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화 꽃 휘발성 향기성분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작용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Food-Borne Pathogens by the Volatile Flavor of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Flow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3 no.2, 2010년, pp.154 - 161  

장미란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서지은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이제혁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정미숙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화 정유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증하기 위해 국화 정유와 그 주성분인 camphor, chrysanthemyl alcohol, $\alpha$-pinene, $\gamma$-terpinene, ${\alpha}+{\beta}$-thujone를 10종 균주에 대하여 agar-well diffusion 분석법으로 생육 여부를 분서하였다. 실험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Gram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에 대해서 탁월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다. Agar-well diffusion 분석법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Gram 음성균보다 Gram 양성균에 대해서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국화 정유의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은 모든 균주에 대하여 5 ${\mu}g/m{\ell}$에서 균의 생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나타났고, minimum bacteriocidal concentration은 S. choleraesuis와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시험농도 내에서 사멸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다른 균주에 대해서는 5~20 ${\mu}g/m{\ell}$에서 살균력이 나타났다. 또한 액체 배양중의 항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24시간 동안 꾸준히 항균력이 지속되었다. 따라서 camphor, chrysanthemyl alcohol, $\alpha$-pinene, $\gamma$-terpinene, ${\alpha}+{\beta}$-thujone를 조성분으로 함유한 국화 정유성분은 10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입증되어, 천연 항균제재로서 식품보존료로의 이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C. morifolium against four Grampositive bacteria and six Gram-negative bacteria.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oils was determined by agar-well diffusion assa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mi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에서 자주 발생한 식중독의 원인 균주를 대상으로(KFDA 2009) 국화꽃 정유성분의 항균활성에 대한 보고를 하고자 하며,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새로운 천연 식품 보존료의 탐색과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화 정유의 주요 휘발성 화합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다만, 동종에 속하는 감국(Chrysanthemum indicum)은 면역계 질병, 고혈압 등의 질환의 개선에 대한 활성이 보고되었다(Cheng 등 2005; Shunying 등 2005). 국화 정유의 주요 휘발성 화합물로는 1,8-cineole, germacrene D, camphor, α-pinene, α-cadinol, camphene, pinocarvone, β-caryophyllene, 3-cyclohexen-1-ol, γ-curcumene 등이 보고된 바 있다(Jiang 등 2005; Wang 등 2008; Wang & Yang 2006).
감국의 활성 기능은? 국화과(Compositae family)의 대표적 식물인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는 많은 나라에서 다년생 정원수로 재배되는 식물로서, 정원의 식수나 식재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그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다만, 동종에 속하는 감국(Chrysanthemum indicum)은 면역계 질병, 고혈압 등의 질환의 개선에 대한 활성이 보고되었다(Cheng 등 2005; Shunying 등 2005). 국화 정유의 주요 휘발성 화합물로는 1,8-cineole, germacrene D, camphor, α-pinene, α-cadinol, camphene, pinocarvone, β-caryophyllene, 3-cyclohexen-1-ol, γ-curcumene 등이 보고된 바 있다(Jiang 등 2005; Wang 등 2008; Wang & Yang 2006).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 등에서도 발견되는 식중독균은? 최근 국민소득의 증가와 더불어 식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식품의 안전성 및 식품첨가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지만, 외식 및 급식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이들 식중독균에 의한 발병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KFDA 2009).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 등에서도 Salmonella enteric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botulinum은 달걀, 쇠고기, 가금류 등의 낙농제품에서 발견되고 있다(Greig & Rave 2009; Tauxe 2002). 또한 식중독은 식중독균주의 직접적인 감염에 따른 위해성 외에도 식중독균과 부패미생물들이 과일, 야채, 곡물과 그 가공 식품 내에 배출하는 위험한 독성대사물질에 의해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Reza SM, Rahman A, Lee J, Kang SC. 2010. Potential roles of essential oil and organic extracts of Zizyphus jujuba in inhibiting food-borne pathogens. Food Chem 119:981-986 

  2. Caldefied-Chezet F, Zet M, Guerry J, Chalchat C, Fusillier M, Vasson. 2004.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elaleuca alternifolia essential oil on human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and monocytes. Free Radic Res 38:805-811 

  3. Cheng W, Li J, You T, Hu C. 2005.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the inflorescence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e. J Ethnopharmacol 101:334-337 

  4. Choi S, Hong E, Lee J, Lee Y, Kim G.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Allium victoriallis L. var. platyphyllum. Food Sci Biotechnol 17: 313-318 

  5. Chung BS, Lee BG, Shim ST, Lee CJ. 1989. Food culture society. J Korean Meal Culture 4:417 

  6. Datta AR. 2003. Listeria monocytogenes, In Miliotis, M. D., Bier, J. W., International Handbook of Foodborne Pathogens. New York: Marcel Dekker Inc. pp.105-121 

