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산지별 대두와 이를 이용한 두부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s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and the Accompanying Soybean Curd Proper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4, 2010년, pp.441 - 449  

서유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민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슬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인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경쟁력을 갖춘 대두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가공제품의 차별성을 살펴보기 위해 경기도 파주, 경상북도 안동, 전라북도 무주, 경상남도 하동에서 재배되어 2009년 6월 15일에 파종한 대원콩, 대풍콩, 선유콩, 청자 2호와 이들로 만든 두부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성분에서는 대두의 산지별 특성이 두부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두의 isoflavone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안동지역의 함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고, 하동지역은 낮았다. 두부의 isoflavone 함량에서도 이와 같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대두의 지방산 조성은 하동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oleic acid의 조성이 높았으며,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의 조성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는 두부의 지방산 조성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산지별로 재배된 대두의 이화학적 특성이 산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이로 만든 두부에서도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콩에서 두부로 제조될 때 산지별 대두의 특성이 최종 가공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콩 가공제품을 제조할 때 산지별로 재배된 원료 콩의 이화학적 특성 차이를 고려한다면 보다 용도별 적합성이 뛰어나고 우수한 콩 가공제품의 제조와 가공적성평가 항목의 설정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s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and the accompanying soybean curd properties. To produce soybeans with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demonstrate the distinctiveness of the soybean product, four regions(Paj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두부와 같이 여러 가공과정을 거치는 제품에서 원료콩의 지역적 특성 및 재배환경요인에 따른 다양한 성분의 함량과 조성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지역 경쟁력을 갖춘 대두를 선별하고 이를 이용한 가공제품의 특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산지별로 재배된 콩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콩 가공식품 두부로 이행되는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경쟁력을 갖춘 대두의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가공제품의 차별성을 살펴보기 위해 경기도 파주, 경상북도 안동, 전라북도 무주, 경상남도 하동에서 재배되어 2009년 6월 15일에 파종한 대원콩, 대풍콩, 선유콩, 청자 2호와 이들로 만든 두부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성분에서는 대두의 산지별 특성이 두부의 일반성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두는 오랜 옛날부터 어디에서 재배되었는가? ).Merr)는 오랜 옛날부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에서 널리 재배되었고 식물성 단백질과 지방의 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쌀, 보리, 조, 기장과 함께 주요한 작물 중 하나로 일상생활에서 다량 소비되고 있으며, 콩을 이용한 된장, 간장, 청국장, 두부, 비지, 콩나물, 콩기름 등으로 제조되어 왔다.
두부란 어떤 식품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쌀, 보리, 조, 기장과 함께 주요한 작물 중 하나로 일상생활에서 다량 소비되고 있으며, 콩을 이용한 된장, 간장, 청국장, 두부, 비지, 콩나물, 콩기름 등으로 제조되어 왔다. 특히, 두부는 콩 단백질을 식용으로 하는 대표적인 비발효 콩 가공식품으로 영양분이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현대 소비자들의 식생활 패턴인 편의와 건강, 고급 맛 지향이라는 관점과 맞물려 식품 소재로서 재 각광을 받고 있다(Lee BY 등 1990, Kim CJ 1998).
국내의 콩 자급도는 얼마인가? 이 중 식량으로 연간 99천 톤과 가공을 포함한 식용으로 연간 296천 톤이 소비되었다. 즉, 국내 콩 시장에서 콩 자급도는 7.1%이고, 식량 자급도는 28.2% 수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기상청. 2009. 자동기상관측연보. 기상청. 한국. 6-10월. p 7 

  2. 농림수산식품부. 2009. 농림수산식품통계연보. Dongyang p&c. Korea. p 102, 209 

  3. AOAC. 1990.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4. Cherry JH, Bishop L, Hasegawa PM, Leffler HR. 1985. Difference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oybean seed produced in northern and southern areas of the U.S.A. Phytochemistry. 24(2):237-241 

