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녹지축 주변 시가화지역 내 야생조류 출현 영향요인 분석 연구
Study o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 for Wildbirds' Appearance in Urban Area around Urban Green Axis - A Case Sturdy of Gangdong-gu in Seoul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2, 2010년, pp.166 - 177  

곽정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 강동구 녹지축인 산림과 인접한 시가화지역 내 야생조류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 도시생태계 현황 분석결과 시가화 비오톱은 녹지율이 높은 공동주택지 비오톱과 녹지율이 낮은 주상혼합지 및 상업업무지 비오톱이 주요 유형이었고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비오톱은 배후녹지 비오톱이 대부분이었다. 분석공간단위는 비오톱 유형별 블록을 기준으로 하였다. 봄철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총 51종 3,419개체, 겨울철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총 35종 4,213개체이었고 분석대상종은 연구 목적을 고려하여 시가화지역에 출현한 31종 중 도심지에 적응한 종과 맹금류, 수변에 서식하는 종들을 제외한 총 24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종들을 대상으로 각 공간단위별 봄철, 겨울철 야생조류 출현종 및 개체수를 분석하였다. 시가화지역 야생조류 출현과의 상관분석을 위해 분석 공간단위별 블록면적, 녹지율, 건폐율, 용적율 등 토지이용구조와 교목 아교목층 녹지용적, 관목층 녹지용적, 블록내 평균 녹지패치면적, 교목층 평균 수고 및 흉고직경 등 녹지구조를 산출하였으며 주요 녹지와 각 블록간의 최단거리를 구하였다. 토지이용구조와 야생조류 출현특성과의 상관분석에서 블록면적, 녹지율, 건폐율은 야생조류 출현종수, 출현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녹지구조와 야생조류 출현특성과의 상관분석에서 층위별 녹지용적, 블록내 평균 녹지패치면적, 교목층 수고는 야생조류 출현종수, 출현개체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identify potential factors to impact on appearance of wildbirds which live in the core forest around urban area in Gangdong-gu, Seoul. As a result of analysis of, studies on biotope showed most of urbanization biotope was biotope of residential areas with high green coverage and b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태도시의 출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생태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인 야생조류를 대상으로 야생조류 서식이 가능한 산림지역 주변 시가화지역을대상지로 하여 배후산림을 서식기반으로 하는 도심 내 야생조류의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안정적인 도시녹지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본 연구 목적은 시가화지역의 야생조류 서식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연구로서 연구 범위를 시가화지역으로 한정하여 대상지내 전체 출현종 중 산림지역 및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에서만 출현한 종은 분석대상종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통계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시가화지역에서 출현한 야생조류 중 넓은 서식지 면적을 요구하고 녹지내부에서이동하지 않고 상공에서 주로 관찰되는 맹금류와 연구대상지 시가화지역의 공간구조 성격상 연관성이 떨어지는 수변종은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본 연구는 산림과 인접한 강동구 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도시생태현황과 야생조류 출현현황을 분석하여 도심내 야생조류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토지이용구조에서는 녹지율, 건폐율이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어 도심내 야생조류 출현에는 충분한 녹지확보가 필요하였으며 지나친 건폐지의 면적은 야생조류의 시각적 차폐를 유도하여 출현을 감소시키는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오톱 유형화에 따라 구분된 배후녹지와 거점녹지를 대상으로 각 공간단위별 블록과배후녹지와의 거리, 거점녹지를 포함한 주요 녹지와의 최단거리를 산출하여 주요 녹지로부터의 거리와 야생조류 출현현황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 분석대상 블록과 주요 녹지간의 거리는 Table 9에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半田眞理子(1989) 都市の生態系の綠. 綠の讀本 10: 3-10. 

  2. Cho, D.S.(1991) Island Biogeography Theory and Nature Conservation. Journal of Natural Science Song Sim College for Woman 12: 37-47. 

  3. Cho, W.(1995)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odel for the Naturalness Enrichment of the Urban Green Space - A Case Study of Seoul City -.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252pp. 

  4. Colin, J.B., N.D. Burgess and D.A. Hill(1997)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Limited(4th), London, 257pp. 

