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골조 데크플레이트 공사의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vity Analysis of Deck Plate Installation Work in Steel Structure Construction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0 no.1 = no.39, 2010년, pp.73 - 79  

정세림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조규만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현창택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철골공사의 데크플레이트 공사는 공사기간이 짧고, 반복적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어져 왔다. 따라서 기존의 데크플레이트와 관련된 연구의 대부분은 데크플레이트의 형태 및 시공성 등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실제 사례분석 및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데크플레이트의 작업 프로세스 및 작업시간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CYCLONE 기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철골조 데크플레이트공사 프로세스의 생산성을 분석하고, 투입되는 자원의 유휴시간 등을 분석하였다. 한편,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투입된 자원의 변화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기간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철골조 데크플레이트공사의 생산성을 향상 시킬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을 사용하면, 프로젝트 매니져가 프로젝트의 초기단계에서 해당 건설현장의 데크플레이트 공사에 대한 생산성 및 작업시간을 예측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적절한 자원투입계획을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ck plates have been widely used for steel framework due to their merits in terms of schedule reduction and work repetition. For this reas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eck plates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form type and their constructability. In this study, through an actu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데크플레이트의 종류별 특징 및 시공사례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데크플레이트가 시공된 사례 분석 및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데크플레이트의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철골조 데크플레이트 공사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투입자원의 변화에 따른 생산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최적의 생산성을 도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투입되는 작업조의 변화에 따른 생산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 판단되는 양중 작업조를 제외한 나머지 6개의 작업조를 대상으로, 판개작업조와 내화피복 뿜칠작업조의 변화 범위를 1~3, 용접, 볼트설치, 철근배근과 콘크리트 타설 작업조의 변화 범위 1~2로 하여, 투입자원의 변화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시간을 표 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철골공사의 데크플레이트 공사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철골공사의 데크플레이트 공사는 공사기간이 짧고, 반복적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어져 왔다. 따라서 기존의 데크플레이트와 관련된 연구의 대부분은 데크플레이트의 형태 및 시공성 등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건설 산업 기준의 특징은 무엇인가? 건설 산업은 타 산업분야에 비해 체계화가 되지 못하고 경험에 의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비과학적 기준이 많다. 그러나 건설 산업의 특성상 불가피한 면도 존재한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시뮬레이션 모델로 진행한 일은? 이 연구에서는 실제 사례분석 및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데크플레이트의 작업 프로세스 및 작업시간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CYCLONE 기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철골조 데크플레이트공사 프로세스의 생산성을 분석하고, 투입되는 자원의 유휴시간 등을 분석하였다. 한편,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투입된 자원의 변화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기간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철골조 데크플레이트공사의 생산성을 향상 시킬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김태희외, 데크플레이트 바닥판 공법의 생산성 향상방안 제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제16권 제12호, pp.175-182, 2000.12 

  2. 김태희외, 데크플레이트 바닥판 공법의 시공성 평가,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구조계), 제20권 제1호, pp.505-508, 2000.4 

  3. 윤대중외, 국내데크작업의 생산성 증대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구조계), 제23권 제1호, pp.415-418, 2003.4 

  4. 임남기외, 슬립폼과 데크플레이트를 채용한 벽식 아파트의 적용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제6호, pp.107-114, 2004.6 

  5. (주)코스틸, http://www.kosteel.co.kr 

  6. Halpin, Daniel W, Riggs, Leland S, Planning and analysis of construction operations, John Wiley & Sons, Inc., pp.99-101, 1992 

  7. Cho, K., Integrated Schedule and Cost Management Model For Repetitive Construction Process of High-rise Buildings, Ph. 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pp.118-119, 2009.2 

  8. Hong, T. and Hastak, M., Simulation on construction process of FRP bridge deck panels, Journal of Automation in construction Elsevier v.16, n.1, pp.620-631, 2006.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