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삭기 작업영역의 전방위 장애물 탐지기술 개발
Development of Omnidirectional Object Detecting Technology for a Safer Excavator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0 no.4 = no.42, 2010년, pp.105 - 112  

소지윤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Hee University) ,  이준복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Hee University) ,  한충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He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건설 산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숙련공 부족 현상, 기술자의 고령화 문제, 안전상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자동화 건설기계들의 개발 요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특히 토공작업은 매우 기계 의존적인 작업이기 때문에 자동화 건설기계의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동화 굴삭기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는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공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토공작업 시 작업환경의 안전을 위해, 레이저센서를 이용하여 자동화 굴삭기의 안전관리 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한 장애물 탐지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요소기술로 선정된 레이저 센서의 입증된 성능을 바탕으로 여러 대의 센서를 동시에 구동하는 전방위 탐지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고, 굴삭기 장착 실험의 이전 과정으로 전방위 탐지 기술에 대한 토공사 현장에서의 기능테스트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작동 실험을 실시한다. 이는 자동화 굴삭기의 안전관리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construction equipments is gradually increasing to deal with the current problems of construction technology, such as a lack of experienced workers, the aging of engineers, safety issues, etc. In particular, earth work such as excavation is very machine-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4]에서 총 3회의 기능실험(functional test)을 실시하였다. 1차 실험을 통해 원거리 장애물과 움직이는 물체의 탐지 가능 여부를 확인하였다. 2차 실험은 비가 오는 악천후에도 장애물 탐지 가능여부, 3차 실험은 토공현장에서의 장애물 탐지 가능여부 확인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 1차 실험을 통해 원거리 장애물과 움직이는 물체의 탐지 가능 여부를 확인하였다. 2차 실험은 비가 오는 악천후에도 장애물 탐지 가능여부, 3차 실험은 토공현장에서의 장애물 탐지 가능여부 확인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4]를 통해 요소기술로 선정된 레이저 센서의 입증된 성능을 바탕으로 여러 대의 센서를 동시에 구동하는 전방위 탐지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굴삭기 장착 실험의 이전 과정으로 토공사 현장에서의 전방위 탐지기술의 기능테스트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작동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평가한다.
  •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 굴삭기에 적용하기 위한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의 기초연구로써, 토공현장에 적용 가능한 전방위 장애물 탐지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토공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자동화 굴삭기의 안전관리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는 토공 작업환경의 안전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개발된 알고리즘을 요소기술에 적용하여 성능실험을 실시하였고 요소기술의 적정성을 확인하였으나, 굴삭작업영역 전방위에 대한 센싱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작업영역의 전방위 탐지가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굴삭기의 자동화 목표를 원격조정까지로제한하였으며, 기술적 문제로 사면에서의 작업은 배제하고 평지 작업만을 고려하였다. 이런 점을 바탕으로 토공 작업 영역에서의 자동화 굴삭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위한 전방위 장애물 탐지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범위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 산업에서 특히 기계 의존적인 작업으로 자동화 건설 기계의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늘어나고 있는 작업은 무엇인가? 현재 건설 산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숙련공 부족 현상, 기술자의 고령화 문제, 안전상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자동화 건설기계들의 개발 요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특히 토공작업은 매우 기계 의존적인 작업이기 때문에 자동화 건설기계의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동화 굴삭기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는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공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토공작업 시 작업환경의 안전을 위해, 레이저센서를 이용하여 자동화 굴삭기의 안전관리 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한 장애물 탐지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자동화 굴삭기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현재 건설 산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숙련공 부족 현상, 기술자의 고령화 문제, 안전상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자동화 건설기계들의 개발 요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특히 토공작업은 매우 기계 의존적인 작업이기 때문에 자동화 건설기계의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동화 굴삭기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는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공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토공작업 시 작업환경의 안전을 위해, 레이저센서를 이용하여 자동화 굴삭기의 안전관리 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한 장애물 탐지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자동화 건설기계들은 무엇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인가? 현재 건설 산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숙련공 부족 현상, 기술자의 고령화 문제, 안전상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자동화 건설기계들의 개발 요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특히 토공작업은 매우 기계 의존적인 작업이기 때문에 자동화 건설기계의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동화 굴삭기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는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Kim YS, Kim HC, Seo JH, Oh Sw. A study for the introduction of construction automation and robotics technologies in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1;17(2):111-120. 

  2. Hasegawa Y. Constructi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2006:565-568. 

  3. Anthony S, John B, Sanjiv S, Patrick R. A robotic excavator for autonomous truck loading. The Robotics Institute of Carnegie Mellon University; 1999. 

  4. Soh JY, Kim MW, Lee JB, Han CH.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y for object detection in excavation work using laser senso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8;8(4):71-77. 

  5. Kim MW. A study on the application strategies of object detection technology for secure safety in automated construction machine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2009. 

  6. Sarata S, Koyachi N, Kuniyoshi H, Tsubouchi T, Sugawara K. Detection of dump truck for loading operation by wheel loader.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2007:181-1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