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알프레드 히치콕 영화에 대한 들뢰즈 사유의 이론적 재고찰
Theoretical Re-inquiry on Gilles Deleuze's Thought about Alfred Hitchcock's Fil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7, 2010년, pp.169 - 178  

강승묵 (공주대학교 영상광정보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는 영화와 관련된 개념과 이론에 대한 들뢰즈의 사유를 바탕으로 히치콕 영화를 이론적으로 재고찰했다. 이를 통해 영화가 사회과학과 예술학의 학문적 분파로서는 물론 철학으로서의 학문적 의의도 가질 수 있음을 논증하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들뢰즈는 히치콕이 지각, 행동, 감화-이미지를 틀 지우고 변형시킬 수 있는 정신-이미지를 영화에 활용함으로써 인물과 인물, 인물과 사건, 사건과 사건 사이의 추상적이고 자연적인 관계를 포함해 그 관계가 전개되는 방식도 이미지로 대상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들뢰즈는 히치콕 영화를 통해 정신-이미지가 영화의 의미를 전환시키고, 영화적 본질 또는 정신적 관계항으로서의 카메라가 이미지를 특정 형식으로 틀 지우는 동시에 그 이미지에 침투해 변형시킨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고는 들뢰즈의 영화에 대한 사유를 영화이론에 일반화하는데 적지 않은 문제가 있음을 논의의 한계로 제한하고 있지만, 영화와 철학의 관계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위한 이론적 성찰의 계기로서 새로운 연구문제를 탐색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has conducted a theoretical re-inquiry on Gilles Deleuze' thought about Alfred Hitchcock' film based on the image of thought in relation with the concept and theory about film.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at film can acquire the academic significance as a philosophy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 역시 일반화하기에 적잖은 문제를 내재하고 있는 들뢰즈의 영화에 대한 이론적 사유를 영화이론 전반에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를 직시하고 있다. 다만 영화와 철학, 그 실천적 논의를 위한 이론적 성찰을 통해 새로운 연구문제를 재고찰했다는 점에 본고의 연구의의를 두고자 한다.
  • 따라서 담론을 구성하는 규칙체계로서의 코드는 권력의 행사와 재생산에 주도적으로 개입하며 담론적 의미생산을 지배하면서 자본주의의 이념을 작동시키는 주요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들뢰즈는 이를 전제로 영화이미지를 통해 코드체계로 환원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철학적 사유의 틀을 세우고자 했다. 물론 그는 언어학적 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이미지의 지각 가능한 형태와 그에 상응하는 감각적 기호를 통해 구현되는 내레이션의 중요성을 부인하지 않는다.
  • 본고는 들뢰즈가 정의한 영화의 개념과 이론에 관한 사유를 논의의 바탕으로, 히치콕 영화를 이론적으로 재고찰함으로써 영화 이론이 얼마간 철학의 지위를 확보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어떤 추론의 결과인 것처럼, 히치콕 영화에 대한 들뢰즈의 사유 역시 들뢰즈 이전이나 그 이외에 이루어진 영화이론들로부터 선택적으로 추출된 부분들의 취합일 수 있다.
  • 위와 같은 관점에 의하면, 영화는 이미지와 기호에 관한 실천이며, 철학은 그 실천에 관한 이론을 개념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의 연구문제는 들뢰즈의 영화의 개념과 이론에 관한 사유를 바탕으로, 영화가 이미지와 기호에 관한 실천을 통해 철학의 지위를 확보하는 과정을 히치콕 영화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영화로 인해 파생된 개념과 이론을 들뢰즈의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히치콕 영화에 적용시켜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 연구방법은 영화로 인해 파생된 개념과 이론을 들뢰즈의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히치콕 영화에 적용시켜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런 논의를 통해 철학으로서의 영화와 그 실천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성찰을 동시에 모색해보는 것이 본고의 연구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들뢰즈 사유 이미지를 어떻게 개념화하였는가? 그에 의하면, “영화가 사유의 이미지와 사고의 메커니즘을 그리고자 했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영화를 추상화하는 것은 아니다”[4]. 들뢰즈는 사유 이미지를 사유에 대한 일종의 이데올로기로서, 재현성을 전제하는 사고방식의 지배적 형태로 개념화 하지만, 이후 사유의 단순 모방에서 벗어나 사유 이미지를 “존재론적 독자성”[5]을 지니는 것으로 재정의한다. 물론 이런 관점은 이미지가 고대의 가면처럼 무엇인가를 모사한, ‘무엇의 이미지’가 아니라 오히려 이미지 자체가 ‘이미 존재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들뢰즈가 주장한 영화에 대한 개념과 이론은? 그의 대표서인『Cinema 1: The Movement-Image』와 『Cinema 2: The Time-Image』도 엄밀히 말하면, 영화에 관한 이론서가 아니라 ‘영화에 관한 철학’을 다룬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들뢰즈가 주장한 영화에 대한 개념과 이론은 “영화를 이론적 실천(행위)의 하나로 정의”하는데서 출발해 이 “이론적 실천이 영화에 대한 철학의 지위”[1]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들뢰즈의 인문학적 사고와 철학적 사유의 난해함에 더해 영화에 대한 철학은 웬만한 학문적 천착 없이는 접근하기 쉽지 않다.
들뢰즈의 대표서는? 들뢰즈(Gilles Deleuze)의 영화이론은 ‘영화에 관한 이론’으로는 적잖이 복잡한 철학적 원천을 갖고 있다. 그의 대표서인『Cinema 1: The Movement-Image』와 『Cinema 2: The Time-Image』도 엄밀히 말하면, 영화에 관한 이론서가 아니라 ‘영화에 관한 철학’을 다룬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들뢰즈가 주장한 영화에 대한 개념과 이론은 “영화를 이론적 실천(행위)의 하나로 정의”하는데서 출발해 이 “이론적 실천이 영화에 대한 철학의 지위”[1]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박성수, 전수일, 이효인, 영화이미지의 미학, 현대미학사, pp.9-10, 1996. 

