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계단계 설계 안전성 검토 적용의 문제점과 도출 위험요인의 적정성
Problems of Applying Design for Safety and Adequacy of Risk Factor Derived at Design Phase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9 no.6, 2019년, pp.549 - 555  

김진동 (Department of Architecture, Yeonsung University) ,  김광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산업에서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다양한 방법으로 꾸준히 하고 있지만 줄지 않고 있다. 따라서 설계단계에 설계의 안전성 검토를 도입하여 안전사고발생의 근본적 원인을 제거하고자 2016년부터 설계 안전성 검토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설계 안전성 검토 시행의 적정성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제도가 올바르게 정착하여 안전사고를 줄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관련 기술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설계 안전성 검토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관련 기술자들의 설계의 안전성 검토에 대한 인식률이 낮고, 설계의 안전성 검토에서 도출된 위험요인도 설계 사항이 아닌 항목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질적인 설계단계 설계상 위험요인을 줄이는 노력을 하여 안전사고 감소에 좀 더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efforts to reduce safety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been made in a variety of ways, so far they have had minimal effectiveness. For this reason, since 2016 Design for Safety (DfS) has been implemented as an attempt to eliminate the root cause of safety accidents by introducing...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설계 안전성 검토 (Design for Safety, 이하 DfS)는 위험요소를 설계단계에서 사전에 발굴하여 위험성 평가와 저감대책을 수립하고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설계단계에서 위험요소를 제거·저감하는 활동으로 이에 맞게 제도가 운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건축물에서 설계 안전성 검토 업무 매뉴얼에 따라 작성된 설계 안전성 검토 보고서를 분석하여 그 적정성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사 건축물의 설계 안전성 검토가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설계 안전성 검토 보고서를 분석하고 보고서 내용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적정성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을 확인하고, 향후 실시되는 설계 안전성 검토 시에 적절하게 적용되어 건설안전에 좀 더 많이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따라서 설계단계에 설계의 안전성 검토를 도입하여 안전사고발생의 근본적 원인을 제거하고자 2016년부터 설계 안전성 검토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설계 안전성 검토 시행의 적정성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제도가 올바르게 정착하여 안전사고를 줄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관련 기술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설계 안전성 검토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관련 기술자들의 설계의 안전성 검토에 대한 인식률이 낮고, 설계의 안전성 검토에서 도출된 위험요인도 설계 사항이 아닌 항목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사 건축물의 설계 안전성 검토가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설계 안전성 검토 보고서를 분석하고 보고서 내용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적정성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을 확인하고, 향후 실시되는 설계 안전성 검토 시에 적절하게 적용되어 건설안전에 좀 더 많이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가 설계안전성검토를 도입란 년도는 언제인가? 외국에서는 일찍부터 건설산업에 설계안전성검토를 도입하였으나 우리나라는 2016년부터 설계안전성검토를 도입하였다. 또한 국토교통부에서는 “설계 안전성 검토 업무 매뉴얼[6]”을 2017년 5월부터 제공하고 있는데, 그 근거는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제75조의 2(설계의 안전성 검토)”와 “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718호)”에 두고 있다.
설계 안전성 검토 (Design for Safety, 이하 DfS) 필요성은 무엇인가? 건설공사 설계 안전성 검토를 본격적으로 시행된 지 3년이 되는 시점에서 본래 의도된 바와 같이 시행되고 있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즉, 설계 안전성 검토 (Design for Safety, 이하 DfS)는 위험요소를 설계단계에서 사전에 발굴하여 위험성 평가와 저감대책을 수립하고 설계에 반영함 으로써 설계단계에서 위험요소를 제거·저감하는 활동으로 이에 맞게 제도가 운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건축물에서 설계 안전성 검토 업무 매뉴얼에 따라 작성된 설계 안전성 검토 보고서를 분석하여 그 적정성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2016년부터 설계안전성검토를 도입하고, 이를 둿받침할 업무 매뉴얼의 근거는 무엇인가? 외국에서는 일찍부터 건설산업에 설계안전성검토를 도입하였으나 우리나라는 2016년부터 설계안전성검토를 도입하였다. 또한 국토교통부에서는 “설계 안전성 검토 업무 매뉴얼[6]”을 2017년 5월부터 제공하고 있는데, 그 근거는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제75조의 2(설계의 안전성 검토)”와 “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718호)”에 두고 있다. 정부, 지자체, 그리고 공공기관은 매뉴얼에 따라 발주하는 설계에 대하여 설계 안전성 검토를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8 Industrial disaster status analysis. 2018 Dec;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p. 732. 

  2. Zhang S, Teizer J, Lee JK, Eastman CM, Venugopal 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safety: automatic safety checking of construction models and schedules.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13 Jan;29:183-95. https://doi.org/10.1016/j.autcon.2012.05.006 

  3. Xiaer X, Dib H, Yuan J, Tang Y, Li Q. Design for Safety(DFS)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A Review. Proceed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and Real Estate Management; 2016 Sep 29-Oct 1; Edmonton, Canada. Reston (V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6. p. 69-80. 

  4. Moaveni S, Banihashemi SY, Mojtahedi M. A conceptual model for a safety-based theory of lean construction. Buildings. 2019 Jan;9(1):1-11. https://doi.org/10.3390/buildings9010023 

  5. Behm M. Linking construction fatalities to the design for construction safety concept. Safety Science. 2005 Oct;43(8):589-611. https://doi.org/10.1016/j.ssci.2005.04.002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anual for Design for Safety in Construction.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223 p. 

  7. Taiebat M., Ku KH. Tuning up the core of hazard identification: How to improve stimulated thinking for safety in design. Proceedings of 47th ASC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2011 April 6-9;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Omaha (Nebraska): Associated Schools of Construction; 2011. p. 1-9. 

  8. Szymberski R. Construction project safety planning. TAPPI Journal. 1997 Nov;80(11):69-74. 

  9. Shin WS, Son CB. An awareness analysis on the design for safety of construction project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9 Aug;19(4):351-9. https://doi.org/10.5345/JKIBC.2019.19.4.351 

  10. Shin WS, Son CB. An analysis on the design for safety work performance of owner and designer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9 Sep;20(5):95-103. https://doi.org/10.6106/KJCEM.2019.20.5.0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