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의 불가사리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 저분자화된 펩타이드, 저분자화 된 펩타이드의 젤라틴 나노입자의 비교를 통해 면역 활성의 증진을 확인하였다. 불가사리 펩타이드는 Sephadex G-75 gel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통해 5-7 kDa 범위의 분자량 범위의 시료를 얻었고, MALDI-TOF MS 분석에 의해 펩타이드의 정확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0.1% collagenase를 처리한 펩타이드의 분자량은 기존의 불가사리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에 비해 약 2,000 m/z까지 분자량이 감소되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2개의 폴리펩티드결합으로 상호 결합되어 감겨있던 콜라겐형구조가 collagenase의 작용으로 풀어진 후 효소의 영향을 받아 가수분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후 $20^{\circ}C$에서 젤라틴으로 시료를 나노입자화 하여 TEM 및 DLS로 분포와 크기를 각각 확인하였다. 이후 인간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측정 결과, 나노입자화 한 ALPG가 최고 농도인 1.0 mg/mL의 농도에서 11.6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각 시료의 면역물질의 분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macrophage에서의 $NO^-$ 분비를 측정하였는데 역시 나노 입자화 한 ALPG가 $40\;{\mu}M$로 가장 높은 $NO^-$ 생성량을 보였다. 또한 불가사리 나노 시료가 저분자 추출물과 비교해 B cell 생육도를 10% 이상 향상시켰다. UV 자극에 의해 형성되는 염증물질로 잘 알려진 prostaglandin의 생성을 정량하기 위해 $PGE_2$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나노입자를 가해준 모든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PGE_2$의 생성이 감소하였고 역시 ALPG가 860 pg/mL로 $PGE_2$를 가장 적은 농도로 생성하였다. 마지막으로 confocal 현미경을 이용해 인간 면역 세포에 나노입자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침투하는지를 관찰하였는데 나노 시료의 경우 입자의 크기가 50-200 nm로 분산됨에 따라 일반 불가사리 펩타이드에 비해 세포 침투의 용이성이 크게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eptides from Asterias amurensis were investigated using a nano-encapsulation process.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peptides in the range of 5-7 kDa were separated using Sephadex G-75 gel filtration. Eighty-five percent of the nano-particles were in the 300 nm range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량수확이 가능한 해양 생물인 불가사리의 산업적 활용의 일환으로 불가사리 체벽에 함유되어 있는 펩타이드가 가지는 면역 활성과 나노 입자화 기술을 접목해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생체활용성 증진효과 탐색을 위해 천연 면역 증진 효과가 기대되는 불가사리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추출물을 기존의 피부에 바르는 소재 외에 식용 가능한 미용식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젤라틴으로 나노입자로 제조하였다.
  • 3과 같이 젤라틴으로 포집한 불가사리 저분자 펩타이드의 나노 입자 ALPG는 100-300 nm의 범위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나노 사이즈 시료의 세포 침투성 증진 효과를 가지는 것을 중점적으로 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나노입자의 크기만을 측정하였으며, 불가사리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 나노입자의 DLS 측정치가 균일한 분포를 가짐으로써 안정성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평균 200 nm인 표피와 크기를 고려한다면 제조된 나노입자는 생체에 효과적으로 흡수 가능한 제형이라고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eong HS, Kwon MC, Han JG, Ha JH, Jin L, Kim JC, Kwak HG, Hwang BY, Lee HY. Enhancement of skin immune activation effect of collagen peptides isolated from Asterias amuren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22-527 (2008) 

  2. Park HY, Lim CW, Kim YK, Choi TJ, Yoon HD, Lee KJ, Seo YK, Kim JY, Park KE. Effects of supplemental Asterias amurensis extract in the experimental diets on growth, blood chemistry, and superoxide production of kidney phagocytes of Sebastes sehlegeli.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362-366 (2007) 

  3. Cheong HS. Antioxidant Effect of histidine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peptide isolated from skipjack boiled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221-226 (2007) 

