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의 생육시기와 재식위치에 따른 엽록소 형광반응 및 광합성 특성
Effect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Photosynthesis Characteristics by Planting Positions and Growth Stage in Panax ginseng C. A. Meyer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8 no.2, 2010년, pp.65 - 69  

오동주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이충열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김성만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이관영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이수지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황대연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손홍주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원준연 (중부대학교 한방건강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cool-season plant, Panax ginseng C. A. Meyer is planted under shade-installation with tall front and low rear. However, at different planting positions, distinct differences come out because ginseng grows at the same position within 3~5 years and the growth circumstance changes a lot by the sha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생육시기별로 재식위치에 따라 엽록소 형광반응과 광합성속도 및 기공전도도 등을 조사하여 인삼의 광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의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인삼의 수확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건전한 잎을 오랫동안 지속시켜 생육후기까지 광합성작용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조건을 만들어 물질생산을 증대시켜야 한다. Park 등(1986)은 일반적으로 해가림 내의 광량이 3,000 lux 이하로 낮을 경우에는 근의 비대가 현저히 떨어지며, 반대로 광량이 최적 상태보다 과다하면 엽록소의 파괴로 잎의 기능이 저하되고 조기낙엽이 유도되어 수량감소를 가져온다고 하였고, Lee 등(1982)은 인삼 해가림 내에서 광량이 많은 전주부근에서 성장한 인삼 잎은 광포화점이 10,000 lux인데 반하여, 광량이 부족한 후주부근에서 성장한 인삼 잎은 광포화점이 4,000 lux로, 전·후주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광 조건에서 생육한 인삼 잎의 광합성능력은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한 바 있다.
고온 및 고광 조건을 선호하지 않는 인삼의 해가림 시설의 구조는 어떠한가?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인삼의 해가림 구조를 살펴보면, 전주가 높고 후주가 낮아서 해가림의 경사도에 따라 유입되는 광량이 인삼의 재식 위치 즉 전주와 후주에 따라 차이가 있고(Kim et al., 1982; Lee et al.
인삼의 광합성은 어떠한 경향 특성을 보이는가?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인삼의 광합성은 모든 재식위치에서 광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광합성 속도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PAR 200~400 μ㏖-2s-1 부근에서 최고치를 보였으며 그 이후의 광량에는 큰 변화없이 일정한 경향을 보였고, 광량을 많이 받는 전주에서 광합성속도가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육시기가 진행될수록 광합성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6월에는 전주, 중주, 후주에 따라 인삼의 광합성속도가 큰 폭의 차이를 보였으나, 8월에는 재식위치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ro Em, Virvin I and Andersson B. (1993). Photoinhibition of photosystem II. Inactivation. protein damage and turnover.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143:113-134. 

  2. Baker NR. (1991). A possible role for photosynthesis II. In enviormental perturbations of photosynthesis. Physiogia Plantarum. 81:563-570. 

  3. Cheon SK, Lee TS, Yoon JH, Lee SS and Mok SK. (2004). Effect of light transmittance control on the root yield and quality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Panax ginseng. Korean Journal Ginseng Science. 28:196-200. 

  4. Chowm WS. (1994). Photoprotection and photoinhibitory damage. Molecular Cell Biology. 10:151-196. 

  5. Demming B and Bjorkman O. (1987). Comparison of the effect of excessive light of chorophyll fluorescence(77k) and photon yield of $O_2$ evolution in leaves of higher plants. Planta. 171:171-184. 

  6. Gent B, Briantais JM and Baker NR.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ntum yield of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nd quenching of chlorophyll fluorescence.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990:87-92. 

  7. Jo JS, Mor SK and Won JY. (1998). New ginseng cultivation. Seon Jin Cultural History Press, Seoul, Korea. pp. 186-187. 

  8. Kim JM, Lee SS, Cheon SR and Cheon SK. (1982).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growth of ginseng plant in field I. Productive structures as affected by planting positions and ages. Korean Journal Crop Science. 27:94-98. 

  9. Kim MJ, Li XG, Han JS, Lee SE and Choi JE. (2009). Effect of blue and red LED irradi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aponin contents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187-191. 

  10. Lee CY. (2007a). Effects of shading material of rain shelter on growth and quality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291-295. 

  11. Lee CY. (2007b).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with growing stages by different shading materials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276-284. 

  12. Lee JC, Cheon SK, Kim YT and Jo JS. (1980). Studies on the effect od shading materials on the temperature, light intensity, photosynthesis and the root growth of the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25:91-98. 

  13. Lee SS, Cheon CK and Mok SK. (1987).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conditions and growth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32:256-267. 

  14. Lee SS, Kim JM, Cheon SK and Kim YT. (1982).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growth of ginseng plant in field II. Light intensity under shading materials and photosynthesis. Korean Journal Crop Science. 27:169-174. 

  15. Long SP, Humphries S and Faljowski PG. (1994). Photoinhibition of photosynthesis in nature. Annual Review of Plant Physiology. 45:633-662. 

  16. Lee SW, Kim GS, Lee MJ, Hyun DY, Park CG, Park HK and Cha SW. (2007). Effect of blue and yellow polyethylene shading ne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s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194-198. 

  17. Park H, Lee MG and Lee JR. (1986).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of ginseng leaf and root in relation to senescence of aerial park. Korean Journal Ginseng Science. 10:180-186. 

  18. Powles SB. (1984). Photoinhibition of photosynthesis induced by visible light. Annual Review of Plant Physiology. 35:15-44. 

  19. Tyystjarvi E, Koivuniemi A, Kettnen R and Aro EM. (1991). Small light-harvesting antenna does not protect from photoinhibition. Plant Physiology. 97:477-483. 

  20. Won JY, Lee CY, Oh DJ and Kim SM. (2008). Change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photosynthesis under different shade materials in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416-4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