  7. Fazeli MR, Amin G, Attari MMA, Ashtiani H, Jamalifar H, Samadi N. 2007. Antimicrobial activities of Iranian sumac and avishan-e shirazi(Zataria multiflora) against some foodborne bacteria. Food Control 18:646-649 

  8. Gomez NE, Witte L. 2001. A simple method to extract essential oils from tissue samples by using microwave radiation. J Chem Ecol 27:2351-2359 

  9. Greig JD, Ravel A. 2009. Analysis of foodborne outbreak data reported internationally for source attribution. Int J Food Microbiol 130:77-87 

  10. Hedi M, Hafedh H, Ahmed A, Hanen N, Mohamed N. 2010.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herbaalba essential oil cultivated in Tunisian arid zone. Comptes Rendus Chimie 13:380-386 

  11. Hiruma-Lima CA, Gracioso JS, Bighetti EJB, Grassi-Kassisse D, Nunes DS, Souza-Brito ARM. 2002. Effect of essential oil obtained from Croton cajucara Benth. on gastric ulcer healing and protective factors of the gastric mucosa. Phytomed 9: 523-529 

  12. Hwang HC, Chu SH, Chao PD. 1991. Vasorelaxants from Chinese herbs emotion and scoparone, prcess immunosuppressive properties. Eu J Pharmocol 198:211 

  13. Ji LL, Luo YM, Yan GL. 2008.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Eupatorium lindleyanum DC against food spoilage and food-borne pathogens. Food Control 19:995-1001 

  14. Jiang H, Li F, Zeng S. 2005. Capillary GC determination of β-elemene, camphor and borneol in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Yaowu Fenxi Zazhi 25:508-511 

  15. KFD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9. http://fm.kfda.go.kr/. 

  16. Kim HJ, Bae J, Lee I. 2005. Inhibitive effects of edible mushrooms extracts on pathogenic bacteria and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Korean J Food Preserv 12:637-642 

  17. Lee CB. 1997. Korea Botanical Book. Jinmyung Publication Co., Seoul, pp.292 

  18. Lee H, Lin JY. 1998. Antimutagenic activity of extracts from anticancer drugs in Chinese medicine. Mutat Res 204:229 

  19. Lee SK, Park JH, Kim YT. 2009. A study on the antioxidation and antimicrobial effect of Megmoondong(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22:279-285 

  20. Lee SD, Park HH, Kim DW, Bang BB. 2000.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al herb and foodstuff. Korean J Food & Nutr 13:190-505 

  21. Lee SH, Lim YS. 1998.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239-243 

  22. Mann CM, Markham JL. 1998. A new method for determining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essential oils. J Appl Microbiol 84:538-544 

  23. Medeiros R, Passos GF, Vitor CE, Koepp J, Mazzuco TL, Pianowski LF. 2007. Effect of two active compounds obtained from the essential oil of Cordia verbenacea on the acute inflammatory responses elicited by LPS in the rat paw. Br J Pharmacol 151:618-627 

  24. Misaghi A, Basti AA. 2007. Effects of Zataria multiflora boiss. essential oil and nisin on Bacillus cereus ATCC 11778. Food Control 18:1043-1049 

  25. NCLLS(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 1999.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9th International Supplement. Wayne, PA. pp. M100-S9 

  26. Owen RJ, Palombo EA. 2007. Anti-listerial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Eremophila alternifolia and Eremophila duttonii, in food homogenates and milk. Food Control 18:387-390 

  27. Shunying Z, Yang Y, Huaidong Y, Yue Y, Guolin Z. 2005.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of Chrysanthemum indicum. J Ethnopharmacol 96:151-158 

  28. Sylvestre MA, Pichette A, Longtin F, Nagau J, Legault 2006. Essential oil analysis and anticancer activity of leaf essential oil of Croton flavens L. from Guadeloupe. Ethnopharmacol 103:99-102 

  29. Tauxe RV. 2002. Emerging foodborne pathogens. Int J Food Microbiol 78:31-41 

  30. Wang Y, Guo Q, Yang X. 2008.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components of essential oil from flowers of Chrysanthemum morifolium produced in Anhui province. China J of Chinese Materia Medica 33:2211-2213 

  31. Wang Y, Yang X. 2006. GC-MS Analysis of essential oil of the flower of the Chrysanthemum morifolium by the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China J Chinese Materia Medica 31: 456-459 

  32. Yu JQ, Lei J, Yu H, Cai X, Zou G. 2004.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f Scutellaria barbata. Phytochem 65:881-884 

  33. Zafrapolo MC, Blazguez MA. 1991.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esquiterpene lactone from Artemisia barrelieri in rats. Phytotherapy Research 5: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