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유와 즉석섭취 메추리알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지방과 저장온도의 영향
Effect of Fat Content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Survival Kinetic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Milk and Ready to Eat (RTE) Quail Egg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5, 2014년, pp.603 - 612  

고영미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수현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근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나유진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진산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약품관리과) ,  윤기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microbiological standard, Staphylococcus aure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Listeria monocytogenes should not be detected in milk and egg products in Korea. Refrigerated food such as milk must be kept under $10^{\circ}C$ at retail markets. However, temperature abuse of 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일반우유, 무지방 우유 및 삶아서 껍질을 깐 상태로 판매되는 알가열 성형제품에서 냉장 온도와 각 제품의 오염 정도에 따라 병원성 식중독균의 생육변화를 분석하여 유통환경에서의 지방 및 저장온도가 이들 제품의 안전성에 미치는 효과 및 유통환경에서 보관 온도와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유 및 알 가열 성형제품에서 음성관리 되고 있는 식중독 균으로 L.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일반우유, 무지방 우유 및 삶아서 껍질을 깐 상태로 판매되는 알가열 성형제품에서 냉장 온도와 각 제품의 오염 정도에 따라 병원성 식중독균의 생육변화를 분석하여 유통환경에서의 지방 및 저장온도가 이들 제품의 안전성에 미치는 효과 및 유통환경에서 보관 온도와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유 및 알 가열 성형제품에서 음성관리 되고 있는 식중독 균으로 L. monocytogenes, S. aureus, C. perfringens를 대상 식중독균으로 선정하여 이들 균이 음성관리 되지 않았을 경우에 유통환경에서의 위험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병원성 식중독 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우유 및 계란 가공품을 4, 10, 15℃에 저장하면서 유통기한 동안 지방성분, 보관온도, 오염농도가 미생물의 증식 및 생존 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반 우유와 무지방 우유에서의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유 제품의 냉장, 냉동보관은 어떤 온도에서 이루어져야 하는가? 또한 메추리알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주로 섭취가 되고 있는데, 메추리알 제품 중 삶아서깐 상태로 판매되는 제품은 알가열성형제품 중에 하나로 삶는 과정과 껍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한 제품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는 현대시대의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가공식품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축산 가공식품의 경우에는 소비까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주로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냉장식품은 0~10°C, 냉동식품은 -18°C 이하에서 유지되도록 엄격히 법적 관리 되고 있지만(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저장 유통 중 온도 관리가 부적절하게 이루어질 경우 부패균 및 식중독균 증식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최근의 우유소비 형태는 어떻게 변하고 있나? 우유 제품은 과거에 전유(whlole milk)로만 한정하여 판매되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건강과 다이어트와 관련한 저지방 관련 식품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우유소비가 점차 전유 중심에서 저지방(semi-skimmed milk) 또는 무 지방(skimmed milk) 우유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Cho SJ와 Park JS 2011). 또한 메추리알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주로 섭취가 되고 있는데, 메추리알 제품 중 삶아서깐 상태로 판매되는 제품은 알가열성형제품 중에 하나로 삶는 과정과 껍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한 제품으로 편리성을 추구하는 현대시대의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가공식품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축산가공식품들이 다른 가공식품보다 더 특별한 안전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2 kg, 계란 소비량은 2008년 224개, 2010년 236개, 2013년 245개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유와 계란과 같은 축산가공식품들은 고단백·고영양원으로, 생산으로부터 도축·가공·유통·판매 등 전과정 중 부패 및 변질이 되기 쉬우므로 다른 가공식품 보다 더 특별한 안전 관리와 주의가 요구된다(Kim HW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sh M. 1997.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al enterotoxin. In: A.D. Hocking, G.A.I.J.K.N.a.P.S. eds. Foodborne Microorganisms of Public Health Significance. 5th ed. AIFST (NSW Branch) Food Microbiology Group. Sydney, Australia pp 313-332 

  2. Atanassova V, Meindl A, Ring C. 2001. Preval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al enterotoxins in raw pork and uncooked smoked ham-a comparison of classical culturing detection and RFLP-PCR. Int J Food Micrbiol 68(1):105-113 

  3. Byrne B, Dunne G, Bolton DJ. 2006. Thermal inactivation of Bacillus ce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vegetative cells and spores in pork luncheon roll. Food Microbiol 23(8):803-808 

  4. Cho SJ, Park JS. 2011. Impediment of dairy industry development: butterfat crude price system. GS&J Insititute 121:1-11 

  5. Cooper KK, Songer JG, Uzal FA. 2013. Diagnosing clostridial enteric disease in poultry. J Vet Diagn Invest 25(3):314-327 

  6. Farber JM, Ross WH, Harwig J. 1996. Health risk assessment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Canada. Int J Food Microbiol 30(1-2):145-156 

  7. Heggers JP, Cottingham J, Gusman J, Reagor L, Mccoy L, Carino E, Cox R, Zhao JG. 2002. The effectiveness of processed grapefruit-seed extract as an antibacterial agent; II Mechanism of action and in vitro toxicity. J Altem Complem Med 8(3): 333-340 

  8. Juneja VK, Call JE. Marmer BS, Miller AJ. 1994. The effect of temperature abuse on Clostridium perfringens in cooked turkey stored under air and vacuum. Food Microbiol 11(3):187-193 

  9. Kim HW, Paik HD, Hong WS, Lee JY. 2009. Overview of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Food (Livestock Products) Transportation Systems on International - and National-level HACCP Applicatio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9(4):513-522 

  10. Labbe RG. 2001. Clostridium perfringens. pp 325-330 In: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Downs FP, Ito K. (eds).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11. Liewen MB, Plautz MW. 1998. Occurr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raw milk in Nebraska. J Food Prot 51(11):840-841 

  12. Li J, McClane BA. 2006. Further comparison of temperatureeffects on growth and survival of Clostridium perfringenesType A isolates carrying a chromosomal or plasmid-borneenterotoxin gene. Appl Environ Microbiol 72(7):4561 

  13. McDonel JL. 1980. Clostridium perfringens toxins (type A, B, C,D, E). Pharmacol Ther 10(3):671-655 

  1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lib.mafra.go.kr. Accessed September 23, 2013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7. Microbial change monitoring in food by temperature management. Korean Consumer Agency. Korea pp 1-17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vailable from; http://fse.foodnara.go.kr/residue/RS/jsp/menu _02_01_01.jsp. Accessed December 31, 2013 

  17. Park JH. 2009. A study of growth Clostridium perfringens in a 'Sous-vide/Cook-chill' Korean traditional seasoned beef rib. Master thesis. The Hanyang University of Korea. p 6 

  18. Reagor L, Gusman J, NcCoy L, Carino E, Heggers JP. 2002. The effectiveness of trated grapefruit-seed extract as an antibacterial agent. I An in vitro agar assay. J Altem Complem Med 8(3):325-332 

  19. Seelinger HPR, Jones D. 1986. Listeria. Vol 2. pp 1235-1245. In: Sneath PHA., Mair NS, Sharp ME, Holt JG (eds).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Williams and Wilkins Baltimore 

  20. Velugoti PR, Bohra LK, Juneja VK, Thippareddi H. 2007. Inhibition of germination and outgrowth of Clostridium perfringens spores by lactic acid salts during cooling of injected turkey. J Food Prot 70(4):923-92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