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의적 마을 탈춤의 분석 -제의적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Village-Centered Masked Dance based on Rituals -On the Rituals Transitio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4, 2010년, pp.175 - 185  

백현순 (한국체육대학교 생활무용학과)

초록

본 연구는 제의적 마을 탈춤의 의미를 제의성의 변천을 중심으로 하회별신굿탈놀이와 강릉관노가면극을 비교 분석하여 보고자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회의 별신굿은 하회마을 사람들이 마을을 보호해 준다고 믿었던 신에 대한 숭배의식으로 탈 제작에 있어 제의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춤사위에는 제의적 요소는 없었다. 그리고 극 전체를 통해 볼 때 공연 방식이나 내용이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는 동제인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제의적 요소로 볼 수 있는 종교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었다. 강릉관노가면극의 탈은 등장인물의 배역에서부터 제의성을 찾아볼 수 있는데, 양반광대, 소매각시, 시시딱딱이, 장자마리 등 모두가 제의적 벽사의 기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춤사위의 대부분이 강릉지방 민속에 맞게 안무한 것으로 보아 춤사위에는 제의의 본질적 요소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릉관노가면극의 특징적인 면으로 볼 때 강릉관노가면극의 경우는 단오제라는 행사와 같이 하나의 놀이로써 지방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고, 지방수호신에게 제사하는 의식과 깊은 연관을 가진 서낭제 가면극의 특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the implications of masked dance in Hahoe with Gangneung masquerade and analyze them, in terms of the transition of the ritual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Byulsin exorcism of Hahoe was the worship for God who people believe protects us from the evil. However, from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문화상품은 지방자치단체들의 관심속에 문화콘텐츠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화상품이 문화콘텐츠로 만들어질 때 그 본질적 맥락을 잃지 않고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본적 연구라 생각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의 ‘대표적 전통문화’라는 제의적 마을 탈춤의 의미를 제의성의 변천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보고자 한 것으로 이러한 제의성은 탈춤의 본질적 의미와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 이들 탈춤은 다른 지역의 탈춤과는 달리 서낭신 제를 지낼 때에만 하는 것이므로 한국탈춤의 분류상에 있어서 같은 계통의 탈춤이다. 본 장에서는 연구목적에서 밝힌 바 대로 하회별신굿탈놀이와 강릉관노가면극에 나타나는 탈의 종류와 춤사위, 그리고 춤사위의 특징 등을 제의적 본질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 한국의 탈춤 중 제의적인 성격의 대표적인 탈놀이로 강릉관노가면극이나 하회별신굿탈놀이, 그리고 북청사자놀이 등을 들 수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 15호로 지정된 북청사자놀이의 경우 제의적 성격을 띤 탈놀이의 춤으로 놀이의 목적이 벽사진경에 있지만 춤의 내용상사자놀이가 주를 이룸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농촌탈로 제의적인 마을 탈춤의 유형인 강릉관노가면극이나 하회별신굿탈놀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의 ‘대표적 전통문화’라는 제의적 마을 탈춤의 의미를 제의성의 변천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보고자 한 것으로 이러한 제의성은 탈춤의 본질적 의미와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즉 마을의 공동제의였던 탈춤이 오늘날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를 구명함으로써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탈춤의 본질을 되짚어 보고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하는가를 연구해 보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회별신굿탈놀이란 무엇인가? 하회별신굿탈놀이는 경북 안동군 풍천면 하회동에서 전승되고 있는 놀이로 별신굿이다.
별신굿은 무엇을 위해 겨행되는가? 별신굿은 5년 또는 10년에 한번씩 지내는 서민들의 동제로 마을의 안녕과 풍요, 풍어 등을 위해서 거행된다. 그 중 탈놀이는 오신행사(娛神行事)로서 마을굿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형식적으로 제의에 종속되어 있을 뿐 아니라 내용면에서도 다른 가면극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초적이고 제의적인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하회마을에서 숭배해온 마을신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하회마을에는 예부터 서낭당, 국신당, 삼신당 등의 마을신을 숭배해 왔다. 이들 마을신은 비록 하회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히 발견되는 신으로 마을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는 마을을 생활공동체이자 생산공동체로 묶어 마을을 단위로 모든 것이 이루어졌으며, 마을신의 보호아래 마을을 재난으로부터 지키고 마을의 풍요와 번영을 비는 것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oan Cass, Dancing through history,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1993 ;김말복 (역), 역사속의 춤,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70, 1998. 

  2. 채희완, 탈춤, 대원사, p.35, 2001. 

  3. 중촌화대, "전승집단과 연행상황에 따른 화회탈 놀이의 지속과 변화", 석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 대학원, p.80, 2004. 

  4. 이두현, 한국의 탈춤: 한국문화예술대계18, 일지사, p.5, 1995. 

  5. 이두현, 한국의 탈춤, 일지사, p.6, 1981. 

  6. 이난영, 신라의 토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p.117-118, 2000. 

  7. 채하연, "문화상품으로서 탈춤의 엔테테인먼트적 기능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 p.30, 2003. 

  8. 채하연, "문화상품으로서 탈춤의 엔테테인먼트적 기능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 p.31, 2003. 

  9. 조동일, 탈춤의 역사와 원리, 홍성사, p.81, 1986. 

  10. 이두현, 한국의 가면극, 일지사, p.99, 1979. 

  11. 안동문화연구소, 하회탈과 하회탈춤의 미학, 사계절, pp.233-235, 1999. 

  12. 안동문화연구소, 하회탈과 하회탈춤의 미학, 사계절, pp.265, 1999. 

  13. 채희완, 공동체의 춤 신명의 춤: 한길산문정신10, 한길사, p.75, 1985. 

  14.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연구학과, 한국세시풍속사 전:여름편, 국립민속박물관민속연구학과, p.75, 2005. 

  15. 강원도사 편찬위원회, 강원도사 전통문화편, 강원도민일보사 출판국, p.517, 1995. 

  16. 국립문화재연구소, 강릉단오제, 국립문화재연구소, p.129, 1999. 

  17. 국립문화재연구소, 강릉단오제, 국립문화재연구소, p.137, 1999. 

  18. 이은봉, 놀이와 축제, 도서출판 주류, pp.34-35, 1982. 

  19. 강원도사 편찬위원회, 강원도사 전통문화편, 강원도민일보사 출판국, p.518, 1995. 

  20. 조미정, "하회 별신굿 탈춤과 강릉 관노탈춤의 비교연구",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p.37, 1992. 

  21. 조미정, "하회 별신굿 탈춤과 강릉 관노탈춤의 비교연구",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p.57, 1992. 

  22. 최종민, "관노가면회", 강릉단오제연구, p.27, 1975. 

  23. 정병호, "강릉 관노가면극의 춤사위", 강원 민속학, 제3권, pp.20-28,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