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미역부산물의 첨가가 Holstein 비유우의 비유성적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Brown Seaweed Waste (FBSW) on Milk Production,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Holstein Dairy Cows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4, 2010년, pp.287 - 296  

홍중산 (천진농학원 동물자원과학과) ,  이철호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허성웅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윤금룡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김영성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이현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이상범 (부산대학교 동물생명자원과학과) ,  최윤재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이홍구 (부산대학교 동물생명자원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시험은 발효미역부산물의 수준별 첨가가 Holstein 비유우의 산유량과 유성분, 혈중 호르몬과 대사산물 및 IgG와 IgA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발효미역부산물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산유량을 보면 시험 60일에서 대조구와 1% FBSW, 2% FBSW가 각각 28.99 kg/d, 31.00 kg/d, 30.39 kg/d로 1% FBSW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2 kg/d의 유량증가를 보였으며, D0에 대한 유량 증가 또한 대조구 -1.84 kg/d에 비하여 1% FBSW는 0.23 kg/d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유지방, 유단백, SNF, MUN 등 유성분에서는 처리간에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우유중의 Ca농도는 시험 40일에서 대조구가 13.73 mg/dl, 1% FBSW가 18.02 mg/dl, 16.64 mg/dl로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냈다(p<0.05). 우유 중 total cholesterol은 시험개시와 시험 종료시 대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우유중의 체세포는 시험 60일에서 13.86~15.66만개/ml 범위내(체세포 1등급기준 < 20만개/ml)에 있음이 관찰되어 발효미역부산물 첨가의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IgG는 시험 종료 시 처리구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IgA의 농도는 대조구, 1% FBSW, 2% FBSW가 각각 181.23, 207.83, 242.39 ${\mu}g$/ml로 발효미역부산물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갑상선호르몬인 T4는 1%, 2% 발효미역부산물 첨가에 의해 뚜렷한 증가를 보였고(p<0.05), 비유촉진 호르몬인 prolactin 역시 통계적 유의성 차이는 없었으나 1% FBSW가 0.76n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혈중 대사산물인 glucose는 처리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NEFA의 경우도 0.30~0.32 mEq/dl로 처리간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냈다. BUN의 경우 처리 40일에서 대조구, 1% FBSW, 2% FBSW가 각각 19.22, 17.81, 16.58 mg/dl로 2% FBSW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다른 비유기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WBC, RBC, Hb, Hct, T-B, ALP, GOT, GPT 등 항목의 측정결과 시험 20일에서는 각 항목에서 처리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험 40일의 경우 혈중 GOT가 1% FBSW이 107.71 IU/L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2% FBSW가 146.71 IU/L, 대조구가 163.57 IU/L로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냈으나(p<0.05), 다른 비유기에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 수준의 발효미역부산물의 첨가는 젖소의 산유량 증가에 효과적이며, 이는 비유관련 호르몬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우유중 Ca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되는 결과를 볼 때 발효미역부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면 고능력 및 고기능성 젖소사료로의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fermented brown seaweed waste (FBSW) on milk production,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s as