  4. Kwon MC, Kim CH, Kim HS, Syed AQ, Hwang BY, Lee HY. Anti-wrinkle activity of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derived from the collagen isolated from Asterias amuren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25-629 (2007) 

  5. Gilchrest BA. Skin aging and photoaging. J. Am. Acad. Dermatol. 21: 610-613 (1989) 

  6. Rhaese S, Vonbriesen H, Rubsamen-Waigmann H, Kreuter J, Langer K. Human serum albumin-polyethylenimine nanoparticles for gene delivery. J. Control. Release 92: 199-208 (2003) 

  7. Jochen W, Paul T, Julian M. Functional materials in food nanotechnology. J. Food Sci. 71: 107-116 (2006) 

  8. Kim YB, Shim SB.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nanoliposomes prepared by phospholipid classes. J. Korean Soc. Cosm. 14: 696-707 (2008) 

  9. Park HY.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technology with starfish. Food Ind. Nutr. 8: 18-22 (2003) 

  10. Kang KC, Lee CI, Pyo HB, Jeong NH.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liposomes using phosphatidylcholine. J. Ind. Eng. Chem. 11: 847-851 (2005) 

  11. Dol R, Peto R.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e States today. J. Natl. Cancer I. 66: 1192-1308 (1981) 

  12. Petra Z, Jan M, Barbora P, Hana K, Frantisek K, Martin F. Quantitative nitric oxide production by rat, bovine, and porcine macrophages. Nitric Oxide 19: 36-41 (2008) 

  13. Lee SH, Lee HS, Park YS, Hwang B, Kim JH, Lee HY. Screening of immune activation activities in the leav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Korean J. Med. Crop Sci. 10: 109-115 (2002) 

  14. Park JH, Oh SM, Lim SS, Lee YS, Shin HK, Oh YS, Choe NH, Yoon Park JH, Kim JK. Induction of heme oxygenase-1 mediat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Rubus coreanus in murine macrophages. Biochem. Bioph. Res. Co. 351: 146-152 (2006) 

  15. Lee Genee Y, Kenny Paraic A, Lee Eva H, Bissell Mina J. Three-dimensional culture models of normal and malignant breast epithelial cells. Nat. Methods 4: 359-365 (2007) 

  16. Yu CM, Wui IS, Lee JB. Quality evaluation of off-shore waters in Korea by bioassay using sea stars (A. pectinifera). Wonkwang J. Environ. Sci. 6: 29-37 (1997) 

  17. Lee YS, Moon JY, Jang SJ, Park MN, Park HY. Effects of supplement agents enhancing calcium absorption on bioavailability calciu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32-839 (2007) 

  18. Hwang PG, Shin IS, Eu MC, Choi CH, Lee SM.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removal using iron-coated starfish. J. Korean Soc. Wat. Sci. Tech. 12: 19-26 (2004) 

  19. Kwon MC, Syed AQ, Kim HS, Ahn JH, Cho NH, Lee HY. UV protection and whitening effects of collagen isolated from outer layer of the squid todarodes pacificus. J. Korean Fish. Soc. 41: 7-12 (2008) 

  20. Ji LL, Chen Y and Wang ZT. The toxic effect of pyrrolizidine alkaloid clivorine on the human embryonic kidney 293 cells and its primary mechanism, Exp. Toxicol. Pathol. 60: 87-93 (2008) 

  21. Ha JH, Kwon MC, Kim Y, Kim SS, Jeong MH, Hwang B, Lee HY. Enhancement of immuno-modulatory of Centella asiatica L. Urban with edible polymer through nano-encapsulation process. Korean J. Med. Crop Sci. 17: 257-265 (2009) 

  22. Jeong HS, Ha JH, Kim Y, Oh SH, Kim SS, Jeong MH, Lee HY. Effects of Rubus coreanus extracts on ultraviolet-A irradiated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s. Korean J. Med. Crop Sci. 17: 321-327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