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침을 이용한 수근관 증후군 환자5예에 대한 임상 증례 보고
The Clinical Study 5 Cases through Hot Acupuncture for Treating the Carpal Tunnel Syndrome 원문보기

論文集 :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韓醫學編, v.19 no.1, 2010년, pp.9 - 15  

정주열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김영일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if the oriental medicine treatment with hot acupuncture are more effective and safer in the carpal tunnel syndrome. Methods : We treated total 5 patients with hot acupuncture high-frequency radio waves. We evaluated VAS(visual analog scale) and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언급된 바와 같이 수근관 증후군은 임상에서 많이 접할 수 있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한의학적인 연구는 수편의 임상예27-30 및 문헌고찰31이 발표되었으나 온침을 이용한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으로 대능혈을 이용한 온 침으로 수근관 증후군 5예를 치료한 결과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手掌部의 疼痛이나 비증 등의 증상으로 00한의원에 내원하여 이학적 검사상 수근관 증후군이 의심되어 치료한 환자 중에서 타양방병원에서 수근관 증후근으로 확진 받은 환자 5예를 대상으로 手厥陰心包經의 大陵穴(PC7, Taenung6부위에 온침6,7을 실시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근관 증후근의 증상은 무엇인가? 이런 말초신경의 포착성 증후군으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수근관 증후근이라 할 수있는데 가장 흔한 증상은 저린감, 통증, 무감각, 근력약화 등이 있으며 비교적 증상이 가볍거나 수술적 치료를 당장 시행하지 못할 경우 우선적으로 보전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2.
수근관 증후군의 임상 증상은 무엇인가? 임상 증상으로는 정중신경의 압박 정도 및 지속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통증과 감각 이상이 가장 흔하게 관찰되고, 정중신경분지의 통증, 저림, 아리고 쑤시는 증상 등으로, 통증 양상이 타는 듯한 느낌이나, 따끔거리는 느낌으로 표현되며 자다가 나타나기도 하며 과일 깍기나 빨래 짜기와 같이 손을 꽉 쥐는 동작으로 인한 증세가 악화된다. 통증은 손과 손목을 많이 사용한 후 밤에 더 심하고 양측성인 경우가 흔하지만 대부분 많이 쓰는 쪽에 증상이 심하며 아침에 일어나면 손의 강직감으로 인하여 자주 손을 흔들어 털거나 문지르는 버릇이 생기게 된다.
수근관증후군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수근관 증후근의 진단으로는 임상증상과 전기 진단검사를 조합하여 진단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진단기준이나, 전기진단검사를 시행하지 못할 때는 증상과 이학적 검사를 이용한 진단기준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보고하고 있다18. 진단하기 위해서 Phalen’s Test , Tinel’s Sign, 수근관 압박 등이 적용이 되고 있으며, 전기진단검사는 수근관 부위 정중신경 감각섬유의 전도속도가 느려지고 진폭이 감소됨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유용한 객관적 검사 방법이다. 이러한 평가는 임상증상이 분명치 않거나 다른 신경병변이 의심될 때 적용이 되는 방법으로, 따라서 증상이 뚜렷 하고 진행된 수근관증후군의 경우는 일반적인 정중신경 전도검사방법으로도 진단이 가능하지만그 증상이 경미하거나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또는 초기 단계에서는 확진하기가 어렵 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rotzman, Wilk : 근골격계 질환의 진단 및 재활치료, 한미의학, 서울, 2005, pp.34-39. 

  2. 전국의과대학 임상 교수편 : Color Atias 임상의학, 한우리, 서울, 1998, p.512. 

  3. Stanley Hoppenfelf : 척추사지검진ATLAS, 고려의학, 서울, 1989, p.83. 

  4. 주정화, 옥광휘 : 근골격계의 통증 치료, 군사출판사, 서울, 1997, p.166. 

  5. Kim ID, Oh HH, Byun JY, Jang BS. Clinical study on the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2;19(6):61-6. 

  6. 최용태 외: 침구학(상,하) 집문당, 서울, 1991, pp. 575-577, 1048-1049. 

  7. 안영기 : 경혈학총서, 성보사, 서울, 1986, p.33. 

  8. S. Brent Brotzman, Kevin E. Wilk. Clinical Orthopaedic Rehabililtation. Han-mi medical. 2005;34-9. 

  9. Kwon HC, Gong JY. Sitting Posture Associated With Carpal Tunnel Syndrome: A Literature Review. The Journal of the Korean Trained Physical Therapists society. 2002;9(3):113-24. 

  10. Kim IH. Clinical Study on Five Case of Carpal tunnel syndrom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Herbal Acupuncture. 2001;4(3):39-45. 

  11. Kim DS, Jung HK. Wrist Ratio as a Risk Factor of Carpal Tunnel Syndrome.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1;13(3):242-52. 

  12. Ludwig Ombregt, Pierre Bisschop, Herman J.ter Veer. A System of Orthopaedic Medicine. Han-mi medical. 2008;478-82, 550-1, 568-73. 

  13. 대한정형외과학회:정형외과학, 서울 최신의학사, 2005, pp.413-415. 

  14. Jung M, Cha CH, Lee EI. Clinical Study of Conservative Treatment in the Carpal Tunnel Syndrome.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society. 1993;30(3):451-9. 

  15. 대한신경외과학회 : 신경외과학, 서울, 중앙문화사, 2005, pp381,382. 

  16. Jung PS, Lee HK, Kim SY. Median Nerve Block for Treat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The Journal of the Korean Pain society. 1994;7(1):65-8. 

  17. 한방재활의과학회 : 한방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5, p.119. 

  18. OH CJ, Jo BM. Utility of a Self-administered Hand Symptom Diagram for the Diagnosis of Carpal Tunnel Syndrome.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1;13(4):360-8. 

  19. Lee SY, Park KY, Lim JK. Detection of Synovial Hypertrophy in Idiopathic Carpal Tunnel Syndrome Using Ultrasongraphy.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society. 2000;35(3):499-503. 

  20. 이영진: 근골격계 진단 및 치료의 핵심, 서울, 한우리, 1999, p.194. 

  21. Cheon SJ, Roh HR.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and Radiological Measures of Carpal Tunnel to Predict the Ease of Access.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society. 2004;39(6):707-14. 

  22. Kim JS, Shin KS, Lee DH. Endoscopic Release in Carpal Tunnel Syndrome.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society. 1999;43(2):447-52. 

  23. Son HM, Moon YR, Lee JY, Park SY. Comparison of Clinical Results of Minimal Incision Versus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society. 2003;38(3):309-13. 

  24. 정석희 외 : 비증의 분류와 치료를 통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1), 1992, pp.181-190. 

  25. 양유걸 : 黃帝內經素問釋解, 서울, 일중사, 1991, pp. 251-253, 257-260, 287-289. 

  26. 허준 : 동의보감, 서울, 남산당, 1992, pp. 365-389. 

  27. 신동수, 이현 : 수근관 증후군 환자 2예에 대한 증례보고,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5(1), 2006, pp.79-84. 

  28. 김일두 외 : 수근관 증후군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 19(6), 2002, pp.61-66. 

  29. 김일환 : 수근관 증후군 5예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약침학회 4(3), 2001, pp.413-415. 

  30. 임나라 외 : 수근관 증후군에 관한 침도 침술의 유호성에 관한 임상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 25(4), 2008, pp.164-170. 

  31. 김용걸, 오민석 : 수근관 증후군에 관한 고찰(동의보감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7(1), 2008, pp.129-1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