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발트와 나이오븀이 코팅된 NiO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양극물질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Co/Nb)-coated NiO as a Cathode Material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3 no.3, 2010년, pp.203 - 210  

최희선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  이철우 (성신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김건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의 양극으로 사용되는 NiO는 $650^{\circ}C$의 용융탄산염과 산소 분위기 조건에서 안정하고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장시간 운전 시 양극에서 전해질로의 Ni dissolution은 전지 내부의 단락을 초래하여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대체 전극물질로서 코발트와 나이오븀을 코팅시킨 NiO 전극을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전극은 기존 NiO전극과 비교하여 낮은 Ni dissolution과 안정되고 우수한 전기화학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O is commonly used as the cathode for the molten carbonate fuel cell due to its stability and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n molten carbonates and oxygen atmosphere. However, long-term operation of MCFC has a serious problem which is the degradation of cathode material, the so-called Ni dissolu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3-15)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Ni/Nb alloy의 경우 Ni의 dissolution 저감과 높은 polarization performance 및 교환전류밀도를 가지며 촉매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16-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발트가 코팅된 NiO전극에 나이오븀의 적절한 첨가로 코발트와 나이오븀의 시너지 효과에 의한 전해질 내의 Ni의 dissolution 감소 및 산소촉매로 MCFC 성능을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란 무엇인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는 전기화학반응을 통하여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효율적인 에너지 변환장치로써1-2) 전해질로 용융탄산염을 사용하기 때문에 용융 탄산염이 충분한 이온 전도도를 갖는 고온 (650℃)에서 운용되며, 이러한 고온의 작동온도 때문에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높은 온도에서의 연료전지의 운용은 화학 반응속도의 증가로 귀금속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충분한 전기화학적 활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O 등분순물이 포함된 연료도 정제과정 없이 직접사용이 가능하다.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양극으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현재 MCFC의 양극으로 널리 사용되는 NiO는 용융탄산염과 산소 분위기 조건에서 비교적 안정하고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지만 양극에서 전해질로의 Ni dissolution은 가장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2) Dissolution되어진 Ni2+ 이온은 anode에서 수소가스와 반응하여 금속 Ni로 환원이 되어 결국 전지의 단락을 초래함으로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용융탄산염 연료전지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는 전기화학반응을 통하여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효율적인 에너지 변환장치로써1-2) 전해질로 용융탄산염을 사용하기 때문에 용융 탄산염이 충분한 이온 전도도를 갖는 고온 (650℃)에서 운용되며, 이러한 고온의 작동온도 때문에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높은 온도에서의 연료전지의 운용은 화학 반응속도의 증가로 귀금속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충분한 전기화학적 활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O 등분순물이 포함된 연료도 정제과정 없이 직접사용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T. Kuk, Y. S. Song, and K. Kim, ‘Properties of a new type of cathod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J. Power Sources, 83, 50 (1999). 

  2. Q. M. Nguyen, ‘Technological status of nickel oxide cathodes in molten carbonate fuel cells - A review’ J. Power Sources, 24, 1 (1988). 

  3. S. A. Hong and S. W. Nam, ‘Development Status of the Molten Carbonate Fuel Cell Technology’ J. of Korean Ind. & Eng. Chemistry, 3, 535 (1992). 

  4. S.-G. Kim, S. P. Yoon, J. Han, S. W. Nam, T. H. Lim, I.-H. Oh, and S.-A. Hong, ‘A study on the chemical stability and electrode performance of modified NiO cathodes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Electrochim. Acta, 49, 3081 (2004). 

  5. A. Lundblad, S. Schwartz, and B. Bergman, ‘Effect of sintering procedures in development of $LiCoO_2-cathodes$ for the molten carbonate fuel cell’ J. Power Sources, 90, 224 (2000). 

  6. C. Milanese, V. Berbenni, G. Bruni, A. Marini, G. Chiodelli, and M. Villa, ‘Cathode materials ( $NiO-LiFeO_2-LiCoO_2$ )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A diffraction, NMR and conductivity study’ Solid State Ionics, 177, 1893 (2006). 

  7. A. Ringuede, A. Wijayasinghe, V. Albin, C. Lagergren, M. Cassir, and B. Bergman, ‘Solubility and electrochemical studies of $LiFeO_2-LiCoO_2-NiO$ materials for the MCFC cathode application’ J. Power Sources, 160, 789 (2006). 

