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합곡자(合谷刺)와 봉약침(蜂藥鍼)으로 치료한 수근관 증후군 환자 4례
Effect of Hapgok Needling and Bee Venom Acupuncture Complex Treatment o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원문보기

大韓鍼灸學會誌=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v.27 no.3, 2010년, pp.159 - 166  

최철훈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송호섭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 of Hapgok needling and Bee Venom Acupuncture on a patient with neuralgia caused by Carpal Tunnel Syndrome. Methods : The patient were treated by Hapgok needling and Bee Venom Acupuncture at acupuncture points following diagnosed as Carpal Tunnel Sy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는 있었지만 合谷刺와 蜂藥鍼에 의해 시술된 보존적 치료에 대해서는 보고가 미약한 상태이다. 그래서 영위를 소통시키는 효능을 가진 合谷刺와 消炎, 免疫機能調節, 循環促進, 抗痙攣의 효능이 있으며 神經系의 흥분작용을 통해 신경 障碍를 改善하는 효과도 있는 蜂藥鍼13)을 수근관 증후군에 적용 연구하고자 하였고, 이에 경원대학교 부속길한방 병원 침구과에 내원하여 合谷刺와 蜂藥鍼시술을 적용한 환자 4名을 대상으로 硏究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 이에 著者는 2009년 10월 27일~2010년 1월 10일까지 경원대학교 부속길한방병원 침구과에 수근관 증후군으로 來院한 患者를 대상으로 合谷刺와 蜂藥鍼을 포함한 複合治療患者 4名을 대상으로 硏究하여 의미 있는 結果를 얻었기에 報告하는 바이다.
  • 이 중 peptide component가 freeze-dried venom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抗炎, 消炎鎭痛, 免疫調節, 抗菌, 抗바이러스, 解熱作用과 함께 ACTH 촉진, 血管透過性促進의 작용이 있다13). 특히 수근관 증후군에서 굴곡건들의 부종과 염증 부위에 소염 진통의 효과를 가미함과 동시에 손목 부근에서 정중신경의 흐름과 그 경로가 유사한 심포경을 자극함으로써 통증 부위의 경맥 소통을 활성화 하고자 하였다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근관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수근관 증후군은 수근 관절부에서 정중신경이 압박됨에 따라서 그 지배 영역의 지각 이상과 통증 및 근육 위축을 보이는 질환으로서 1854년 James Paget에 의하여 외상 후 이차적으로 발생한 정중신경 압박이 처음 기술되었다1).
수근관 증후군 증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특징은 수부의 정중신경 분포지역에 저린감, 통증, 감각이상, 무지구근의 약화를 주증상으로 하는 압박 신경병증으로 알려져 있다2).
한의학적으로 수근관 증후군의 원인은 무엇이라고 보는가? 이러한 수근관 증후군은 한의학적으로 痺證으로 보는데, 그 원인은 寒濕淫筋, 風濕襲肌, 不愼跌挫, 血瘀經絡으로 인한 氣血疏通의 장애로 보며3), 이로 인하여 肌肉, 筋骨, 關節이 麻木, 重着, 酸楚, 疼痛, 腫脹, 屈伸不利, 심하면 관절의 강직성 변형을 초래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Omer GE. Median nerve compression at the wrist. Hand Clin. 1992 ; 8 : 317-24. 

  2. Phalen GS. The carpal tunnel syndrome. Seven years experience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six hundred fifty-four hands. Bone Joint Surg. 1966 ; 48-A : 211-28, 

  3. 孫國杰. 침구학. 인민위생출판사. 2004 ; 983-5. 

  4.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 서울 : 군자출판사. 2003 : 83, 119. 

  5. 한방전공의협의회 학술국. 한방병원 인턴 진료지침서. 2010 ; 245 

  6. 김일환. 수근관 증후군 5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약침학회지. 2001 ; 4(3) : 39-45. 

  7. 최석우 외 2인. 蜂藥鍼과 홍화약침으로 치료한 레이노 현상을 동반한 수근관 증후군 환자 1례. 대한약침학회지. 2009 ; 12(1) : 103-8. 

  8. 김일두 외 5인. 수근관 증후군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6) : 61-6. 

  9. 배형섭 외 10인. 수근관 증후군 환자에 대한 한방과 양방의 치료효과 비교. 대한한의학회지. 2007 ; 28(1) : 87-93. 

  10. 최석우 외 7인. 홍화약침을 이용한 수근관 증후군 치료. 대한약침학회지. 2005 ; 8(2) : 39-45. 

  11. 왕빙 주. 황제내경 소문 영추. 대만중화서국. 1972 

  12. 홍원식 역. 황제내경영추해석. 서울 고문사. 1990 

  13. 고형균, 권기록, 인창식. 蜂毒藥鍼療法. 서울 :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3 : 1-16. 

  14. 허수영. 요통환자의 동통평가에 대한 고찰. 동서의학. 1999 ; 24(3) : 17-29 

  15. 채우석, 김양식. 요척추증으로 인한 요통의 전침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989 ;6-1 : 113-28. 

  16.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제6판 1권. 서울 ; 최신의학사. 1995 : 59-61. 

  17. 미국정형외과학회. Essenitial of Musculoskeletal care. 한우리. 2006 ; 192-7. 

  18. 박병문 외. Carpal tunnel syndrome의 고찰.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983 ; 18(4) : 720-4. 

  19. Palmer DH, Hanrahan LP. Social and economic costs of carpal tunnel surgery. Instr Course Lect. 1995 ; 44 : 167-72. 

  20. Amadio PC. The Mayo clinic and carpal tunnel syndrome. Mayo Clin Proc. 1992 ; 67 : 42-8. 

  21. 한수봉 외. 수근관 증후군에서 Agee 술식을 이용한 내시경적 감압술. 대한수부외과학회지. 2000 ; 5(1) : 54-6. 

  22. 김유진, 윤준오. 수근관 터널 증후군의 세 가지 수술 방법 비교. 대한수부외과학회지. 1999 ; 4(2) : 163-8. 

  23.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침구학 (중). 집문당. 2008 ; 233-48. 

  24. 양상선 저. 황제내경태소. 서울 : 대성문화사. 1986. 

  25. 김진규 외. 영추관침편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8 ; 15(1) : 163-7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