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아닐린-이온성 액체 복합체의 물리적전기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olyaniline-Ionic Liquid Composite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3 no.3, 2010년, pp.181 - 185  

방주용 ((주)프로바이온) ,  정우성 ((주)프로바이온) ,  박형순 ((주)프로바이온) ,  정경호 (건국대학교 응용화학과) ,  (건국대학교 응용화학과) ,  이재준 (건국대학교 응용화학과) ,  차은희 (호서대학교 융합기술연구소) ,  이재관 (호서대학교 융합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도성 고분자로 널리 알려진 폴리아닐린과 액체전해질의 핵심 재료인 이온성 액체와의 복합체를 형성시키고 이들의 물리적,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조사되었다. 이미다졸늄 이온성 액체 (1-methyl-3-propylimidazolium iodide, PMI-I)에 비전도성 폴리아닐린 (Emeraldine Base)을 30 wt%이상 첨가하였을 때 준고형화 현상이 나타났고, 이온성 액체의 이미다졸늄 양이온의 방향족 고리와 폴리아닐린의 벤족기와의 ${\pi}-{\pi}$ 자기상호조립에 의한 약한 도핑작용을 통해 섬유상 구조를 나타내었으며, 전도도의 변화율은 80%이상 유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aniline-ionic liquid composite was prepared and investigated its 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The quasi-solidification was presented in imidazolium-based ionic liquid (1-methly-3-propylimidazolium iodide, PMI-I) containing above 30 wt% of polyaniline (emeraldine base), which exhib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7) 하지만, 액체전해질에 비해 준고체 전해질의 낮은 이온 전도도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낮은 광전변환효율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기존에 보고되는 준고체 전해질의 낮은 이온전도도를 증가시키고, 기존의 액체 전해질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전도성 고분자로 널리 알려진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과 액체전해질의 핵심 재료인 이온성 액체와의 복합체를 형성시키고 이들의 물리적,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해 보았다.
  • 4의 Raman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40 wt%가 함유된 폴리아닐린/이온성액체 복합체에서 관찰되는 Raman 스펙트럼은 수순한 폴리아닐린에서 관찰되는 스펙트럼의 모양과 피크의 위치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른 이온성액체의 이미다졸늄 양이온 혹은 요오드 음이온이 폴리아닐린에 도핑되어 있음을 증명해주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폴리아닐린의 도핑은 산 또는 염기 도판트와 아민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아민기와 요오드 음이온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약한 도핑이 일어났다면, Raman 스펙트럼에서 도핑된 폴리아닐린의 고유 peak들이 관찰될 것이다.
  • 지금까지 폴리아닐린과 이온성 액체와의 복합체를 형성시키고 이들의 물리적,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해 보았다. 폴리아닐린의 첨가비율이 30 wt%이상에서 준고형화가 일어났으며, 이온성 액체의 이미다졸늄 양이온의 방향족 고리와 폴리아닐린의 벤젠기와의 π−π 자기상호조립에 의한 약한 도핑작용을 통해 섬유상 구조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아닐린은 어떻게 전도성을 나타내는가? 폴리아닐린은 산 또는 염기에 의해 도핑되면 벤젠고리의 π전자들과 질소의 p-궤도함수가 전체구조에서 공명이 일어나 전도성을 나타낸다. 현재까지 보고된 폴리아닐린의 전도도는 최고 800S 이상으로 투명전극인 indium tin oxide (ITO)의 전도도에 근접할 정도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이온성 액체는 전해질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이온성 액체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이온결합을 하고 있는,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물질이다. 따라서 이들은 전해질에서 전해용매 혹은 이온전도 매개체로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들이 고형화되면 전도도의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기 때문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준고형 전해질로 이용할 수 없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기존의 실리콘기반의 태양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태양전지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최근까지 보고되는 고효율의 소자는 액체전해질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전지의 내구성과 열적 안정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1-4)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어 왔고, 다양한 대체전해질에 대한 기술개발들이 보고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M. Gratzel ‘Dye-sensitized solar cell’ J. Photochem. Photobiol. C: Photochem. Rev., 4, 145 (2003). 

  2. S. Gunes, H. Neugebauer, and N. S. Sariciftci, ‘Conjugated polymer-based organic solar cells’, Chem. Rev., 107, 1324 (2007). 

  3. B. O’Regan and M. Gratzel, ‘A low-cost, high efficiency solar cell based on dye-sensitized colloidal $TiO_2$ film’, Nature, 353, 737 (1991). 

  4. S. Noda, K. Nagano, E. Inoue, T. Egi, T. Nakashima, N. Imawaka, M. Kanayama, S. Iwata, K. Toshima, K. Nakada, and K. Yoshino, ‘Development of large size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s with high temperature durability’, Syn. Metals, 159, 2355 (2009). 

  5. P. Wang, S. M. Zakeeruddin, P. Comte, I. Exnar, and M. Gratzel, ‘Gelation of Ionic Liquid-Based Electrolytes with Silica Nanoparticles for Quasi-Solid-State Dye-Sensitized Solar Cells’, J. Am. Chem. Soc., 125, 1166 (2003). 

  6. E. Stathatosa, P. Lianos,V. Jovanovski, and B. Orel, ‘Dyesensitized photoelectrochemical solar cells based on nanocomposite organic-inorganic materials’, J. Photochem. Photobio. A: Chem., 169, 57 (2005). 

  7. Z. Huo, S. Dai, K. Wang, F. Kong, C. Zhang, X. Pan, and X. Fang, ‘Nanocomposite gel electrolyte with large enhanced charge transport porperties of an I3-/I- redox couple for quasi-solid-state dye-densitized solar cell’, Solar Energy Mater. Solar Cells, 91, 1959 (2007). 

  8. K. Lee, S. Cho, S. H. Park, A. J. Heeger, C. W. Lee, and S. H. Lee, ‘Metallic transport in polyaniline’, Nature, 441, 65 (2006). 

  9. S. Y. Cha, Y. G. Lee, M. S. Kang, and Y. S. Kang, ‘Correlation between ion conductivity and cell performance in solid-state dye-sensitized solar cells employing polymer electrolyte’, J. Photochem. Photobio. A. Chem., 211, 19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