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 신품종의 광합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among New Cultivars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원문보기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高麗人參學會誌, v.26 no.2 = no.66, 2002년, pp.85 - 88  

이성식 (KT&G 중앙연구원 수원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려인삼을 순계분리 육성하여 품종 등록한 인삼 신품종의 광도, 온도별 광합성 능력과 광합성 관련 형질인 기공, 엽록소, 비엽중 및 지상하부 형질들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품종 및 자경종의 광포화점은 15,000 lux내외였고, 광합성 최적온도는 2$0^{\circ}C$였다. 광합성 능은 연풍>천풍>고풍>자경종 순으로 연풍이 가장 높았다. 호흡속도는 모든 품종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빨라지는 경향이었으며, 타품종에 비해 호흡량이 높았다. 비엽중은 천풍>고풍>연풍>자경종 순서로 높았고, 엽록소 함량은 품종간 차이가 근소하였다. 단위면적당 기공수는 연풍이 69.2개로 타계통의 40~47개보다 많았고, 기공의 크기는 연풍이 26.5 $\mu\textrm{m}$ 타품종 37.5~38.8 $\mu\textrm{m}$보다 적었다. 연풍은 경수가 1.8개, 장염수가 7.7개, 소염수가 41.0개, 엽면적이 12.3 dm$_2$로 타 품종보다 지상부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근중은 연풍>천풍>고풍>자경종 순으로 무거웠고, 동장은 천풍과 고풍이 각각 6.5, 6.8 cm로 자경종 5.6 cm보다 길어서 체형이 양호하였으나 연풍은 동장이 4.4 cm로 짧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photosynthetic rate at various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stomata, chlorophyll, specific leaf weight, characteristics of aerial part and root in ginseng new cultivars developed by pure line selection. The light saturation point of leav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5, 6) 그러나 앞으로 품종으로 등록되었거나 등록할 우수계통에 관해서 내재해성에 관한 특성 즉 광내성, 염류내성, 적변내성, 병 내성 등의 특성에 관해서 다양하게 검토 중에 있다. 본 연구는 인삼 우수계통 중에서 품종으로 등록한 4년생을 대상으로 최대광합성 광도 및 최적온도 구명과 생육특성을 조사 검토 하여 인삼신품종의 광합성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종만, 이성식, 김요태 : 고려인삼학회지 5(2), 85(1981) 

  2. 이명구, 이성식, 권우생, 안인옥, 이장호, 강제용, 백종운 : 한국인삼 연초연구원 인삼연구보고서 (재배분야) p.7 (2000) 

  3. 이명구, 이성식, 권우생, 안인옥, 이장호, 목성균 : 한국인삼 연초연구원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p.167 (2001) 

  4. 권우생, 이명구, 최광태 : J. Ginseng Res. 24(1), 1 (2000) 

  5. 권우생, 이명구, 이장호: J. Ginseng Res. 25(1), 41 (2001) 

  6. 이명구, 정찬문, 권우생, 이장호, 정열영, 강제용, 김명수, 최광태 : 한국인삼연초연구원 인삼연구보고서 (재배분야) p.301 (1994) 

  7. Arnon, D. I. : Plant physiology. 24(1), 1 (1949) 

  8. 이성식 , 천성룡, 이종화 : 한국작물학회지 32(2), 157 (1987) 

  9. 이성식, 양덕조, 김요태 : 한국작물학회지. 27(2), 175 (1982) 

  10. 戶刈義次 : 作物の光合成と物質生塵. 養賢堂, 東京. p103 (1972) 

  11. Dobrenz, A. K., Wright, L. N., Humphrey, A. B., Massengale, M. A. and Kneebie, W. R. : Crop Sci. 9, 354 (1969) 

  12. Ishihara, K. Y., Ishide, Y. and Ogura, T : Jap. J. Soci. 40, 497 (1971) 

  13. Miskin, K. E. and Rasmusson, D. E. : Crop Sci. 10, 575 (1970) 

  14. 이성식, 이종화, 박훈 : 고려인삼학회지 8(1), 65 (1984) 

  15. 이종철, 천성기, 김요태 : 고려인삼학회지 4(1), 49 (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