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극산화를 통한 다공성 니오븀 산화물 성장의 계면활성제 영향
Effects of Surfactants on the Growth of Anodic Nanoporous Niobium Oxide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3 no.3, 2010년, pp.163 - 168  

유정은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  최진섭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양극 산화를 통해 얻어지는 다공성 니오븀 산화물 제조에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CTAB)와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odium Dodecyl Sulfate (SDS)의 영향을 비교 관찰하였다. SDS가 전해질에 첨가되어 제조된 다공성 니오븀 산화 막은 표면에 장시간 용출이 발생하지 않았고,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지 않고 제조된 다공성 니오븀 산화막의 두께와 비교 하였을 때 두께가 두 배 이상 증가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CTAB가 전해질에 첨가되어 제조된 다공성 니오븀 산화물의 표면에는 용출이 일어났다. 이러한 차이점을 양성으로 대전된 니오븀산화물과 음이온/또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사이의 상호작용에 근거하여 설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CTAB), which is a kind of cationic surfactants, and Sodium Dodecyl Sulfate (SDS), which is a kind of anionic surfactants on the anodic formation of nanoporous niobium oxide were compared. The addition of SDS could protect the surface from dissolution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Schematic diagram of surfactant assisted anodic growth of niobium with (a) SDS and (b) CTAB. Note that SDS that is a negative surfactant can be adsorbed on positively charged niobium oxide and (b) CTAB that is a positively surfactant cannot be adsorbed.
  • 1의 (b)에서처럼 니오븀 산화물의 표면에 용출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양극 산화 후 4시간이 지나게 되면(Fig. 1의 (c)) 니오븀 산화물의 표면은 전부 용출로 뒤덮여 표면에서 다공의 모습을 관찰 하기 어려워진다.
  • 9) 니오븀 산화물의 표면 용출을 제한시키고 다공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로 열처리를 포함한 양극산화 연구가 보고되었다.10) 이렇게 제조된 니오븀 산화물은 다공 길이는 증가되지만 다공과 다공 사이에 연결되지 않은 층이 생성되어 제한적으로 니오븀 산화물을 이용하게 한다. 최근에 발표된 160℃, phosphateglycerol 전해질에서 제조된 니오븀 산화물은 다공구조의 길이가 수십 마이크로미터까지 제조될 수 있음을 보였다.
  • 이처럼 SDS의 양의 증가에 따라 다공의 두께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현상은 니오븀 산화 막과 SDS의 charge-charge interaction으로 설명 될 수 있다.16) 본 실험에서 사용된 전해질의 pH는 2.04로 강한 산성의 성질이고 니오븀 산화 막의 등전자 포인트는 4.1이므로 전해질 안에서 니오븀 산화 막의 표면은 양전하를 띄게 된다. 따라서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니오븀 산화물의 제조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니오븀 산화물은 수열합성법, ligand-assisted templating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 가능하나, 최근 전기화학 양극산화법에 의해 다공성 니오븀 산화물이 제조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4-7) 전기화학적 양극산화방법은 제조방법이 쉽고 다공의 제어가 가능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니오븀 산화물은 어느 분야에서 활용이 예상되는 물질인가? 니오븀 산화물은 물리적 특이성과 대량 생산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염료 감응 형 태양전지나 커패시터,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예상되는 물질이다.1-3) 예를 들어 니오븀 산화물은 유전율(ε~40)이 알루미늄 산화물(ε~13.
전기화학 양극산화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니오븀 산화물은 수열합성법, ligand-assisted templating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 가능하나, 최근 전기화학 양극산화법에 의해 다공성 니오븀 산화물이 제조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4-7) 전기화학적 양극산화방법은 제조방법이 쉽고 다공의 제어가 가능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R. katoh, A. Furube, T. Yoshihara, K. Hara, G. Fujihashi, S. Takano, S. Murata, H. Arakawa, and M. Tachiya, ‘Efficiencies of Electron Injection from Excited N3 Dye into Nanocrystalline Semiconductor ( $ZrO_2$ , $TiO_2$ , ZnO, $Nb_2O_5$ , $SnO_2$ , $In_2O_3$ ) Films’ J.Phys. Chem B, 108, 4818 (2004). 

