오염농도가 낮을 때($1.0{\times}10^2\;CFU/g$)보다도 오염농도가 높을 때($1.0{\times}10^5\;CFU/g$) 균증식이 빠르게 일어남이 확인되었다. 같은 보관온도와 처리조건에서 균의 오염농도가 낮은 경우와 비교했을 때 오염농도가 높을 경우 LT는 감소하고 SGR은 증가하여 균증식이 더 빠르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S. aureus는 경쟁력이 약하기 때문에 경쟁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증식이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잡채의 경우는 경쟁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보다도 경쟁 미생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균 증식이 잘 이루어졌다. 미트볼 완자전을 제외하고는 잠재적 위해 메뉴들의 경쟁 미생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균 증식은 기존의 증식예측 모델이 Gompert 공식에 잘 적용되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에서 의도했던 외적인 환경인자(온도, 초기오염농도 등)외에 의도하지 않았던 식품 내 존재하는 내적인 환경인자(항균효과가 있는 양념, 경쟁관계 있는 균 분포 및 농도 등)의 영향이 S. aureus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모든 메뉴에서 초기 접종 농도가 높고. $35^{\circ}C$에서 배양한 경우 S. aureus의 증식 속도가 높아 3시간 이내에 6 log CFU/g 이상으로 나타나 위험범위에 도달하였으며, 특히 동물성 단백질이 주성분인 미트볼 완자전의 경우 증식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비멸균과 멸균군의 차이는 메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메뉴의 특성에 따른 보관온도별 S. aureus 분포 변화는 본 연구의 접종실험 결과와 USDA Pathogen Modeling Program(PMP) 모델으로부터 얻어진 S. aureus의 성장곡선 결과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는 USDA Pathogen Modeling Program(PMP) 프로그램에 S. aureus의 성장을 최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형성된 broth 상태에서 실시된 것과 다르게 접종실험이 현재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며, 본 연구에서 실험 메뉴는 실제 조리된 식품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분포와 수준을 반영하기 위해서 경쟁 미생물이 존재하는 상태와 비존재 상태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실제 제공되는 메뉴에는 S. aureus 이외에도 다른 미생물들의 경쟁적인 존재와 식품을 구성하는 영양성분, 식품의 조리과정중 사용되는 양념류, 조리방법의 차이가 균의 증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예측 미생물학을 가공식품이나 유제품이 아닌 급식에서 제공되는 음식에 시도한 연구로서 실험 조건인 접종농도, 멸균여부와 보관온도의 모든 조건에서 성장예측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으나 앞으로 조리된 식품에서 예측모델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질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odel the kinetics of S. aureus survival on high risk foods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After inoculating S. aureus ATCC25923 onto the various high risk foods, the effects of competitive microorganism, storage temperatures($25^{\circ}C$, $35^{...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배식되기까지 저장온도와 시간에 따라 접종된 S. aureus의 growth kinetic 차이를 규명하고, S. aureus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학교급식소에서 S. aureus 식중독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보관온도-시간 관리기준의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 log CFU/g이 검출되었고 다른 균들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비멸균상태 두부조림의 배양 전 식품에 존재했던 경쟁적 균들의 분포와 농도는 멸균된 두부조림의 경우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어, 비멸균상태와 멸균상태를 구별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2시간 이후부터 비멸균상태에서 균의 성장이 많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중고의 전면급식 실시는 언제 이루어졌는가? 우리나라의 학교급식은 국가의 주요시책으로 추진되어 전국적으로 확대된 결과, 초등학교는 1997년부터, 고등학교는 1999년부터, 중학교는 2003년부터 전면급식을 실시하고 있다. 2008년 현재 전국 초⋅중⋅고⋅특수학교의 99.
국가의 주요시책인 학교급식에서 강조하는 것은 무엇인가? 7%인 11,106개교에서 760만 명이 급식을 제공받고 있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학교급식은 양질의 급식으로 안전하게 공급되어야 하며 국가식량정책과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야 함이 강조되고 있다(Ha SD 2008).
식중독 발생이 점차 대형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식중독 발생은 위생에 관한 의식과 관리 수준이 사회적으로 강화되어 있는 미국과 선진 유럽국가에서도 비교적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규모 면에 있어서도 대형화되어 가고 있다(Mead PS 등 1999). 우리나라에서도 식중독 발생이 점차 대형화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식생활의 서구화와 학교급식을 포함한 집단급식의 발전 및 외식증가 등의 식생활 문화의 변화에 따른 결과로 여겨지고 있다(Ko SH와 Kim JH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hk GJ, Oh DH, Ha SD, Park KH, Joung MS, Chun SJ, Park JS, Woo GJ, Hong CH. 2005.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model for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ab. Korean J Food Sci Technol 37(3):484-491 

