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방선문(訪仙門)의 선경(仙境)적 이미지와 명승적 가치
Study on Enchanted Image and Scenic Value of Jeju Bangseonmu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1, 2010년, pp.98 - 106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초록

방선문(訪仙門)은 한라산의 옛 이름인 영주산을 신비롭게 하는 신선사상의 흔적이 가장 역력한 명소로 한천계곡에 자리잡고 있다. 영주십경의 하나인 '영구춘화(瀛丘春花)'의 대상장으로 널리 알려진 방선문(訪仙門)과 들렁귀(등영구(登瀛丘))는 문자 그대로 '신선이 사는 곳으로 들어가는 문'이라는 뜻이며, 신선의 산 영주산으로 이르는 통로이자 속세와 탈속의경계로 그려지고 있다. 조선조 선비들은 신선의 고향 한라산을 무대 삼아 방선문, 환선대, 우선대 그리고 등영구의 제액(題額)을 바위에 각자(刻字)함으로써 신선의 문에 들어, 신선을 부르고, 신선을 만나, 신선의 세계로 오르는 선경의 이미지를 방선문에 구축해 왔다. 이는 세속의 번거로움을 털고 한라산 신선이 되는 풍류 행위의 시적 표현이며, 도교적 이상세계에 대한 염원으로, 방선문 4승경의 장소 정체성을 이루는 핵심이다. 방선문이 갖는 선경적 장소성뿐만 아니라 계곡 및 하천경 관을 이루는 지질지형학적 특성과 식물생태학적 가치는 방선문이 '자연경관으로서 명승'으로도 부족함이 없음을 보여준 다. 고찰 결과를 종합할 때 방선문은 마애각에 새겨진 제영의 의미가 갖는 장소정체성과 선경적 의미 그리고 영주십경의 대상장이자 '영구춘화'의 시점장으로서는 물론 방선문 계곡의 자연적 아름다움을 바탕으로 선인과 자연과의 만남을 통한 교감의 장소로 유전되어 왔다. 지금도 제주민과 호흡하는 문화공간으로 지속되고 있음은 생활명승의 전형성 또한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현재 문화재보법의 명승적 가치와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제주 방선문계곡은 명승의 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전형적 장소이자 공간이라 할 만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ngseonmun(訪仙門) is the attractive spots where Shinseon(神仙: Taoist hermit) ideas that makes Mt. Younju(瀛洲山) or the current Mt. Halla mystique has still remained and situated at Hancheon(漢川) Valley. Bangseonmun, which is known as 'Landscape Setting Here($L_{SH}$)' of Youngguchunhwa(瀛丘春花),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석함으로써방선문의 공간 특성을 구명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를 근거로방선문이 탁월한 공간정체성과 명승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논거하기 위한 목적도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제주 방선문의 입지와 경관특성을 조명하는 한편마애각자로 표현된 방선문의 선경적 경관상 및 전래 경관으로서의 면모 그리고 현재의 이용 상태 등을 분석 . 해석함으로써방선문의 공간 특성을 구명하고자 한다.
  • 제주 방선문의 입지와 경관특성을 집중 조명하는 한편 마 애 각자로 표현된 방선문의 선경적 경관상 등 전래 경관으로서의 면모를 분석 및 해석함으로써 방선문이 명승으로서 탁월한 장소 정체성과 자연 및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논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해석함으로써방선문의 공간 특성을 구명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를 근거로방선문이 탁월한 공간정체성과 명승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논거하기 위한 목적도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강문규(2003) 한라산 학술대탐사 3 한천. 제주: 한라일보사. 

  2. 강정효(2003) 한라산: 오름의 왕국 생태계의 보고. 파주: 돌베게. 

  3. 김계식(2009) 명승 지정현황과 정책방향. 문화재청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4. 김상조 역(1992) 탐라지. 이원진(1963) 耽羅誌. 제주: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5. 김학범(2009) 한국 명승의 현주소와 과제. 문화재청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6. 김해경(2007) 오늘, 옛 경관을 다시 읽다. 파주: 도서출판 조경. 

  7. 노재현, 신병철, 한상엽(2009) 탐라십경과 탐라순력도를 통해 본 제주 승경의 전통. 한국조경학회지 37(3): 91-104. 

  8. 문화재청(2003) 명승지정 학술 조사 연구. 문화재청. 

  9. 문화재청(2004) 명승지정 학술 조사 연구. 문화재청. 

  10. 문화재청(2005) 명승지정 학술 조사 연구 문화재청. 

  11. 문화재청(2007a) 문화재보호법. 문화재청. 

  12. 문화재청(2007b) 전통명승 동천구곡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13. 문화재청(2007c) 명승 우수자원 지정 정밀조사: 강원 지역. 문화재청. 

  14. 문화재청(2007d) 명승 우수자원 지정 정밀조사: 충남 충북 대전 지역. 문화재청. 

  15. 문화재청(2007e) 전용명승 동천구곡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16. 문화재청(2008a) 전통명승 동천구곡의 유형과 활성화 방향. 문화재청. 

  17. 문화재청(2008b) 명승 우수자원 지정 정밀조사: 광주 전남 전북 지역. 문화재청. 

  18. 민족문화추진회 역(1985) 면암집II: 遊漢擊山記. 최익현(1931)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19. 박현우(2002) 문화재보호법과 문화재 활용에 관한 관광객과 주민들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신승진(2003) 명승 지정을 위한 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영월 동강 어라연지역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양정식(1999) 제주도 지명어의 형태와 의미소 고찰.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오문복(2004) 영주십경 시집. 제7권. 제주: 도서출판 제주문화. 

  23. 오상학(2006) 지도와 地誌로 보는 한라산. 한라산의 인문지리. 제주도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4. 이영권(2004) 제주역사기행. 서울: 한겨레신문사. 

  25. 이위수(2009) 한국 명승의 현황과 전망. 명승의 현황과 전망.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26. 이재근(2009a) 우리나라 명승 지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한 중 일 북한과의 비교. 전통문화에 새겨진 가치와 의미. 파주: 도서출판 조경. 

  27. 이재근(2009b) 명승의 개념 및 분류체계 논의. 문화재청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28.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2책. 서울: 휴머니스트. 

  29. 이진희(2005) 명승대상지 평가인자 적용에 관한 연구: 동해 무릉계곡, 함양 화림계곡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창복(2003)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31. 제주도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2006) 한라산악 하천. 제주: 도서출판 각. 

  32. 제주시 제주문화원(1996) 제주시 옛 지명. 

  33. 최석기(2008) 전통 명승의 인문학적 의미. 전통명승 동천구곡의 유형과 활성화 방안. 문화재청. 

  34. 한글학회(1984) 한국지명총람 16. 전남편 4. 제주. 

  35. 현행복(2004) 제주문화의 원류찾기 4. 방선문. 제주: 각출판사. 

  36. http://jeju.grandculture.net 

  37. http://local.daum.net/map/index.jsp 

  38. http://www.cha.go.kr 

  39. http://www.issuejeju.com/news/article 

  40. http://www.jejumall.com 

  41. http://www.minchu.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