functional feed for 60 days in Holstein dairy cows. A total of 24 Holstein dairy cows (average age 49.33 months, average lactation days 175, Reprodu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울러 생초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염장을 하는데 이 경우 염분의 다량함유로 인한 기호성 감소 등의 문제로 좋은 부존사료자원임에도 불구하고 가축의 사료로의 이용성이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박 등 (2003)의 연구에서 알려져 있는 알긴산 분해 능력이 뛰어난 DS-01 균주를 이용하여 미역중 부패의 원인이 되는 알긴산을 저분자화 함으로 부패를 막고 저장기간을 연장시킴으로 건조하지 않고 생초 발효미역부산물 그대로를 젖소용 TMR 사료에 수준별로 첨가하여 산유량과 유성분, 혈중 면역글로불린 및 비유관련 혈중호르몬의 변화양상, 혈중 대사산물을 조사하여 홀스타인 착유우의 유생산량 증가 또는 유성분 강화용 사료로의 이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역의 기능성으로 무엇이 있는가?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해조류를 식용, 약용 그리고 해조공업의 원료로 많이 이용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건강식품으로 인정을 받으면서 본격적인 식량자원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많아 바다의 채소(sea vegetable)라는 이름을 사용할 정도로 우리의 식생활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미역에는 다당류인 알긴산이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Allen 등, 2001), cytokine의 분비 증가(Iwamoto 등, 2002) 와 면역시스템 활성화(Yonekura와 Suzuki, 2003)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갑상선 호르몬 분비 개선을 통한 대사 활성화, 유선발달과 비유촉진(Hadley, 1996)과 더불어 혈중 IGF-1 분비도 촉진 시키는 등(이 등, 2005) 비유와 관련된 내분비 대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기되는 미역 부산물을 사료로 이용하는 데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이들 폐 미역의 대부분은 줄기이고 약간의 포자엽 뿌리로 식용으로 이용되는 미역 잎과 조성이 비슷하여 여러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미역부산물에 대한 가축사료화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지만 이러한 미역부산물을 사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건조 후 분말형태로 제조해야 하는데 이 경우 미역 채취시기가 2~4월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일시에 많은 양을 건조해야 할 시설 및 생초 형태로 저장한다 하더라도 저장에 필요한 냉장시설과 전기료 등으로 생산원가 상승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아울러 생초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염장을 하는데 이 경우 염분의 다량함유로 인한 기호성 감소 등의 문제로 좋은 부존사료자원임에도 불구하고 가축의 사료로의 이용성이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박 등 (2003)의 연구에서 알려져 있는 알긴산 분해 능력이 뛰어난 DS-01 균주를 이용하여 미역중 부패의 원인이 되는 알긴산을 저분자화 함으로 부패를 막고 저장기간을 연장시킴으로 건조하지 않고 생초 발효미역부산물 그대로를 젖소용 TMR 사료에 수준별로 첨가하여 산유량과 유성분, 혈중 면역글로불린 및 비유관련 혈중호르몬의 변화양상, 혈중 대사산물을 조사하여 홀스타인 착유우의 유생산량 증가 또는 유성분 강화용 사료로의 이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미역을 생산하는 데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하지만 해조류 중 미역은 양식을 통하여 얻어지는데 채취 시 미역의 밑 부분은 그대로 바다에 버려지고 육상에서 가공 중에도 많은 부분이 폐기물로 버려지고 있어 환경오염 문제가 다른 해조류에 비하여 높은 편으로 보고되고 있다(안 등, 2004). 박 등(2003)은 바다에 폐기되는 미역은 전체 생산량의 약 40~60%로 우리나라에서만 4~21만 톤이 매년 남해안에 폐기되어 바다오염과 미역 양식시 좁쌀병 등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폐기되는 미역 부산물을 수거 해와도 육상에서 활용할 방법이 없어 또 다른 환경오염을 만들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len, V. G., Pont, K. R., Saker, K. E., Fontenot, J. P., Bagley, C. P., Ivy, R. L., Evans, R. R., Schmidt, R. E., Fike, J. H., Zhang, X., Ayad, J. Y., Brown, C. P., Miller, M. F., Montgomery, J. L., Mahan, J., Wester, D. B. and Melton, C. 2001. Tasco: Influence of a brown seaweed on antioxidants in forages and livestock-A review. J. Anim. Sci. 79(E. Suppl.):E21-E31. 