  2. Bahk GJ, Todd ECD, Hong CH, Oh DW, Ha SD. 2007. Exposure assessment for Bacillus cereus in ready-to-eat Kimbab selling at stores. Food Control 18:682-688 

  3. Baird-Parker AD, Kilsby D. 1987. Principles of predictive food microbiology. J Appl Bacteriol 63(Suppl.):435S-495S 

  4. Bean NH, Goulding JS, Lao C, Angulo FJ. 1996. Surveillance for foodborne-disease outbreaks-United States, 1998-1992. Mob Mortal W Rep 45(SS-5):1-66 

  5. Bergdoll MS. 1989. Staphylococcus aureus. In: Doyle MP(Ed.) Foodborne bacterial pathogens. Marcel Dekker Inc., New York. pp 463-523 

  6. Bergdoll MS, Czop JK, Gould SS. 1974. Enterotoxin synthesis by the staphylococci. Ann NY Acad Sci 236(Recent advances in Staphylococcal research): 307-316 

  7. Bremer PJ, Fletcher GC, Osborne C. 2004. Staphylococcus aureus. New Zealand Institute for Crop & Food Research Limited Available from: http://www.crop.cri.nz/home/research/marine/ pathogens/staphylococcus.pdf Accessed December 7, 2009 

  8. Bryan FL, Teufel P, Riaz S. 1992. Hazard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of vending operations at a railway station and a bus station in Pakistan. J Food Prot 55(7):534-541 

  9. Chung KS, Kim JY, Kim YM. 2003.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and heat-treated garlic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540-543 

  10. Chung MO, Seo SH. 2008. School dietitians' perceptions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 and inspection of food safety and sanitation. J Korean Diet Assoc 14(2):176-185 

  11. Dahl CA, Mathews ME, Marth EH. 1981. Survival of Streptococcus faecium in beef loaf and potatoes after microwaveheating in a simulated cook/chill foodservice system. J Food Prot 44:128-133 

  12. Dalgaard P, Jorgensen LV. 1998. Predicted and observed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seafood challenge tests and in naturally contaminated cold-smoked salmon. Int J Food Microbiol 40(1-2):105-115 

  13. Elliott PH. 1996. Predictive microbiology and HACCP. J Food Prot Supplement: 48-53 

  14. Goulet V, Recourt J, Rebiere I. 1998. Listeriosis outbreak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Rillettes in France in 1993, JID, 177(1):155-160 

  15. Ha SD. 2008. Management policy and safety problem of school food services. Food Safe 3(1):13-21 

  16. Han BZ, Sesenna B, Beumer RR, Robert Nout MJ. 2005. Behaviour of Staphylococcus aureus during sufu production at laboratory scale. Food Control 16(3):243-247 

  17. International Commission of Microbiological Specifications for Foods(ICMSF). 1996. Microorganisms in Foods, vol. 2, Sampling for microbiological analysis: principles and specific applications.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p 143 

  18. Jang JS, Bae HJ. 2006. Analysis of usage frequency of foods with microbiological hazards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 Korean J Food & Nutr 19(2):234-241 

