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News Usage on Influenza A(H1N1) and Media Users' Behavioral Intention toward Personal and Public Health Protection: Focusing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no.51 = no.51, 2010년, pp.5 - 25  

김여라 (국회입법조사처 문화방송통신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종플루 관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를 독립변인으로, 심리적 보호동기요인(신종플루에 대한 인지된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그리고 개인과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대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구성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구조방정식모델(SEM)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 연구모형에서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는 신종플루 관련 보호동기 요인들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냈으나 '대처효능감'은 제외되었다. 또한 세 가지 보호동기 요인(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자기효능감)들은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 연구모형에서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는 '대처효능감'을 제외한 모든 보호동기 요인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으며 보호동기 요인들 중에 '인지된 취약성'과 '대처효능감'만이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두 연구모형의 공통점으로는 신종플루 뉴스이용 정도가 개인 또는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질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있어서 건강보호 대상(자신 혹은 타인)이 누구인가에 따라 심리적 보호동기들은 다르게 작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news usage on Influenza A(H1N1) and media users' behavioral intention toward health protection.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exposure of media information on Influenza A(H1N1) as an indep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질병예방 행위는 개인위생 및 공중위생을 위한 행동변화를 모두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병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가 보호동기(protection motivation) 라는 매개변인을 거쳐 최종적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건강보호 행위의도의 대상 차이에 따라 어떤 인과관계가 나타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탐색적 차원에서 신종플루 예방을 위한 행동의도를 자신의 위생을 위한 행동의도와 공중 즉 타인을 위한 행동의도로 구분하여 연구모형으로 만들고 해당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 또한 개인의 심리적 조정과정으로 신종플루에 대한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 자기효능감 인식은 이후의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낼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탐색적 차원에서 건강보호 행위의도의 목적이 자신 또는 공중을 대상으로 하는가에 따라 해당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내용을 연구모형 <그림 1>로 나타냈다.
  • 본 연구는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가 미디어 이용자의 개인 및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제시된 연구모형의 구성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된 이론적 논의들 가운데 보호동기이론에 근거하여 미디어로부터 전달된 신종플루 관련 뉴스 이용 정도가 미디어 이용자의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신종플루 관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의 심리적 기제(지각된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 자기효능감)에 매개되어 최종적으로 개인 및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성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 신종플루에 관한 뉴스 이용 정도가 미디어 이용자의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2) 설문기간은 2009년 11월 11일부터 17일까지 실시되었다.
  • kr). 이런 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중의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그러나 질병 정보 노출과 개인의 건강증진의도(intention to health promotion) 사이에 매개적 요소로서 심리적 조정 과정이 존재한다(우형진, 2007). 즉, 모든 개인들이 미디어 질병 정보에 대하여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심리적 기제 속에서 각 정보의 의미에 대한 평가과정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특정 질병에 대해 자신의 행위를 어떻게 현실에 적응시킬 것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미디어 질병 정보에 대한 개인의 평가란 질병 정보가 전달하는 메시지에 대한 인지된 위협 평가(threat appraisal)와 대처 평가(coping appraisal)를 의미한다.

