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실무자용 노인인지기능 사정도구(K-GPCog)의 신뢰도, 타당도 분석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Practitioner Assessment of Cognition (K-GPCog)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3 no.1, 2010년, pp.5 - 12  

박지원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김용순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Practitioner Assessment of Cognition (K-GPCog) scale. Method: The K-GPCog consists of the 2 subscales, patients and caregivers. Using a sample of 412 community-based Korean older adul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2008년 7월 이후로 노인 장기요양보험법이 발효되어 방문간호가 활성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노인 대상자를 1차 사정해야 하는 방문인력이 사용할 수 있는 인지장애 선별도구는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인지장애 의심군을 조기에 발견하여 중재함은 노인의 삶의 질 뿐 아니라 의료비용 측면에서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MMSE와 유사한 속성을 가지면서 빠르고 쉽게 배부할 수 있어 일반실무에서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 도구로 선택되고 있는(Brodaty et al., 2006) GPCog 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여 한국인의 인지장애 여부를 선별할 수 있는 도구로도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국외에서 개발된 인지장애 선별도구 GPCog를 우리나라 노인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한국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로 번역한 실무자용 노인인지기능 사정도구(K-GPCog)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MMSE와 유사한 속성을 가지면서 쉽게 이용할 수 있고(Brodaty, Low, Gibson, & Burns, 2006), 시계그리기 검사도 포함하고 있으며 환자뿐 아니라 환자와 함께 사는 주보호자에 대한 문항도 포함하고 있어 일반 실무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도구로 추천되고 있는 GPCog (The General Practitioner Assessment of Cognition)를 우리나라에서 처음 번역하여 한글판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rodaty et al., 2002에 따르면, 제대로 진단되지 않고 있는 치매 환자가 많은 이유 중 본 연구에서 언급한 것은 무엇인가? 이렇듯 제대로 진단되지 않고 있는 치매 환자가 많은 이유중 하나는 최일선 실무자가 사용할 간편한 선별 도구가 부족 하기 때문이다(Brodaty et al., 2002).
Shin, So, & Lee, 2008에 따르면, 치매를 평가하는데 포함되어야 할 3가지 영역은 무엇인가? 치매를 평가하는데는 기억장애, 언어장애, 그리고 시공간 능력의 저하 영역이 포함되어야 하는데(Shin, So, & Lee, 2008) MMSE는 기억장애와 언어장애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시공간 구성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를 함께 사용할 필요가 있다. 시공간 구성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CDT (Clock Drawing Test, 시계그리기 검사)의 유용성이 입증되긴 하였으나, CDT 만으론 기억능력 영역을 평가하는 것이 어려워 단일 선별검사로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다(Shin et al.
GPCog 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한 K-GPCog의 신뢰도와 타당도 결과는? 한국어로 번안한 K-GPCog 도구의 신뢰도는 내적일관성으로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 환자부분은 Chronbach's α .778, 주 보호자 부분은 .794로 나타나 도구 개발시 신뢰도가 .70 이상인지를 검토할 것을 권장한 Nunnally와 Bernstien (1994)의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처음 번역하여 사용하는 도구란 점을 감안할 때 신뢰할만한 수준의 도구로 평가되었다. K-GPCog 도구의 타당도는 Pearson분석 및 연령과 학력을 보정한 편상관분석을 통해 기존에 지역사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치매선별도구인 KDSQ도구와의 상관관계로 검정하였으며그 결과 환자부분과는 r=-.374, 주보호자부분과는 r=-.481, 전체문항과는 r=-.493으로 나타나 r값이 .40이상이면 만족한다고 평가한 Montazeri 등의 연구(Kim, 2006에 인용됨)의 기준을 만족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orson, S., Scanlan, J. M., Chen, P., & Ganguli, M. (2003). The Mini-Cog as a screen for dementia: validation in a population-based sampl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1(10), 1451-1454. 

  2. Brodaty, H., Low, L. F., Gibson, L., & Burns, K. (2006). What is the best dementia screening instrument for general practitioners to use?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4(5), 391-400. 

  3. Brodaty, H., Pond, D., Kemp, N. M., Luscombe, G., Harding, L., Berman, K., & Huppert, F. A. (2002). The GPCOG: a new screening test for dementia designed for general practic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0(3), 530-534. 

  4. Bruscoli, M., & Lovestone, S. (2004). Is MCI really just early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of conversion studie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6(2), 129-140. 

