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흥지역 초등학생의 간식섭취 실태 및 간식관련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Snack Consumption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iheung-si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5 no.2, 2010년, pp.169 - 179  

조은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이수경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허규진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ood snack consumption behaviors are important among elementary students because snack provides additional energy and nutrients and because good dietary behaviors should be formed during early stages of life. This study investigated,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1) snack consumption behavio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식습관의 중요성과 함께 올바른 간식 섭취를 위한 영양교육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간식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져왔지만, 간식 섭취 실태에 관련해서 영양지식 수준을 측정한 연구논문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흥 일부 지역 초등학생들의 간식 섭취 실태와 이들이 섭취하는 간식과 관련된 올바른 영양지식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학교 영양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간식 섭취 실태뿐만 아니라 간식 섭취 행동과 간식관련 영양지식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영양지식을 묻는 항목의 수가 적어서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식 정도를 종합적으로 충분히 측정하였다고 보기 어려우며 경기도 시흥시 일부 초등학교에서만 실시하였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은 이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다.
  • 이 연구는 경기도 시흥시 일부 지역의 초등학생 372명의 간식 섭취 실태와 간식 관련 영양지식 현황을 알아보고, 간식 섭취 실태 조사 항목에서 영양 지식과 관련된 항목을 좋은 간식 섭취 습관을 가지고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나누어 영양지식점수를 비교하여 간식 섭취 실태와 영양 지식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5, 6학년생 372명을 대상으로 간식섭취 실태 및 간식관련 영양지식 정도 및 간식 섭취와 간식관련 영양지식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먼저,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간식 섭취 현황을 알아보았다. 특히, 많이 섭취하고 있는 간식과 먹고 싶어하는 간식, 간식 선택 시에 고려하는 사항과 확인하는 사항 등 영양 지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초등학생들의 간식에 관련된 영양 지식 정도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는 무엇인가? 만 7세에서 12세까지의 초등학생 시기를 ‘아동기’라 부르며, 이 시기는 신체의 성장과 조직 기관의 발달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학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활동량이 함께 증가한다. 그리고 자아가 형성되는 정서적인 발달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신만의 고유한 식습관을 형성하게 된다.
아동기의 식습관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만 7세에서 12세까지의 초등학생 시기를 ‘아동기’라 부르며, 이 시기는 신체의 성장과 조직 기관의 발달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학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활동량이 함께 증가한다. 그리고 자아가 형성되는 정서적인 발달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신만의 고유한 식습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성인이 되어서도 유지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동기에 바람직한 식생활 습관을 형성한다면 성인이 되어서도 당뇨, 고혈압, 비만 등의 만성질환의 위험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 유통되는 가공식품의 1회 제공량에 함유된 당 함량은? 하지만 아이들이 즐겨 찾는 가공식품에는 식품첨가물과 과도한 양의 당, 그리고 지방을 포함한 것이 많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가공식품의 1회 제공 량에 함유되어 있는 당 함량을 보면, 초콜릿 9.0 g/30 g, 스낵 3.5 g/30 g, 사탕 7.1 g / 10 g, 탄산음료는 19.9 g / 200 ml, 아이스크림 23.0 g / 100 ml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oi 등 2008). 이러한 가공식품의 지나친 섭취는 최근에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는 소아비만, 아토피 등을 일으키는 요인 중 하나이며, 특히 비만의 경우에는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당이 많이 함유된 가공식품을 다량 섭취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Nickals 등 2003; Koo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Y, Ko SY, Kim KW (2009):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4(3): 266-276 

  2. Back YM (2006): A study on eating out and snack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Jeonbuk province.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 Chang SO, Lee OH, Lee KS (2008): Intake of processed foods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5th grade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14(2): 166-175 

  4. Choi MH, Kown KI, Kim JY, Lee JS, Kim JW, Park HK, Kim MC, Kim GH (2008): Monitoring of total sugar contents in processed foods and noncommercial foodservice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3): 337-342 

  5. Choi SK, Choi HJ, Chang NS, Cho SH, Choi YS, Park HK, Joung HJ (2008): Snacking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3(2): 199-206 

  6. Gim YA (2008):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snack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with educated group and noneducated group as the center-.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7. Her ES, Lee KH, Lee SG, Park HJ (2005): Effect-evaluation on nutrition education in related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cused on change of dietary habits-. Korean J Community Nutr 10(6): 795-804 

  8. Hyon SM, Kim JW (2007):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by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 12(2): 168-177 

  9. Jang SH (2005): Studies on snack food consum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otherly awareness for its actual condition. MS thesis,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educational graduated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0. Jeong NY, Kim KW (2009):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4(1): 55-66 

  11. Joo EJ, Park ES (1998): Effect of sex and obese index on breakfast and snack intak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Diet Cult 13(5): 487-496 

  12. Kang MH, Yoon KS (2009):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exposure through intake of processed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 52-61 

  13. Kang SA, Lee JW, Kim KE, Koo JO, Park DY (2004): A study of the frequency of food purchase for snacking and its related ecological factor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9(4): 453-463 

  14. Koo JO, Lee JW, Choi YS, Kim JH, Lee JH (2006):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Hyoil Publishing Co., Seoul 

  15.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2): The food sanitation act - Nutrition labeling. 2002-49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Social indicators in Korea. p. 178 

  18. Ku PJ,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 Cult 15(3): 201-213 

  19. Lee KW, Lee HS, Lee MJ (2005):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s of self-purchasing snack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 20(5): 594-602 

  20. Lee OK, Chang SO, Park MJ (2008): Comparison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habi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 1427-1434 

  21. Lee SH (2007): A study on the necessity of the nutrition and hygiene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 MS thesis, Graduated School of Education Keimyung University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2007 National health statistics -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first year 2007. pp. 164-198 

  23.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HWFA) (2006):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p. 229-331 

  24. Nicklas TA, Yang SJ, Baranowski T, Zakeri I, Berenson G (2003): Eating patterns and obesity in children. The Bogalusa heart study. Am J Prev Med 25(1): 9-16 

  25. Park EJ (2006): Actual status of snack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Gumi -.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niversity 

  2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9): The Seoul food safety news - The survey about children's favorite food consumption behavior. pp. 18-19 

  27. Sung CJ, Sung MK, Choi MK, Kang YL, Kwon SJ, Kim MH, Seo YL, Miyuki Adachi, Mo SM (2001) : An ecological study of food and nutri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6(2): 150-161 

  28. Yang YS (2008): A Study on dietary life and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tudents in Jeju.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29. Yoon HS, Yang HL, Her ES (200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diver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5(3): 513-5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