  19. Kim CR, Koh DH. 2007. Quality evaluations of a citron biosoybean paste. Korean J Food & Nutrition 20(1):34-39 

  20. Ko SH, Kim JY. 2004. Influence of holding methods and times on recovery of Salmonella Typhimurium in simmered pork and ham & cucumber salad served at foodservice institu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4):352-357 

  21. Korean Food Drug Administration. 2009. Frequency of foodborne illness.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 Accessed May 7, 2009 

  2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School food service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 Accessed May 7, 2009 

  23. Lara JAF, Senigalia SWB, Oliveira TCRM, Dutra IS, Pinto MF, Shimokomaki M. 2003. Evaluation of survival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Clostridium botulinum in charqui meats. Meat Science 65(1):609-613 

  24. Lee SA, Park KJ, Kang ST. 2003. Application of HACCP for hygiene control to Jabchae in team foodservice faci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9(4):81-97 

  25. Mayes T. 1998. Risk analysis in HACCP: Burden or benefit? Food Control 9(2-3):171-176 

  26. Mead PS, Slutsker L, Diets V, McCaig LF, Bresee JS, Shapiro C. 1999. Food-related illness and death in United States. Emerg Infect Dise 5(5):607-625 

  27. Noleto AL, Bergdoll MS. 1980. Staphylococcal enterotoxin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non-enterotoxigenic staphylococci. Appl Environ Microbiol 39(6):1167-1171 

  28. Normanno G, Firinu, A Virgilio S, Mula G, Dambrosio A, Poggiu A, Decastelli L, Mioni R, Scuota S, Bolzoni G, Giannatale E. Salinetti AP, Salandra G, Bartoli M, Zuccon F, Pirino T, Sias S, Parisi A, Quaglia NC, Celano GV. 2005. Coagulase-positive Staphylococci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food products marketed in Italy. Int J Food Microbiol 98(1):73-79 

  29. Pereira JL, Sakzberg SP, Bergdoll MS. 1991. Production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 D in foods by low-enterotoxinproducing staphylococci. Int J Food Microbiol 14(1):19-26 

  30. Petching U, Woodburn MJ. 1990.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in nham (Thai-style fermented pork sausage). Int J Food Microbiol 10(3-4):183-192 

  31. Portocarrero SM, Newman M, Mikel B. 2002. Staphylococcus aureus survial staphylococcal enterotoxin production and shelf stability of country-cured hams manufactured under different processing procedures. Meat Science 62(2):267-273 

  32. Soboleva TK, Pleasants AB, Le Roux G. 2000. Predictive microbiology and food safety. Int J Food Microbiol 57(3):183-192 

  33. Troller JA. 1986. Water relations of foodborne bacterial pathogen, An update review. J Food Prot 49(8):656-670 

  34.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9. Pathogen Modeling Program 7.0. Available from: http://www.ars.usda.gov. Accessed Jan 3, 2009 

  35. Utermann F. 1999. Food safety management and misinterpretation of HACCP. Food Control 10(3):161-167 

  36. Utermann F, Muller C. 1992. Influence of aw value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multiplication and enterotoxin formation of staphylococci in dry-cured raw hams. Int J Food Microbiol 16(2):109-115 

  37. Wall PG. 1999. Food borne humane disease: Is a veterinary problem? J Hospital Infect 43(supplement1):S149-S151 

  38. Whiting RC, Buchnan RL. 1997.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model for Salmonella enteritidis in pasteurized liquid egg. Int J Food Microbiol 36(2-3):111-125 

  39. Yin MC, Cheng WS. 2003.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garlic-derived organic sulfur compounds in ground beef. Meat Science 63(1):23-28 

  40. Zwietering MH, De Wit JC, Notermans S. 1996. Application of predictive microbiology to estimate the number of Bacillus cereus in pasteurized milk at the point of consumption. Int J Food Microbiol 30(1-2):55-7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