  2. Daughaday, W. H., Mariz, I. K. and Blethen S. L. 1980. Inhibition of assess of bound somatomedin to membrane receptor and immunobinding sites: A comparision of radioreceptor and radioimmunoassay of somatomedin in native and acid-ethanol extraction serum. J. Clin. Endocrinol. Metab. 51:781-788. 

  3. Franklin ST, Martin KR, Baer RJ, Schingoethe DJ, Hippen AR. 1999. Dietary marine algae (Schizochytrium sp.) increases concentrations of conjugated linoleic, docosahexaenoic and transvaccenic acids in milk of dairy cows. J. Nutr. 1999 129(11):2048-2054. 

  4. Hadley, Mac. E. 1996. Endocrinology (Fourthedition). Prentice-Hall International, Inc. 

  5. Iwamoto, Y., Xu, X., Tamura, T., Oda, T. and Muramatsu, T. 2002. Enzymatically depolymerized alginate oligomers that cause cytotoxic cytokine production in human mononuclear cells. Biosci Biotechnol Biochem. 67(2):258-263. 

  6. Lee, H. G., Choi, Y. J., Lee, S. R., Kuwayama, H., Hidari, H. and You S. K. 2005.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growth hormone-releasing peptide (GHRP-2) on plasma IGF-I and IGFBPs in Hostein steers. Domestic Animal Endocrinology. 28:134-146. 

  7. Lee, H. G., Vega, L. T., Phung, L. T., Matsunaga, N., Kuwayama, H. and Hidari, H. 2000. The effect of growth hormone-releasing peptide-2 (KP102) administration on plasma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1 and IGF-binding proteins in Holstein steers on different planes of nutrition. Domestic Animal Eendocrinology. 18:293-308. 

  8. Mandiki, S. N. M., Mabon, N., Derycke, G., Bister, J. L., Wathelet, J.-P., Paquay, R. and Marlier, M. 1999. Chemical changes and influences of rapeseed antinutritional factors on lamb physiology and performance 2. Plasma substances and activity of the thyroid.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81:93-103. 

  9. Montserrat, G. U. and Isabel, G. 2002. Bioavailability of nutrients in rats fed on edible seaweeds, Nori (Porphyra tenera) and Wakame (Undaria pinnatifida), as a source fo dietary fiber. Food Chemistry. 76:281-286. 

  10. NRC. 2001. Nutrient requirements of dairy cattle 7th revised edition.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1. Pattanaik. A. K., Khan. S. A., Varshney. V. P. and Bedi. S. P. S. 2001. Effect of iodine level in mustard (Brassica juncea) cake-based concentrate supplement on nutrient utilization and serum thyroid hormones of goats. Small Ruminant Research. 41(2001)51-59. 

  12. Robert, J. and Van, S. 2000. Blood profiles as indicators of nutritional status. http://www. wcds. afns.ualberta.ca/Proceedings/2000/Chapter33.htm 

  13. Tizard, L. R. 1999. Veterinary immunology an introduction(sixth edition). W.B.SAUNDERS COMPANY. p139-143. 

  14. Yonekura, L. and Suzuki, H. 2003. Some polysaccharides improve zinc bioavailability in rats fed a phytic acid-containing diet. Nutrition Research 23:343-355. 

  15. 강정부. 1986. 혈액. 대한수의사회지. 22(4). 217. 

  16. 경선이. 1991. 해조류(미역, 김)의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劉永鋼. 1992. 用海藻作飼料. 臺灣飼料營養雜誌. 1992(4):19-25. 

  18. 박권필, 김태희, 김영숙. 2003. 미역부산물로부터 알기네이트의 추출 및 다알기네이트의 이용. 한국환경과학회지. 12(1):63-68. 

  19. 백인규, 맹원재, 이성훈, 이홍구, 이상락, 하종규, 이성실, 황주환. 2004. 미역부산물 첨가가 in vitro 발효성상과 젖소의 산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6(3):373-386. 

  20. 안성준, 김영숙, 박권필. 2004. 미생물을 이용한 미역부산물의 저장 및 알긴산염 저분자화. 한국환경과학회지. 13(3):313-318. 

  21. 양일석. 1996. 가축생리학(제3판). 광일문화사. p63-80. 

  22. 이홍구, 홍중산, 이철호, 허성웅, 김훈, 김명국, 이현준, 최낙진, 고태송, 최윤재. 2005. 미역부산물의 첨가가 홀스타인 비유우의 비유성적과 내분비생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7(4):573-582. 

  23. 정길생, 맹원재, 정영채, 이규승, 박원균, 한홍율. 1980. 비유생리학. 건국대학교 출판부. p125-126. 

  24. 하종규, 이성실, 문양수, 김창현. 2005. 반추동물영양생리학. 서울대학교 출부. p96. 

  25. 한인규. 1996. 동물영양학. 도서출판 신광. p2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