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변량 조건부자기회귀모형을이용한강력범죄자료분석
Analysis of Violent Crime Count Data Based on Bivariate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원문보기

한국통계학회 논문집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v.17 no.3, 2010년, pp.413 - 421  

최정순 ,  박만식 (성신여자대학교 통계학과) ,  원유복 (서울시청 정보화기획담당관) ,  김학열 (서경대학교 도시공학과) ,  허태영 (한국해양대학교 데이터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5대 범죄중 사람의 생명과 신체에 심각한 위해를 가하는 강력범죄인 살인과 강도 범죄의 이변량 가산자료에 대해 이변량조건부자기회귀모형을 사용하여 공간상관성을 반영한 강력범죄모형을 제안하였다. 범죄자료와 같은 가산자료에 대한 과대산포 검정을 위해 우도비 검정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과대산포가 유의하지 않음에 따라 공간포아송모형을 이용하였다. 실증예제로 2007년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25개 자치구별 강력범죄자료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강력범죄 발생실태를 시각화하였으며 강력범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nsidered bivariate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taking into account spatial association as well as correlation between the two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the counts of murder and burglary. We conducted likelihood ratio test for checking over-dispersion issues prior to 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변량 범죄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 공간 영향을 동시에 고려한 공간자료모형을 개발하였다. 모든 지역 si (i = 1, .
  • 하지만, 모수 ρ는 상관계수는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살인과 강도건수의 공간상관성을 알아보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자치구에서 발생한 5대 범죄 중 살인, 강도에 대해 서울시 자치구별 발생현황을 살펴보고 범죄발생과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지역별 범죄 발생자료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서울시의 자치구별 강력범죄 발생 실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었으며, 이변량 조건부자기회귀모형(Bivariate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을 이용하여 지역 간 공간연관성을 반영한 공간포아송회귀모형과 일반적인 포아송회귀모형을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각 행정 구별 발생된 중대범죄인 살인과 강도 자료에 대하여 이변량 공간포아송회귀모형을 적합시키고 공간상관성의 여부를 판단하였다. 중대범죄인 살인과 강도의 연관성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관성을 반영한 이변량 모형이 적합함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의 경우 서울시의 범죄모형에 대해 고정된 년도(2007년)에 대하여 공간적 연관성(자치구별)만을 고려한 한계가 있어 향후 공간과 시간을 동시에 고려한 모형의 확장 및 다양한 공간가중치 행렬을 통한 모형 개발을 연구 중에 있다. 또한 Stern과 Cressie (2000)이 제시한 공간 포아송 모형을 통한 각 지역별 질병에 대한 상대위험도(relative risk)를 추정한 연구와 같이 서울시 각 구별 범죄에 대한 지역별 상대위험도 추정 모형을 개발 중에 있다.
  • 서울시의 자치구별 범죄발생과 다양한 요인들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시에서 제공한 범죄, 사회 경제학적 변수 그리고 도시계획 변수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에 필요한 단일 자료를 구축하였다. 서울시의 자치구별 범죄발생에 대한 자료는 2007년 서울시의 자치구별 5대 범죄인 살인, 강도, 강간, 폭력, 절도 중에서 사람의 생명과 신체에 심각한 위해를 가하는 강력범죄인 살인과 강도 발생 빈도에 대하여 공간상관성을 반영한 모형과 반영하지 않은 모형을 비교하고, 공간모형으로는 이변량조건부자기회귀모형을 제안하였다.
  • 그러나 기존의 선행연구는 5대 범죄 중 특정범죄 사이의 상관성에 대한 고려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는 범죄간의 특성을 반영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며 5대 범죄 중 살인, 강도와 같은 강력범죄는 서로간의 상관성이 높아 개별 모형보다는 두 강력범죄의 상관성을 고려한 이변량 모형(bivariate model)이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아송 모형은 어떤 가정을 가지는가? 일반적으로 빈도자료에 사용되는 통계 모형은 포아송 모형이며 이러한 포아송 모형은 자료의 평균과 분산이 동일하다는 가정을 가진다. 또한 자료의 평균이 분산보다 더 작은 과대산포의 문제가 야기되면 이를 고려한 모형인 음이항 모형이나 일반화 포아송모형 (Famoye, 1993; Choi 등, 2009)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베이지안적 모형비교 기준인 DIC와 제곱근평균제곱예측오차는 모두 작은 값일수록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공간상관성을 반영하지 않은 모형과 반영한 모형의 비교를 통해 서울시 자치구별 강력범죄모형에 가장 적합한 모형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베이지안적 모형비교 기준인 DIC(Deviance information criterion; Spiegelhalter 등, 2002)와 제곱근평균제곱예측오차(root mean squared prediction error; RMSPE)를 이용하였다. 두 기준 모두 작은 값일수록 좋은 모형이 된다.
베이지안적 모형비교 기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공간상관성을 반영하지 않은 모형과 반영한 모형의 비교를 통해 서울시 자치구별 강력범죄모형에 가장 적합한 모형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베이지안적 모형비교 기준인 DIC(Deviance information criterion; Spiegelhalter 등, 2002)와 제곱근평균제곱예측오차(root mean squared prediction error; RMSPE)를 이용하였다. 두 기준 모두 작은 값일수록 좋은 모형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이성우 (2004). 서울시 범죄발생의 도시계획적 함의, . 

  2. 이성우, 조중구 (2006). 공간적, 환경적 요인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 7, 57-76. 

  3. Banerjee, S., Carlin, B. P. and Gelfand, A. E. (2004). Hierarchical Modeling and Analysis for Spatial Data, Chapman & Hall, New York. 

  4. Choi, J., Fuentes, M. and Reich, B. J. (2009). Spatial-temporal association between fine particulate matter and daily mortality, Computational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53, 2989-3000. 

  5. Famoye, F. (1993). Restricted generalized Poisson regression model, Communication in Statistics-Theory and Methods, 22, 1335-1354. 

  6. Gelfand, A. and Vounatsou, P. (2003). Proper multivariate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s for spatial data analysis, Biostatistics, 4, 11-25. 

  7. Heo, T-Y. and Hughes-Oliver, J. (2009). Uncertainty adjustments to determine atmospheric dispersion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press. 

  8. Jin, X., Carlin, B. P. and Banerjee, S. (2005). Generalized hierarchical multivariate CAR models for areal data, Biometrics, 61, 950-961. 

  9. Kelsall, J. E. and Wakefield, J. C. (1999). Discussion of “Bayesian models for spatially correlated disease and exposure data”, In Bayesian Statistics 6, eds. Bernardo, J. M., Berger, J. O., Dawid, A. P., and Smith, A. F. M.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0. Spiegelhalter, D. J., Best, N. G., Carlin, B. P. and Van der Linde A. (2002). Bayesian measures of model complexity and fit,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64, 583-639. 

  11. Stern, H. S. and Cressie, N. (2000). Posterior predictive model checks for disease mapping models, Statistics in Medicine, 19, 2377?23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