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노인복지시설 급식소의 위생·영양관리 실태조사 연구
Current Status of Sanitary and Nutritional Food Service in Elderly Day Care Center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5 no.5, 2020년, pp.374 - 385  

우정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박유경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김미현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  이수경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송경희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혜경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atus of foodservice management, with special interest on sanitary and nutritional food service in elderly day care centers. Methods: A total of 79 employees who managed foodservice facilities in elderly day care centers were included in the sur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재가노인복지시설의 급식소 위생·영양 관리에 대한 인식 및 수행실태와 급식관리 현황 및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 제시된 위생·영양관리 항목은 급식소 관리 향상을 위해 필요하거나 권장되는 항목으로 이들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키고 현장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재 재가노인복지시설의 급식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추후 이들을 위한 위생·영양관리 지침 마련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노인시설의 급식 품질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급식 관리 향상을 위해 재가노인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위생·영양 관리에 대한 인식 및 수행실태와 급식관리 현황 및 요구도를 파악하여 추후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위생·영양 관리의 규정 및 지침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 재가노인복지시설은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곤란한 노인과 노인부양가정에 필요한 방문요양서비스, 주야간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 방문목욕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노인이 건강하고 안전한 노인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고 가족들의 부양 부담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중 주야간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은 노인들이 거주하는 시설은 아니지만 식당 및 조리실을 설치하도록 하여 하루 1~2식을 노인들에게 제공한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가노인복지시설이란? 재가노인복지시설은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곤란한 노인과 노인부양가정에 필요한 방문요양서비스, 주야간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 방문목욕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노인이 건강하고 안전한 노인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고 가족들의 부양 부담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중 주야간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은 노인들이 거주하는 시설은 아니지만 식당 및 조리실을 설치하도록 하여 하루 1~2식을 노인들에게 제공한다[1].
노인기의 신체의 특징은?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의 증가에 따라 노인의 건강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 급식관리에 대한 기준마련 및 내실화에 대한 필요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4]. 노인기의 신체는 감각기능이 저하되고 연하기능과 소화기능이 감소되므로 영양섭취가 불충분하게 이루어져 다른 생애주기에 비해 영양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7]. 또한 면역력이 저하되고 감염 및 식중독에 취약하므로 이들에게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품을 위생적인 방법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8-9].
연구결과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 보존식관리가 모든 위생관리 항목 중 중요도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난 이유는? 보존식은 식중독 발생 시 원인을 규명할 중요한 요소로 단체급식소에서는 필수적으로 보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재가복지 노인시설의 경우 식품위생법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보존식 보관 의무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 중요도 및 수행도 점수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보존식 수행은 식중독 발생시의 빠른 대처 및 원인규명에 도움이 되기에 필요성이 높지만 현실적으로 관련장비 마련 및 관리 방법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들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Information of elderly health and welfare business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cited 2020 Apr 21].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9225.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Number of facilities for the aged welfare and life status [internet].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 [cited 2020 Jul 7].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N_B00003&conn_pathI2. 

  3. Choi YO.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in-home elderly welfare services. Asia Pac J Multimed Serv Converg Art Humanit Soc 2019; 9(7): 845-854. 

  4. Chung KH. 2017 National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older Korea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Jul. Report No. Policy Report 2017-53. 

  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uidelines for healthy meals for the elderly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cited 2020 May 1].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brd/m_228/view.do?seq21193. 

  6. Kim SH, Kang HK, Kim JH. Socio-economic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aged. Korean J Nutr 2000; 33(1): 86-101. 

  7. Kim KR, Hong SA, Kim MK. Nutritional status and food insufficiency of Korean population through the life-course by education level based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 Nutr Health 2008; 41(7): 667-681. 

  8. Choi JH, Lee YJ, Lee ES, Lee HS, Chang HJ, Lee KE et al. Investigation of food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for analyzing food safety risk factors in the elderl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6; 45(5): 746-756. 

  9. McCabe-Sellers BJ, Bettie SE. Food safety: emerging trends in foodborne illness surveillance and prevention. J Am Diet Assoc 2004; 104(11): 1708-1717. 

  10. Seo SH, Yun NR. Foodservice management and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of employees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2011; 17(3): 287-301. 

  11. Park DJ, Jung SM. A study on care-givers in home service of long-term care in providing nutrition for their beneficiaries. Korean Aging Friendly Assoc 2019; 11(1): 47-56. 

  12. Seo SH, Moon SJ, Choi JH. Evaluation of hygienic status using ATP bioluminescence assay and food service workers' sanitation performance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2011; 17(2): 142-160. 

  13. Seo JE, Kwon KI, Kim GH.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institution foodservice management in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by the employment of dietitians. Korean J Food Cook Sci 2019; 35(2): 216-225. 

  14. Han GS, Yang EJ. Status of foodservice operation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focus o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8; 28(5): 337-344. 

  15.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nforcement rule of the act on welfare of senior citizens [interne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0 [cited 2020 Apr 14].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B%B2%95%EB%A0%B9/%EB%85%B8%EC%9D%B8%EB%B3%B5%EC%A7%80%EB%B2%95%EC%8B%9C%ED%96%89%EA%B7%9C%EC%B9%99. 

  16. Martilla JA, James JC.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 Mark 1977; 41(1): 77-79. 

  17. Lee MJ, Kim JH, Park OJ, Lee YM. A study on the needs for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for elderly who use welfare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1): 65-74. 

  18. Bae HJ. Analysis of contamination of bacteria from raw materials, utensils and workers' hands to prepared foods in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6; 35(5): 655-660. 

  19. Dettenkofer M, Spencer RC. Importance of environmental decontamination-a critical view. J Hosp Infect 2007; 65: 55-57. 

  20. Kim SH, Kang HK, Kim JH. Socio-economic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aged. J Nutr Health 2000; 33(1): 86-101. 

  21. Yoon MO, Moon HK, Kim SY, Kim BH. Nutritional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long-term care insurance's home visit care service.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2): 142-153. 

  22. Yang IS, Jung HY, Lee HY, Chae IS. Analyzing the current practice of the home-delivered meal (HDM) service program for homebound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5): 736-743. 

  23. Bae JS, Kim MH, Kim SB.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sonalized lunch service program for elderly at senior welfare center in Jeonju.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1): 65-76. 

  24. Kim HR. Present of institution foodservice and nutrition management improvement task. Health Welf Issue Focus. 2012; 130: 1-8. 

  25. Choi JH, Kim DH, Choi EH, Chung MJ, Lee HS, Lee MJ et al. Assess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ccording to types of elderly foodservice fac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9; 48(4): 469-4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