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nchogyeongjipju(本草經集注)" is a pharmacological classic published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南北朝時代, 420-589 A.D.) in China by Dohonggyeong(陶弘景, 456-536 A.D.). In "Bonchogyeongjipju(本草經集注)", Dohonggyeong(陶弘景) edited "Sinnongbonchogyeong(神農本草經)", the earliest classical text about mater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隱居선생께서 茅山의 岩嶺에 계실 적에 토납법(吐納法, 도가의 호흡법)으로 여가를 보내시며, 方術에 심히 뜻을 두셨다. 또 『本草經』의 藥性을 살펴보시고는 성인께서 마음을 다하신 것이라 여겨 이를 정리하여 논한다.”7)
  • 『本草經集注』는 본초학 발달의 典範이 되는 서적으로 한의학의 학문적 원형을 이해하고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기존 연구 성과를 토대로 『本草經集注』의 저자, 편찬 년대와 과정, 현존판본 및 복원본 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현존판본에 대해서는 1900년대 초 敦煌과 吐魯番에서 출토되어 현재 일본과 독일의 도서관에 소장된 자료를 직접 실사하여 연구를 진행한 眞柳誠의 연구 결과를 위주로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本草經集注는 누가 편찬하였는가? 『本草經集注』는 중국 南朝時代 陶弘景이 편찬한 본초학 서적으로 『神農本草經』 이후 본초학의 연구성과를 정리한 것으로 『神農本草經』과 『名醫別錄』의 730여 약물의 정보를 수록하고 産地, 採集時期 및 특이사항 등에 대해 주석을 추가하였다. 唐代 勅撰본초서적인 『新修本草』와 宋代 『經史證類備急本草』 에 그 내용이 수록되어 있지만, 이들 서적의 등장 이후 점차 사라져 책의 원형이 전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기존 연구 성과를 토대로 本草經集注의 저자, 편찬 년대와 과정, 현존판본 및 복원본 등에 대해 고찰하는데, 특히 현존판본에 대해서는 무엇을 위주로 고찰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기존 연구 성과를 토대로 『本草經集注』의 저자, 편찬 년대와 과정, 현존판본 및 복원본 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현존판본에 대해서는 1900년대 초 敦煌과 吐魯番에서 출토되어 현재 일본과 독일의 도서관에 소장된 자료를 직접 실사하여 연구를 진행한 眞柳誠의 연구 결과를 위주로 고찰하였다. 또 복원본에 대해서는 현존하는 잔권을 토대로 골격을 짜고 『本草經集注』의 내용을 전면적으로 인용한 『新修本草』현존본과 『經史證類備急本草』 등을 저본으로 하여 복원 연구를 진행한 尙志鈞의 복원 과정을 고찰하였다.
吐魯番 발굴 유물 중 무엇의 발견을 통해 원서의 일부 모습이 세상에 전해지게 되었는가? 그리하여 그 내용이 『新修本草』, 『經史證類備急本草』, 『本草綱目』 등 후대 본초학 서적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1900년대 초, 敦煌 석굴의 유물 중 『本草經集注』의 「卷第一·序錄」필사본이 처음 세 줄을 제외하고는 완전한 모습으로 발견되었으며, 吐魯番 발굴 유물 중 『本草經集注』의 豚卵, 燕屎, 天鼠屎 등에 해당하는 殘卷이 발견되어 원서의 일부 모습이 세상에 전해지게 되었다. 『本草經集注』는 본초학 발달의 典範이 되는 서적으로 한의학의 학문적 원형을 이해하고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박종현, 박시덕, 신상우. 敦煌本 傷寒論 중 輔行訣藏府用藥法要에 관한 硏究.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제13권 제1호(통권19호). p.45. 

  2. 吳昌永. 神農本草經에 관한 硏究. 大田. 대전대학교. 2009. p.54, 55. 

  3. 眞柳誠. 敦煌本 本草集注. 漢方の臨床. 1994. 41(12). pp.1522-1524. 

  4. 眞柳誠. 3卷本 本草集注 と出土史料. 藥史學雜誌. 2000年12月. 35卷2號. pp.135-136, pp.138-140. 

  5. 葛洪 撰. ?後備急方.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6. p.4, 6. 

  6. 岡西爲人. 本草槪說. 大阪. 創元社. 1997. p.53. 

  7. 陶弘景 編. 尙志鈞 尙元勝 輯校. 本草經集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4. pp.3-13. 

  8. 東洋醫學大辭典편찬위원회. 東洋醫學大辭典 1卷. 서울. 慶熙大學校出版局. 1999. p.271. 

  9. 藤原繼繩ら. 續日本紀. 東京. 吉川弘文館. 1935. p.524. 

  10. 藤原佐世. 日本國見在書目錄. 東京. 名著刊行?. 1996. pp.80-81. 

  11. 蘇敬 等 撰. 尙志鈞 輯校. 新修本草. 合肥. 安徽科 學技術出版社. 2004. p.4. 

  12. 王淑民. 敦煌石窟秘藏醫方. 北京. 北京醫科大學中國協和醫科大學聯合出版社. 1999. p.19. 

  13. 李一珉. 道藏.第二二冊.雲?七?.卷一百七. 北京. 文物出版社. 1988. p.733. 

  14. 赤堀昭. 敦煌本 本草集注 解說. 上山大峻. 敦煌 寫本本草集注序錄.比丘含注戒本(龍谷大學善本叢書16). 京都. 法藏館. 1997. pp.220-231. 

  15. 叢春雨 主編. 敦煌中醫藥全書.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1994. p.25. 

  16. 許嘉? 主編. 舊唐書. 上海. 漢語大辭典出版社. 2004. p.1602. 

  17. 許嘉? 主編. 隋書. 上海. 漢語大辭典出版社. 2004. pp.922-924. 

  18. 許嘉? 主編. 新唐書. 上海. 漢語大辭典出版社. 2004. p.1251. 

  19. 許嘉? 主編. 梁書. 上海. 漢語大辭典出版社. 2004. pp.664-665. 

  20. 洪元植, 尹暢烈 編著. 증보중국의학사. 서울. 一中社. 2002. p.204. 

  21. 黑田源次. 普魯西學士院所藏中央?細?出土醫方書四種. 支那學. 1935. 7(4). pp.633-665. 

  22. 黑田源次. 雲?七? 卷107. 正統道藏 第38冊.大玄部. 台北. 新文豊出版公司. 1977. p.371. 

  23. 四庫全書.史部.正史類. 文淵閣欽定四庫全書C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