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기계 시간당작업량(Q) 산정 개선방안 -펌프준설선 작업효율(E)을 중심으로-
The estimating method of construction workable-quantity per unit time - Focused on Pump-Dredge -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1 no.3 = no.55, 2010년, pp.125 - 133  

안방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코스트연구실) ,  태용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코스트연구실) ,  서상욱 (경원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공공건설공사 예정가격작성기준에서 제시하는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Q)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작업효율(E)은 현장여건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적용기준이 명확해야 한다. 그러나 국내 기준은 정성적인 표현이 사용되며,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또한 포괄적이고 모호하여 설계자의 주관적이고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펌프준설선을 대상으로 국내 외 관련 문헌조사 및 현장실사를 통하여 합리적인 작업효율(E) 제시방법을 제안하고 이로 인해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 산정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기준 또한 일본기준의 형태로 작업효율(E)을 공사구분별, 흙두께, 평면형상, 단면형상, 해상조건 등으로 세분화 시킬 것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도 객관화 시킬 수 있는 형태로 개선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장조사를 통해 얻어진 산출량을 일본의 예정가격작성기준을 적용하여 계산된 산출량과 비교하여 일본기준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펌프준설선 (4,476kW)은 배송거리 3,600~6,000m의 시간당 준설량(Q)을 실측하여 표준값인 전동환산(q)을 비교하여, 일본대비 102.3% 수준으로 거의 유사한 결과값을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각종 자료 및 수치들은 건설기계와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예정가격작성기준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련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work-efficiency of construction machinery is a critical factor for estimating its workable-quantity perunit time, the efficiency figure table presented in the Poom-Sam that is used for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of public sectors in Korea is very subjective for practical usage. In order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 건설공사표준품셈에서 작업효율(E)의 제시방법이 양호, 보통, 불량 등으로 지극히 정성적인 표현을 사용하고 있어 예정가격산정시 혼돈의 우려가 있으며, 설계자의 자의적인 판단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관련 문헌조사를 통하여 합리적인 작업효율(E) 제시방법을 제안하고 이로인해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Q) 산정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기준 또한 일본의 기준의 형태로 세분화 및 객관화 시킬 수 있는 형태로 개선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얻어진 산출량을 일본의 예정가격작성기준을 적용하여 계산된 산출량과 비교하여 일본기준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검토방법은 펌프준설선(4,476kW) 배송거리 3,600~6,000m의 시간당 준설량(Q)을 실측하여 표준값인 전동 환산(q)을 비교하였으며, 일본대비 102.
  • 다만 전동 환산(q)의 값이 국내는 배송거리 3,500m까지 일본은 6,000m까지 제시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본 현장조사에서는 국내 현장에서는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국내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지 않는 배송거리 3,500m~6,000m 현장의 준설량을 조사하여 일본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 특히 그동안 국내 건설기계장비와 공법이 발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펌프준설선을 포함한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에 대한 제∙개정은 미비하며 이와 관련된 연구 또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위한 개선책으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판단기준이 미약하여 정량화하기 곤란한 펌프준설선의 작업효율(E)을 국내 현장조건과 유사한 일본의 방식과 비교하여 개선시킬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그러나 국내 기준은“양호, 보통, 불량 등”의 정성적인 표현이 사용되며,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또한 포괄적이고 모호하여 설계자의 주관적이고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펌프준설선을 대상으로 국내∙외 관련 문헌조사 및 현장 실사를 통하여 합리적인 작업효율(E) 제시방법을 제시하고 이로 인해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 산정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일반준설 : 쇄암을 요하지 않고, 일반준설선을 사용하는 것으로 준설공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예) 펌프식 준설선, 그라브 및 디퍼 준설선, 버킷식 준설선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계경비를 산정하기 위해 해당작업 물량의 소요시간은 어떻게 추출하게 되는가? 건설기계 작업효율(E)은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Q)을 산정하기위한 일부 요소이며, 시간당 작업량(Q)은 다시 건설기계경비를 산정하기 위한 일부분이다. 즉, 기계경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Q)을 산정하게 되고, 구해진 시간당 작업량(Q)에 의해서 해당작업 물량의 소요시간을 추출하게 된다. 해당작업 물량의 소요시간은 기계경비를 구성하는 재료비, 노무비, 경비로 투입되어 전체적인 기계경비를 산정하게 된다.
건설기계 작업효율은 무엇인가? 건설기계 작업효율(E)은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Q)을 산정하기위한 일부 요소이며, 시간당 작업량(Q)은 다시 건설기계경비를 산정하기 위한 일부분이다. 즉, 기계경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Q)을 산정하게 되고, 구해진 시간당 작업량(Q)에 의해서 해당작업 물량의 소요시간을 추출하게 된다.
건설기계 작업효율이 기계정비를 산정하기 위한 원척적인 요소로 적용된다고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건설기계 작업효율(E)은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Q)을 산정하기위한 일부 요소이며, 시간당 작업량(Q)은 다시 건설기계경비를 산정하기 위한 일부분이다. 즉, 기계경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량(Q)을 산정하게 되고, 구해진 시간당 작업량(Q)에 의해서 해당작업 물량의 소요시간을 추출하게 된다. 해당작업 물량의 소요시간은 기계경비를 구성하는 재료비, 노무비, 경비로 투입되어 전체적인 기계경비를 산정하게 된다. 따라서 건설기계의 작업효율(E)은 기계경비를 산정하기 위한 원천적인 요소로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권기태(2002). "건설기계와시공", 동명사 

  2. 박희성(2008). "건설기계 시공능력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8권 제1D호 

  3. 이중석(2008). "건설기계 연간표준가동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8권 1호 

  4. 이지용(2008). "철골세우기의 현장생산성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8권 2호 

  5. 정대권(2009). "도로포장 및 유지공사 표준품셈 개정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11권 제1호 

  6. 허영기(2008). "표준품셈의 기계경비 산정 현실화를 위한 자료 조사?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9권 제1호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86), "87표준품셈보완연구보고서-기계 분야", 건기연 86-M-1 

  8.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0). "건설기계 손료산정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90-CM-1 

  9.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9) "건설공사표준품셈" 

  10. 建設物價調査會(平成19年2007). "建設工事標準步掛" 

  11. 日本港灣協會(平成20年2008). "港灣土木請負工事積算基準" 

  12. 日本建設機械化協會(平成17年2005). "建設機械等損料表"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