  5. Cho, M. J., & Kim, K. H. (1998). Us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in Korea.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6(5), 304-310. 

  6. Choi, H. Y., & Chang, Y. I. (1995). Comparative study on the horizontal measurement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the ROC analysis.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5(2), 153-163. 

  7. Farias, S. T., Mungas, D., Reed, B. R., Cahn-Weiner, D., Jagust, W., Baynes, K., & Decarli, C. (2008). The measurement of everyday cognition (ECog):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Neuropsychology, 22(4), 531-544. 

  8. Heo, J. I., Gug, S. H., Yun, J. S., & Lee, H. Y. (2004). The efficiency of the clock drawing test for differentiating mild dementia from geriatric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 189-205. 

  9. Isella, V., Villa, L., Russo, A., Regazzoni, R., Ferrarese, C., & Appollonio, I. M. (2006). Discriminative and predictive power of an informant report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77(2), 166-171. 

  10. Ishikawa, T., Ikeda, M., Matsumoto, N., Shigenobu, K., Brayne, C., & Tanabe, H. (2006). A longitudinal study regarding conversion from mild memory impairment to dementia in a Japanese comm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1(2), 134-139. 

  11. Ismail, Z., Rajji, T. K., & Shulman, K. I. (2010). Brief cognitive screening instruments: an updat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5(2), 111-120. 

  12. Jung, Y. M., & Kim, J. H. (2004).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3), 495-503. 

  13. Kang, Y. S., Ha, J. Y., Kim, S. H., Lee, H. L., Park, W. M., & Lee, S. H. (1997). The usefulness of clock drawing test as screening for dementia on the ba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lock drawing and MMSE-K. Journal of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e, 18(8), 785-792. 

  14. Kim, B. Y., Kim, H. J., Baek, M. J., & Kim, S. Y. (2007). Preliminary study for expanding the clinical utility of clock drawing test: Alzheimer's disease vs.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7(2), 39-46. 

  15. Kim, J. I. (2006). A validation study on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Edinbe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3), 204-208. 

  16. Ko, I. S., Lee, T. W., Lee, K. J., Lee, C. Y., Lim, M. H., Cheon, E. Y., Ju, Y. M., & Lee, K. C. (2005). Analysis of health problems of low-income home care elderly at a urban-rural composite a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7(2), 136-147.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2006 Population projection: Aged population by sex and age group. Retrieved February 5, 2010, from http://www.kostat.go.kr 

  18. Landis, J. R., & Koch, G. G.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33(1), 159-174. Retrieved February 5, 2010, from http://en. wikipedia.org/wiki/Cohen%27s_kappa#Example 

  19. Lee, J. Y., Lee, D. W., Cho, S. J., Na, D., L., Jeon, H. J., Kim, S. K., Lee, Y. R., Youn, J. H., Kwon M. S., Lee, J. H., & Cho, M. J. (2008). Brief screening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outpatient clinic: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21(2), 104-110. 

  20. Lee, K. S., Cheong, H. K., Oh, B. H., Hong, C. H., & Lee, D. W.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our scoring methods of clock drawing test for screening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8(1), 53-60. 

  21. Montorio, I., & Izal, M. (1996).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 review of its development and utilit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8(1), 103-112. 

  22. Nunnally, J. C., & Bernstie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Y: McGraw-Hill. 

  23. Powlishta, K. K., Von Dras, D. D., Stanford, A., Carr, D. B., Tsering, C., Miller, J. P., et al. (2002). The clock drawing test is a poor screen for very mild dementia. Neurology, 59(6), 898-903. 

  24. Rajji, T. K., Miranda, D., Mulsant, B. H., Lotz, M., Houck, P., Zmuda, M. D., Bensasi, S., Reynolds, C. F., & Butters, M. A. (2009). The MMSE is not an adequate screening cognitive instrument in studies of late-life depressio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43(4), 464-470. 

  25. Shin, H. H., So, H. Y., & Lee, A. Y. (2008). Comparing clinical usefulness of cognitive function Tests (CDT, K-MMSE, K-3MS, CDR) in dementia patient.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1(2), 90-98. 

  26. Yamamoto, S., Mogi, N., Umegaki, H., Suzuki, Y., Ando, F., Shimokata, H., & Iguchi, A. (2004). The clock drawing test as a valid screening method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18(2), 172-179. 

  27. Yoon, C. H., & Lee, H. K. (1997). The effects of self-esteem, health status, family relation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aged widow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7(1), 289-3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