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朝鮮時代) 헌종(憲宗)의 질병(疾病)에 관한 고찰
A Research on the Disease of King Heonjong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3 no.1, 2010년, pp.115 - 124  

김훈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이해웅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ing Heonjong was the twenty-four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He took the throne when he was only 8 years old, and had to go through power politics of maternal relations. During his period, situations worsened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meaning the beginning fall of the Joseon Dynas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헌종은 재위 15년 만에 창덕궁(昌德宮)의 중희당(重熙堂)에서 23세를 일기로 후사 없이 사망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 등의 사료를 중심으로 헌종의 질병과 치료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헌종의 치세는 어떤 시기였는가? 헌종의 치세는 내우외환으로 조선후기 사회의 붕괴 조짐이 드러나던 시기였다. 조선시대 역대 임금들 가운데 가장 어린 나이로 등극한 헌종은 조모이며 순조의 왕비인 안동 김씨 순원왕후(純元王后)의 수렴청정 과정을 거치면서 순조시대부터 시작된 안동 김씨 세도 정치를 겪어야 했다.
일성록의 기록을 보면, 헌종 즉위 5일 후 어떤 목적으로 인삼속미음을 복용한 것으로 생각되는가? 인삼속미음은 속미음, 즉 좁쌀죽에 인삼을 더한 것으로 비장(脾臟)을 보해 주는 처방이다6). 당시 전후의 기록에 특별한 병증을 언급하고 있지 않고, 또 10일 전인 11월 13일에 순조가 승하하여7) 상례를 치루는 과정에 있었음을 생각해 볼 때, 인삼속미음은 질병치료 목적의 처방이 아니라 감선(減膳)으로 인한 조리식(調理食)이나 쇠약해진 몸을 보해주고 기력을 찾기 위한 보양식(補養食) 정도로 생각된다.
저자가 조선왕조 역대 임금들의 질병과 치료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이 개인적 질병사에 국한되지 않고 당대 의학의 실상과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개인적 질병사에 국한되지 않고 당대 의학의 실상과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 이유는 임금들의 질병과 치료기록이 역사기록 중에 비교적 구체적이고 자세한 개인적 병력을 기술하고 있으며 당대 최고의 의료수혜를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金勳. 朝鮮時代 純祖의 疾病에 관한 연구. 大韓韓醫學原典會誌. 2009. 22(2). pp.107-126. 

  2. 洪性鳳. 朝鮮朝 歷代王의 壽命과 그 死因. 韓國人口學會誌. 1991. 14(1). p.43. 

  3. 實錄廳撰. 朝鮮王朝實錄CD-ROM. 서울. 서울시스템(주). 1995. 

  4. 承政院 編. 承政院日記. 서울. 國史編纂委員會. 1975. 

  5. 奎章閣 編. 日省錄(서울대학교 규장각소장 筆寫本). 

  6. 許浚. 東醫寶鑑. 서울. 南山堂. 1987. p.659. 

  7. 許浚. 신대역東醫寶鑑. 서울. 법인문화사. 2007. p.354, 410, 429, 460, 1071, 1081. 1246, 1251, 1284, 1588, 1775, pp.1139-1140, 1305-1306. 

  8. 서울시스템(주). 국역 조선왕조실록 해설집. 서울. 서울시스템. 1995. pp.233-236. 

  9.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서울. 들녘. 1996. pp.411-417. 

  10. 박홍갑 外 2人. 승정원일기 소통의 정치를 논하다. 서울. 산처럼. 2009. p.193. 

  11. 강영민. 조선시대 왕들의 생로병사. 서울. 태학사. 2002. pp.225-233. 

  12. 傳統醫學硏究所. 東洋醫學大辭典. 서울. 成輔社. 2000. p.24, 128, 2709. 

  13.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재편집 동의학사전. 서울. 까치. 1990. p.8, 407, 830. 

  14. 국사대사전편찬위원회. 國史大事典. 서울. 교육도서. 1988. p.977. 

  15. 法制處. 古法典用語集. 서울. 法制處. 1979. p.11, 134, 451, 760. 

  16. 李文鎬 外 2人. 內科學(上). 서울. 學林社. 1986. p.67, 1232. 

  17. 尹孝定. 風雲韓末秘史. 漢城. 鷲山書林. 1946. p.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