  2.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trans H. Tomlinson & B. Habberjam, Cinema 1: The Movement-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278-281, 1986. 

  3. C. Colebrook, Gilles Deleuze, 백민정, 질 들뢰즈, 태학사, pp.25-52, 2004. 

  4. G. Deleuze, Pourparlers, 김종호, 대담 1972-1990, 솔, p.75, 1994. 

  5. G .Deleuze, Pourparlers, p.84, 1994. 

  6. 박성수, 전수일, 이효인, 영화이미지의 미학, 현대미학사, p.10, 1996. 

  7. G .Deleuze, Pourparlers, 김종호, 대담 1972-1990, 솔, pp.84-90, 1994. 

  8.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 -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26-29, 1989. 

  9. 박성수, 영화.이미지.이론, 문화과학사, p.121, 1999. 

  10.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trans H. Tomlinson & B. Habberjam, Cinema 1: The Movement-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136, 1986. 

  11.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trans H. Tomlinson & B. Habberjam, Cinema 1: The Movement-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73, 1997. 

  12. P. P. Pasolini, “The Cinema of Poetry,” in B. Nichols, Movies and Method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542-558, 1976. 박성수, 영화.이미지.이론, 문화과학사, pp.13-16, 1999, 재인용. 

  13.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p.139-148, 2002. 

  14.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trans H. Tomlinson & B. Habberjam, Cinema 1: The Movement-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73, 1986. 

  15. Suzanne H. de Lacotte, Deleuze : Philosophie et Cinema, 이지영, 들뢰즈: 철학과 영화-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의 여행, 열화당, p.31, 2004. 

  16.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 -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2-5, 1989 

  17. 박성수, 전수일, 이효인, 영화이미지의 미학, 현대미학사, p.72, 1996. 

  18.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26-29, 1989. 

  19. 박성수, 영화.이미지.이론, 문화과학사, p.134, 1999. 

  20. G. Deleuze and F. Guattari, What is Philosiphy, trans. H. Tomlinson & G. Burchell.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1.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 -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169-170, 1989 

  22. G. Deleuze, Difference et repetition, trans. P .Patton, Difference and Repeti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190, 1994. 

  23.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46, 1989. 

  24.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Image, Minneapolis: Univ. of Minnesota Press, pp.168, 1989. 

  25.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p.362-370, 2002. 

  26.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p.363-364, 2002. 

  27.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p.364-365, 2002. 

  28. E. Alliez, “Midday, Midnight: The Emergence of Cine-thinking,” in G. Flaxman(ed.), The Brain is the Screen: Deleuze and the Philosophy of Cinema(pp.293-302),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apolis 

  29. 장일, “기억의 이미지, 역사의 이미지: 허우 샤오시엔, 들뢰즈, 시간-이미지”, 언론과 사회 13-3, pp.76-86, 2005. 

  30.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trans H. Tomlinson & B. Habberjam, Cinema 1: The Movement-Image, p.12, 1986. 

  31.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31, 2002. 

  32.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p.32-37, 2002. 

  33. G. Deleuze, Cinema II: L'image-temps, trans. H. Tomlinson & R. Galeta, Cinema 2: The Time-Image, pp.128-144, 1989 

  34. 박성수, 들뢰즈와 영화, 문화과학사, pp.122-126, 1998. 

  35.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369, 2002. 

  36.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pp.45-49, 2002. 

  37.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pp.40-41, 2002. 

  38.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367, 2002. 

  39.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367-368, 2002. 

  40. G. Deleuze, Cinema I: L'image-mouvement, 유진상, 시네마 I 운동-이미지, 시각과 언어, p.368-369, 2002. 

  41. L. Giannetti, Understanding Movies, 김진해, 영화의 이해, 현암사, p.61, 1987. 

  42. D. Bordwell and C. Thompson, Film Art: An Introduction, 주진숙, 이용관, 영화예술, 이론과 실천, p.99, 1993. 

  43. L. Giannetti, Understanding Movies, 김진해, 영화의 이해, 현암사, p.349, 1987. 

  44. S. Sharff, The Elements of Cinema, 이용관, 영화 구조의 미학, 영화언어, pp.18-19,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