  5. DeGraaf, R.M., A.D. Geis and P.A. Healy(1991) Bird Population and Habitat Surveys in Urban Areas. Landsc. Urban Plann. 21: 181-188. 

  6. Han, B.H.(2000) Ecological Assessment and Planting Models of Green Linkage for Eco-city Realization.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271pp. 

  7. Hooper R.G., H.S. Grawford and R.F. Harlow(1973) Bird Density and Diversity as Related to Vegetation in Forest Recreational Area. J. of forestry 71: 766-799. 

  8. Hur, W.H., S.J. Park, S.J. Rhim, Y.S. Park, S.Y. Choi, C.B. Lee and W.S. Lee(2003) Differences in Bird Communities Due to Different Habitat Type in Han River Area. Kor. J. Env. Eco. 17(1): 83-91. 

  9. Jedicke, E.(1994) Biotopverbund - Grundlagen und $Ma\beta$ Nahmen Einer Neuen: Ulmer. 

  10. Kim, G.T., K.K. Oh and Y.J. Choi(1987) User's Effects on Avifauna in Bukhan Mountai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3(1): 24-34. 

  11. Kim, H.S., T.K. An and H.S. Byun(1996) Green Town Development(Research Outline and Part of Architectur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97pp. 

  12. Kim, J.S.(1999)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 as Wildbirds' Habitats in Apartment Complex.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116pp. 

  13. Kim, J.S., G.T. Kim, Y.H. Kong and S.H. Ko(1988) User's Effects on Avifauna in Chiak Mountaio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1): 37-49. 

  14. Kim, Y.S., H.U. Park, M.G. Kwon and S.I. Kim(2002) Comparison of Bird Communities in Relation to Forest Structure. Kor. J. Orni. 9(2): 105-114. 

  15. Koo, T.H.(2004) A Study on the Method of Urban Biotope Preparation for Improvement of Bird Diversity - Focusing on Metropolitan Seoul Area -. M. Sc. Thesis, Kyung Hee University, 59pp. 

  16. Korea Evironment Institute(1993) A Study on Establishment of Eco-polis Plan. Korea Evironment Institute, 326pp. 

  17. Kwak, J.I.(2007) Improvement Plan of the Landuse Structure and the Green Structure for Establishment of the Wildbirds' Habitation Base in Urban Area - A Case Study of Gangdong-gu in Seoul -.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165pp. 

  18. Lee, J.W., J.S. Kim and C.H. Ryu(1989) User's Effects on Avifauna in Kaya Mountai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3(1): 70-80. 

  19. Lee, M.C.(1996) A Conceptual Study of Biotope Mapping in the Cit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1(6): 197-211. 

  20. Lee, W.S and C.R. Park(1995) Analysis of Changes on the Forest Environment and the Bird Community in Term of Guild. Kor. J. Env. Eco. 18(30): 397-408. 

  21. Lee, W.S. and S.J. Rhim(1998) Change in Bird Communities Due to Urbanization. Kor. J. Orni. 5(1): 47-55. 

  22. Lee, W.S.(1998) Inhabitation Status and Protection Discipline of Wildbirds in Urban Area - In the case of Seoul City -. Kor. J. Env. Eco. 11(2): 240-248. 

  23. Lee, W.S., C.R. Park and S.J. Rhim(2000)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Han River A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3(3): 273-279. 

  24. Lee, W.S., J.W. Lee and J.S. Kim(1990) User's Effects on Avifauna in Sokri Mountai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4(1): 51-62. 

  25. MacArthur, R. and J. MacArthur(1961) On bird species diversity. Ecology 42: 594-598. 

  26. Min, S.J., K.J. Kim and K.S. Kim(2004) A Study to Extract Landuse Information from Digital Topographic Map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2(3): 13-21. 

  27. Ministry of Environment(1996) Establishment of Master-plan for Construction of Eco-polis. Ministry of Environment, 250pp. 

  28. No, H.J.(2003) Easy Multivariate Statistics by Hangle SPSS 10.0. Hyungseul, Seoul, 563pp. 

  29. Tilghman, N.G.(1987) Characteristics of urban woodlands affecting breeding bird diversity and abundanc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4: 481-495. 

  30. Won, B.O.(1981) Illustrated Flora & Fauna of Korea vol. 25 Avifauna.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Development, 1,126p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