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초 정유성분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Against Food-Borne Pathogen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2, 2010년, pp.206 - 213  

장미란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서지은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이제혁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against four Gram-positive bacteria and six Gram-negative bacteria were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oils was determined using the agar-well diffusion assay,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Choi S 등(2008b)은 산초 정유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도 일부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에서 자주 발생한 식중독 원인균주(KFDA 2009)를 중심으로 더욱 다양한 식품부패의 원인 균주들로 범위를 확장하고, 항균력을 검증하는 분석법을 더욱 다양하게 이용하여 산초 정유성분의 항균활성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천연 식품 보존제의 탐색과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초는 어디에 사용되어 왔는가? 운향과(Rutaceae family)에 속하는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식품 향신료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감기, 복통, 설사, 황달 등의 전통적인 대체의약품으로도 사용되어 왔다(Choi YJ 1992, Ko Y와 Han H 1996). 산초열매의 메탄올 추출물은 quercetin과 hyperoside의 함량이 높고, DPPH 소거활성을 보이는 등 항산화활성이 보고되고 있으며(Mun SI 등 1994), 클로로포름 분획은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Lactobacillus plantar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Kim S와 Han Y 1997).
천연 소재의 안전한 식품 보존제에 대한 개발과 연구에 관심이 모아지는 이유는? 식중독균에 의한 발병과 관련된 보고에 의하면, Salmonella enteric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botulinum 등은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 등에서도 달걀, 쇠고기, 가금류, 낙농제품에서 발견되고 있다(Tauxe RV 2002과 Greig, JD와 Ravel A 2009).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위한 식품 보존제는 대부분 화학적 합성 보존제에 의존하고 있어 인체 내 위해성에 대한 논란이 만연하고, 보다 안전한 식품첨가제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천연 소재의 안전한 식품 보존제에 대한 개발과 연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Dillon VM과 Board RG 1994).
산초열매의 메탄올 추출물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운향과(Rutaceae family)에 속하는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식품 향신료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감기, 복통, 설사, 황달 등의 전통적인 대체의약품으로도 사용되어 왔다(Choi YJ 1992, Ko Y와 Han H 1996). 산초열매의 메탄올 추출물은 quercetin과 hyperoside의 함량이 높고, DPPH 소거활성을 보이는 등 항산화활성이 보고되고 있으며(Mun SI 등 1994), 클로로포름 분획은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Lactobacillus plantar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Kim S와 Han Y 1997). 산초 휘발성 향기성분인 정유의 주요 화합물로는 geranyl acetate, β-phellandrene, D-limonene, citronellal, geraniol, psopropyl-2-cyclohexenone, phellandral 등이 보고되고 있다(Lee J 1998, Lee M과 Chung M 2000, Choi S 등 2008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Reza SM, Rahman A, Lee J, Kang SC. 2010. Potential roles of essential oil and organic extracts of Zizyphus jujuba in inhibiting food-borne pathogens. Food Chem 119: 981-986 

  2. Caldefied-Chezet F. Zet M. Guerry J. Chalchat C. Fusillier M. Vasson. 2004.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elaleuca alternifolia essential oil on human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and monocytes. Free Radic Res 38(8): 805-811 

  3. Choi YJ. 1992. Academy book. Seoul, Korea, pp.137-143 

  4. Choi S, Chang K, Lee Y, Kim G. 2008a.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Zanthoxylum piperitum A.P. DC.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Food Sci Biotechnol 17(1): 195-198 

  5. Choi S, Hong E, Lee J, Lee Y, Kim G. 2008b.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Allium victoriallis L. var. platyphyllum. Food Sci Biotechnol 17(2): 313-318 

  6. Datta AR. 2003. Listeria monocytogenes, In Miliotis, M. D.,Bier, J. W., nternational handbook of foodborne pathogens. New York: Marcel Dekker Inc. pp 105-121 

  7. Dillon VM, Board RG. 1994. Future prospects for natural antimicrobial food preservation systems, In Dillon, V. M., Natural antimicrobial systems and food preservation. Wallingford, UK: CAB. pp 297-305 

  8. Fazeli MR, Amin G, Attari MMA, Ashtiani H, Jamalifar H, Samadi N. 2007. Antimicrobial activities of Iranian sumac and avishan-e shirazi (Zataria multiflora) against some foodborne bacteria. Food Control 18(6): 646-649 