  2. V. Fischer, H. Starmer, D. Gerthsen, M. Stenzel, H. Zillgen, and E. Ivers-Tiffke, ‘Niobium as new material for electrolyte capacitors with nanoscale dielectric oxide layers’ in Proc. 7th Int. Conf. Properties Ap- plications Dielectric Materials, 3, 1134 (2003). 

  3. S. Rho, D. Jahng, J. H. Lim, J. Choi, J. H. Chang, S. C. Lee, and K. J. Kim, ‘Electrochemical DNA biosensors based on thin gold films sputtered on capacitive nanoporous niobium oxide’ Biosens. Bioelectron, 23, 852 (2008). 

  4. I. C. M. S. Santos, L. H. Loureiro, M. F. P. Silva, and A. M. V. Cavaleiro, ‘Studies on the hydrothermal synthesis of niobium oxides’ Polyhedron, 21, 2009 (2002). 

  5. D. M. Antonelli, ‘Synthesis of macro-mesoporous niobium oxide molecular sieves by a ligand-assisted vesicle templating strategy’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33, 209, (1999). 

  6. D. M. Antonelli, and Y. J. Ying, ‘Synthesis of hexagonally packed mesoporous $TiO_2$ by a modified sol-gel method’ Angew. Chem. Int. Ed. Engl., 34, 2014 (1995). 

  7. D. Velten, E. Eisenbarth, N. Schanne, and J. Breme, ‘Biocompatible $Nb_2O_5$ thin films prepared by means of the sol-gel process’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Materials in Medicine, 15, 457 (2004). 

  8. R. L. Karlinsey, ‘Preparation of self-organized niobium oxide microstructures via potentiostatic anodization’ Electrochem. Commun., 7, 1190 (2005). 

  9. J. Choi, J. H. Lim, S. C. Lee, J. H. Chang, K. J. Kim, and M. A. Cho, ‘Porous niobium oxide films prepared by anodization in $HF/H_3PO_4$ ’ Electrochim. Acta, 51, 5502 (2006). 

  10. J. Choi, J. H. Lim, J. Lee, K. and J. Kim, ‘Porous niobium oxide films prepared by anodization-annealing-anodization’ Nanotechnology, 18, 055603 (2007). 

  11. H. Habazaki, Y. Oikawa, K. Fushimi, Y. Aoki, K. Shimizu, P. Skeldon, and G. E. Thompson, ‘Importance of water content in formation of porous anodic niobium oxide films in hot phosphate-glycerol electrolyte’ Electrochim. Acta, 54, 946 (2009). 

  12. K. J. Chao, S. C. Kao, C. M. Yang, M. S. Hseu, and T. G. Tsai, ‘Formation of high aspect ratio macropore array on p-type silicon’ Electrochem. Soli-state Lett., 3, 489 (2000). 

  13. G. Sotgiu, L. Schirone, and F. Rallo, ‘On the use of surfactants in the electrochemical preparation of porous silicon’ Thin solid films, 297, 18 (1997). 

  14. Y. H. Ogatv, A. Koyama, F. A. Harraz, M. S. Salem, and T. Sakka, ‘Electrochemical formation of porous silicon with medium-sized pores’ Electrochemistry, 75, 270 (2007). 

  15. P. Yu. Apel, I. V. Blonskaya, S. N. Dmitriev, T. I. Mamonova, O. L. Orelovitch, B. Sartowska, and Yu. Yamauchi, ‘Surfactant-controlled etching of ion track nanopores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s in membrane technology’ Radiat. Meas., 43, S552 (2008). 

  16. J. E. Yoo and J. Choi, ‘Surfactant-assisted growth of anodic nanoporous niobium oxide with a grained surface’ Electrochim. Acta, 55, 514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