가설 설정

  • 각 경로계수를 통해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을 살펴보면, 먼저 은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미디어 이용자의 인지된 신종플루 심각성이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 05). <연구가설 9>는 신종플루에 뉴스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미디어 이용자의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는 미디어 이용자의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β=-.
  • 001). <연구가설 9>는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미디어 이용자의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는 미디어 이용자의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β=.
  • 05). <연구가설 4>는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미디어 이용자의 인지된 신종플루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는 미디어 이용자의 신종플루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β=.
  • 001). <연구가설 2>는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미디어 이용자의 인지된 신종플루 취약성이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는 미디어 이용자의 신종플루에 대한 인지된 취약성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β=.
  • 001). <연구가설 5>는 인지된 신종플루 심각성이 높을수록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신종플루 심각성은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β=.
  • 즉,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와 미디어 이용자의 인지된 심각성, 취약성, 자기효능감 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가 나타났으나, 인지된 대처효능감은 그렇지 않았다. <연구가설 5>는 인지된 신종플루 심각성이 높을수록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와 달리, 인지된 신종플루 심각성은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β=.
  •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가 미디어 이용자의 위험평가와 대처평가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개인의 심리적 조정과정으로 신종플루에 대한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 자기효능감 인식은 이후의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낼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탐색적 차원에서 건강보호 행위의도의 목적이 자신 또는 공중을 대상으로 하는가에 따라 해당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보았다.
  • 연구가설 1∼4: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미디어 이용자의 인지된 신종플루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날 것이다.
  • 연구가설 5∼8: 인지된 신종플루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건강보호 행위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 연구가설 9: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미디어 이용자의 건강보호 행위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 001). <연구가설 3>은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가 높을수록 미디어 이용자의 인지된 신종플루 대처효능감이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는 대처효능감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β=.
  • 001). <연구가설 7>은 인지된 신종플루 대처효능감이 높을수록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가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신종플루 대처효능감은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β=.
  • 01). <연구가설 7>은 인지된 신종플루 대처효능감이 높을수록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와 달리, 인지된 신종플루 대처효능감은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냈다(β=.
  • 05). <연구가설 8>은 인지된 신종플루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가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신종플루 자기효능감은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β=.
  • 01). <연구가설 8>은 인지된 신종플루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와 달리, 인지된 신종플루 자기효능감은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β=.
  • 001). <연구가설 6>은 인지된 신종플루 취약성이 높을수록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가 높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신종플루 취약성은 개인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β=.
  • 05).<연구가설 6>은 인지된 신종플루 취약성이 높을수록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가 높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신종플루 취약성은 공중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β=.
  • 이 과정에서 미디어를 통한 질병 정보는 미디어 이용자의 질병공포의식과 질병대처지식에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밝혀졌다(우형진, 2007).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신종플루에 대한 뉴스 이용 정도가 미디어 이용자의 위험평가와 대처평가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개인의 심리적 조정과정으로 신종플루에 대한 심각성, 취약성, 대처효능감, 자기효능감 인식은 이후의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낼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디어를 통한 질병 정보 전달의 장점은 무엇인가? 반면에 미디어를 통한 질병 정보 전달은 질병 발생원인, 치료방법, 예방법 등 다양한 질병퇴치 지식을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개인위생 및 국가질병통제의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는 장점도 존재한다. 또한 미디어의 질병정보는 미디어 이용자의 질병과 건강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켜주고, 전문적인 의학지식을 쉽게 이해시켜 줌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질병을 예방시켜주는 교육기관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박정의ㆍ손명세, 2001).
보호동기이론에서 개인이 외부 위협 메세지에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심리적 보호동기 세가지는 무엇인가?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에 의하면, 개인이 심리적으로 위협을 느낄 수 있는 외부 메시지에 노출될 경우, 자신의 행위에 자극을 주는 몇 가지 심리적 보호동기들이 만들어진다(Rogers, 1975). 심리적 보호동기는 위협의 유해성 크기를 의미하는 심각성(severity), 자신이 그 위협에 얼마나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지 파악하는 취약성(vulnerability), 위협에 대처하는 방안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판단하는 대처효능감(response efficacy)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개인에게 질병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는 경로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질병에 관한 정보는 의료인이나 의료기관보다는 주로 텔레비전, 신문, 인터넷과 같은 미디어에 의해서 개인에게 전달된다(박정의ㆍ손명세, 2001; Rice & Atkin, 1989/1997; Bryant & Thompson, 2001/2005). 특히 질병으로 인한 위험도가 심각하거나 사회 전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병 정보의 경우, 미디어에 의해 전달되는 경향이 많고, 그 내용의 진실여부를 떠나서 정보를 소비한 미디어 이용자들의 태도와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Verbeke, Vianene, & Guiot,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