  8. T. M. T. N. Tennakoon, G. Lindbergh, and B. Bergman, ‘Performance of $LiCoO_2$ Cathodes, Prepared Using the Pechini Method, in Molten Carbonate Fuel Cells’ J. Electrochem. Soc., 144, 2296 (1997). 

  9. A. Wijayasinghe, B. Bergman, and C. Lagergren, ‘A study on $LiCoO_2-rich$ cathode materials for the MCFC based on the $LiCoO_2-LiFeO_2-NiO$ ternary system’ Electrochim. Acta, 49, 4709 (2004). 

  10. A. Wijayasinghe, B. Bergman, and C. Lagergren, ‘ $LiFeO_2-LiCoO_2-NiO$ materials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cathodes. Part I: Powder synthesis and material characterization’ Solid State Ionics, 177, 165 (2006). 

  11. A. Wijayasinghe, B. Bergman, and C. Lagergren, ‘ $LiFeO_2-LiCoO_2-NiO$ materials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cathodes. Part II.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gas diffusion cathodes’ Solid State Ionics, 177, 177 (2006). 

  12. A. Wijayasinghe, C. Lagergren, and B. Bergman, ‘New Cathode Materials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Fuel Cells, 2, 181 (2002). 

  13. M. H. Kim, M. Z. Hong, Y.-S. Kim, E. Park, H. Lee, H.-W. Ha, and K. Kim, ‘Cobalt and cerium coated Ni powder as a new candidate cathode material for MCFC’ Electrochim. Acta, 51, 6145 (2006). 

  14. S. T. Kuk, Y. S. Song, S. Suh, J. Y. Kim, and K. Kim, ‘The formation of $LiCoO_2$ on a NiO cathode for a molten carbonate fuel cell using electroplating’ J. Mater. Chem., 11, 630 (2001). 

  15. E. Park, M. Hong, H. Lee, M. Kim, and K. Kim, ‘A new candidate cathode material as (Co/Mg)-coated Ni powder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J. Power Sources, 143, 84 (2005). 

  16. B. Fang, X. Liu, X. Wang, and S. Duan, ‘The mechanism of surface modification of a MCFC anode’ J.Electroanal. Chem., 441, 65 (1998). 

  17. B. Fang, C. Zhou, X. Liu, and S. Duan, ‘Performance of a novel Ni/Nb cathode material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MCFC)’ J. Appl. Electrochem., 31, 201 (2001). 

  18. H. Lee, M. Hong, S. Bae, H. Lee, E. Park, and K. Kim, ‘A novel approach to preparing nano-size $Co_3O_4-coated$ Ni powder by the Pechini method for MCFC cathodes’ J. Mater. Chem., 13, 2626 (2003). 

  19. M. M. Barbooti and D. A. Al-Sammerrai, ‘Thermal decomposition of citric acid' Thermochim. Acta, 98, 119 (1986). 

  20. S. K. N. Ayudhya, A. Soottitantawat, P. Praserthdam, and C. Satayaprasert, ‘Effect of aging on the properties of mesoporous niobium oxide’ Mater. Chem. Phys., 110, 387 (2008). 

  21. M. Schmitt, S. Heusing, M. A. Aegerter, A. Pawlicka, and C. Avellaneda, ‘Electrochromic properties of $Nb2O5$ sol-gel coatings’ Sol. Energ. Mat. Sol. C., 54, 9 (1998). 

  22. B. Huang, Q.-C. Yu, H.-M. Wang, G. Chen, and K.-A. Hu, ‘Study of $LiFeO_2$ coated NiO as cathodes for MCFC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J. Power Sources, 137, 163 (2004). 

  23. M. Z. Hong, S. C. Bae, H. S. Lee, H. C. Lee, Y.-M. Kim, and K. Kim, ‘A study of the Co-coated Ni cathode prepared by electroless deposition for MCFCs’ Electrochim. Acta, 48, 4213 (2003). 

  24. L. Daza, C. M. Rangel, J. Baranda, M. T. Casais, M. J. Martinez, and J. A. Alonso, ‘Modified nickel oxides as cathode materials for MCFC’ J. Power Sources, 86, 329 (2000). 

  25. M. J. Escudero, X. R. Novoa, T. Rodrigo, and L. Daza, ‘Study of a Li-Ni oxide mixture as a novel cathod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J. Appl. Electrochem., 32, 929 (2002). 

  26. C. Y. Yuh and J. R. Selman, ‘The Polariz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 Electrodes’ J. Electrochem. Soc., 138, 3649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