  9. G'omez NE, Witte L. 2001. A Simple Method to Extract Essential Oils from Tissue Samples by Using Microwave Radiation. J Chem Ecol 27(11):2351-2359 

  10. Greig JD, Ravel A. 2009. Analysis of foodborne outbreak data reported internationally for source attribution. Int J Food Microbiol 130(2):77-87 

  11. Harris RC. 1988. Review of selected bacterial enterotoxins and their role in gastroenteritis. Ann Clin Lab Sci 18(2):102- 108 

  12. Hiruma-Lima CA, Gracioso JS, Bighetti EJB, Grassi-Kassisse D, Nunes DS, Souza-Brito ARM. 2002. Effect of essential oil obtained from Croton cajucara Benth. on gastric ulcer healing and protective factors of the gastric mucosa. Phytomed 9(6):523-529 

  13. Ji LL, Luo YM, Yan GL. 2008.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Eupatorium lindleyanum DC against food spoilage and food-borne pathogens. Food Control 19(10): 995-1001 

  14. Kim HJ, Bae J, Lee I. 2005. Inhibitive effects of edible Mushrooms extracts on pathogenic bacteria and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Korean J Food Preserv 12(6):637-642 

  15. Kim J, Cho Y, Seo K, Joo O, Shim K. 2000. Antimicrobial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Zanthoxylum poperitum Leav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2): 195-200 

  16. Kim JS, Koo KM, Jung YH, Yang JG, Lee GG. 2004. Antimicrobial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3):500-504 

  17. Kim S, Han Y.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Korean J Soc Food Sci 13(1):56-63 

  18. Ko Y, Han H. 1996.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Chopi (Zanthoxylum poperitum) and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Korean J Food Sci Technol 28(1):19-27 

  19. Lee M, Chung M. 2000.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Sensory evaluation as natural spice. Korean J Soc Food Sci 16(3):216-220 

  20. Lee J, Chang K, Kim G. 2009. Composi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ssential oil: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 2, cytokines and cellular adhesion. J Sci Food Agric 89(10):1762-1769 

  21. Lee J. 1998. Volatile FlavorComponents of korean sancho fruit and tree (Zanthoxylum schinifolium). Korean J Food & Nutr 11(5):493-498 

  22. Mann CM, Markham JL. 1998. A new method for determining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essential oils. J Appl Microbiol 84(4):538-544 

  23. Medeiros R, Passos GF, Vitor CE, Koepp J, Mazzuco TL, Pianowski LF. 2007. Effect of two active compounds obtained from the essential oil of Cordia verbenacea on the acute inflammatory responses elicited by LPS in the rat paw. Br J Pharmacol 151(5):618-627 

  24. Misaghi A, Basti AA. 2007. Effects of Zataria Multiflora boiss. essential oil and nisin on Bacillus cereus ATCC 11778. Food Control 18(9):1043-1049 

  25. Mun S, Ryu H, Lee H, Park J. 1994. Further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Vegetable Plants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Zanthoxylum schinifol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3):466-471 

  26. NCLLS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 1999. Performance standards for anr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9th International supplement. Wayne, PA, pp M100-S9 

  27. Owen RJ, Palombo EA. 2007. Anti-listerial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Eremophila alternifolia and Eremophila duttonii, in food homogenates and milk. Food Control 18(5):387-390 

  28. Paik S, Koh K, Beak S, Paek S, Kim J. 2005. The essential oils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pericarp induce apoptosis of HepG2 human hepatoma cells through increase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Biol Pharm Bull 28(5): 802-807 

  29. Rocourt J, Moy G, Vierk K, Schlundt J. 2003. Present state of foodborne disease in OECD countries,In anonymous. Geneva, Switzerland: Food Safety Departm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pp 1-39 

  30. Sylvestre MA, Pichette A, Longtin F, Nagau J, Legault 2006. Essential oil analysis and anticancer activity of leaf essential oil of Croton flavens L. from Guadeloupe. J Ethnopharmacol 103(1):99-102 

  31. Tauxe RV. 2002. Emerging foodborne pathogens. Int J Food Microbiol 78(1):31-41 

  32. Yu JQ, Lei J, Yu H, Cai X, Zou G. 2004.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f Scutellaria barbata. Phytochemistry 65(7): 881-884 

  33. 이수정, 류홍수, 문숙임. 1997. 산초처리 및 저장조건에 따른 건조미꾸라지육의 품질변화: 항국식품영양과학회, 정기총회 및 제 41차 춘계학술대회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