  5. Christie WW. 1982. Lipid analysis (2nd edn.). Pergamon press, Oxford. p 22-23 

  6. Cho YS, Song J, Koo BC, Seo JH, Kim SD, Choi IS, Shin JC, Yang WH, Ha TJ. 2007. Effects of color differentiation and seed size of soybean on isoflavone concentration in soybean. Korean J. Crop Sci. 52(4): 359-362 

  7. Han WY, Park KY, Kim HT, Ko JM, Baek IY, Lee CY, Choung MG. 2008. Variations in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qualities of korean soybean landraces. Korean J. Crop Sci. 53(S):96-102 

  8. Harue T, Hirokadzu T. 1971. Influence of loc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seeds.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Koto-ku, Tokyo. 213-225 

  9. Ha TJ, Lee JH, Shin SO, Shin SH, Han SI, Kim HT, Ko JM, Lee MH, Park KY. 2009. Changes in anthocyanin and isoflavone concentrations in black seed-coated soybean at different planting locations. J. Crop Sci. Biotech. 12(2):79-86 

  10. Jackson CJC, Dini JP, Lavandier C, Rupasinghe HPV, Faulkner H, Poysa V, Buzzell D, DeGrandis S. 2002. Effects of processing o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isoflavones during manufacturing of soy beverage and tofu. Process biochemistry. 37:1117-1123 

  11. Kim CJ. 1998. 두부의 가공과 이용.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8(4):508-533 

  12. Kim CJ. 2009. 콩과 두부의 품질요인. Available from: http://www.thinkfood.co.kr/main/php/search_view.php?idx34490. Accessed June 1, 2010 

  13. Kim SL, Lee YH, Chi HY, Lee SJ, Kim SJ. 2007. Diversity in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oybean seed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Crop Sci. 52(3):348-357 

  14. Kim YH. 2002. Current achievement and perspectives of seed quality evaluation in soybean. Korean J. Crop Sci. 47(S):95-106 

  15. Kumar V, Rani A, Solanki S, Hussain SM. 2006. Influence of growing environment on the bio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seed. J. Food Compos. Anal. 19:188-195 

  16. Lee BY, Kim DM, Kim KH. 1990. Studies on the processing aptitude of the korean soybean cultivars for soybean curd. Korean J. Food Sci. Technol. 22(3):363-368 

  17. Lee SJ, Ahn JK, Kim SH, Kim JT, Han SJ, Jung MY, Chung IM. 2003. Variation in isoflavone of soybean cultivars with location and storage duration. J. Agric. Food Chem. 51(11): 3382-3389 

  18. Lee SJ, Yanb W, Ahna JK, Chung IM. 2003. Effects of year, site, genotype and their interactions on various soybean isoflavones. a field crops research. 81(2-3):181-192 

  19. Maestri DM, Labuckas DO, Meriles JM, Lamarque AL, Zygadlo JA, Guzman CA. 1998. Seed composition of soybean cultivars evaluated in different environmental regions. J. Sci. Food Agric. 77:494-498 

  20. Tsukamoto C, Shimada S, Igita K, Kudou S, Kokubun M, Okubo K, Kitamura K. 1995. Factors affecting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seeds: changes in isoflavones, saponins, and composition of fatty acids at different Temperatures during Seed Development. J. Agric. Food Chem. 43:1184-1192 

  21. Wang HJ, Murphy PA. 1994. Isoflavone composition of american and japanese soybeans in iowa: effects of variety, crop year, and location. J. Agric. Food Chem. 42(8):1674-1677 

  22. Wang HJ, Murphy PA. 1996. Mass balance study of isoflavones during soybean processing. J. Agric. Food Chem. 44:2377-2383 

  23. Wolf RB, Cavins JF, Kleiman R, Black LT. 1982. Effect of temperature on soybean seed constituents: oil, protein, moisture, fatty acids, amino acids. J. Am. Oil Chem. Soc. 59(5): 230-232 

  24. Yang MH, Burton JW. 1997. Climatic influence on seed protein content in soybean(Glycine max). Korean J. Crop Sci. 42(5): 539-547 

  25. Yi ES, Yi YS, Yoon ST, Lee HG. 2009. Variation in antioxidant components of black soybean as affected by variety and cultivation region. Korean J. Crop Sci. 54(1):80-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