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량 및 열량영양소 섭취량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에 대한 전장유전체 연관성 분석연구
Genetic Variants Associated with Calorie and Macronutrient Intake in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3 no.4, 2010년, pp.357 - 366  

백인경 (국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안윤진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 ,  이승구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인간유전체연구소) ,  김소리울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인간유전체연구소) ,  한복기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 ,  신철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인간유전체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s been no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for macronutrient intake as a quantitative trait. To explore genetic loci associated with total calorie and macronutrient intake, genome-wide association data of autosomal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from Korean adults were analyz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3. The panel shows pvalues for the association testing of genome-wide association data with natural log transformed calorie-adjusted carbohydrate intake. The association was drawn from linear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sex, age, and height on the basis of additive model.
  • 동양인을 연구대상으로 열량 및 열량영양소 섭취와 관련된 유전체 정보를 발굴한 연구가 아직 보고된 바 없고 또한 관련 GWAS에 대한 국내외 보고가 전무한 가운데 본 연구는 한국인을 연구대상으로 포함한 GWAS를 통해 열량영양소 섭취량과 관련된 유전체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앞선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영양섭취와 유전체 정보간의 관련성이 미약하였고 타 인종에서 나타난 결과와 상이한 유전체 위치가 관련 가능성을 보였다.
  • 0001)을 통과하며, 소수 대립유전자의 빈도 (minor allele frequency, MAF)가 1%를 넘는 SNPs 만이 본 연구의 분석에서 사용되었다. 따라서 총 352,021 SNPs 정보가 열량 및 열량영양소 섭취량과의 관련성을 보기 위한 GWAS 분석에 포함되었다. GWAS 분석에서 유전자 정보는 미국립보건원의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에서 제공하는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버전: Build 36.
  • 본 연구는 한국인 대상의 전장유전체 자료를 이용하여 열량 섭취량 및 열량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섭취량의 표현형과 관련된 유전형질을 유전자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analysis)을 통하여 발굴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들은 검증된 유전자형 자료를 갖는 코호트 연구 참여자 4,637명 가운데 80% (3,690명)로, 기초조사 시 연령이 60세 이하이고, 심혈관계질환, 암 및 종양, 당뇨병, 만성신장질환, 고지혈증 등의 의사 진단에 대해 진단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던 자들이며 총 열량 섭취량을 적절하게 보고한 것 (코호트 연구 참여자들 가운데 총 열량 섭취량의 표준편차가 ± 6배를 보고한 사람들은 부적절한 섭취량을 보고한 것으로 봄)으로 간주된 자들이었다. 연구 대상자 선정에서 연령을 제한하고, 만성질환의 진단 및 부적절한 열량 섭취량을 보고했던 자들을 제외했던 이유는 열량 영양소의 섭취 상태가 질병으로 인해 바뀌었거나 혹은 전반적인 영양 섭취량이 부정확하게 보고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였다. 앞선 연구에서 노인 혹은 평균 연령이 60세 가량인 폐경 후 여성들은 열량 섭취량을 부정확하게 보고한다고 지적된 바 있다.

가설 설정

  • 6 × 10-6의 p값을 나타냈다. 열성 모델의 가정 하에서는 chromosome 14q32.12의 solute carrier family 24, member 4 (SLC24A4) 유전자에 위치한 2종의 SNPs이 단백질 섭취량과 관련 가능성을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정량 식품섭취 빈도조사지의 구성은? 본 연구에서는 기초조사 시 반정량 식품섭취 빈도조사지(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를 이용하여 평소의 영양섭취 상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FFQ에 포함된 103종의 식품에 대해 지난 해 동안 섭취했던 평균 섭취횟수 (9종의 범주: 거의 안먹음, 월 1회, 월 2~3회, 주 1~2회, 주 3~4회, 주 5~6회, 하루 1회, 하루 2회, 하루 3회 이상) 및 1회 섭취분량 (3종의 범주)에 대해 답하도록 하였고 이때 연구 조사원들이 제시한 섭취분량에 대한 사진을 참고하였다. FFQ로부터의 식품섭취 상태 및 농촌진흥청 발행의 식품성분분석표9)의 정보를 기초로 하루 평균 총 열량 섭취량 (kcal/day) 및 열량영양소인 탄수화물 (g/day), 지방 (g/day), 단백질 (g/day) 섭취량이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섭취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양 섭취량은 각 사람의 영양적 필요 및 대사적 조절상태, 이와 관련된 유전적 특성과 같은 내적 요인과 외적 환경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1) Saltzman 등의 연구2)에 의하면, 7쌍의 일란성 쌍둥이들에게 동일 열량의 고지방 식사와 저지방 고탄수화물 식사를 제공하여 어떤 영양소가 주된 열량 급원 식사일 때 섭취량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섭취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열량영양소의 구성비가 아니라 쌍둥이의 효과, 즉 유전적 성향임을 알아냈다. 즉 고지방 식사로 인해 열량 섭취량이 증가되는 유전적 특성과 고탄수화물 식사로 인해 열량 섭취량이 증가되는 유전적 특성이 있다는 것이다.
영양 섭취량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나? 영양 섭취량은 각 사람의 영양적 필요 및 대사적 조절상태, 이와 관련된 유전적 특성과 같은 내적 요인과 외적 환경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1) Saltzman 등의 연구2)에 의하면, 7쌍의 일란성 쌍둥이들에게 동일 열량의 고지방 식사와 저지방 고탄수화물 식사를 제공하여 어떤 영양소가 주된 열량 급원 식사일 때 섭취량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섭취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열량영양소의 구성비가 아니라 쌍둥이의 효과, 즉 유전적 성향임을 알아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Go VL, Nguyen CT, Harris DM, Lee WN. Nutrient-gene interaction: metabolic genotype-phenotype relationship. J Nutr 2005;135(12 Suppl) : 3016S-3020S 

  2. Saltzman E, Dallal GE, Roberts SB. Effect of high-fat and lowfat diets on voluntary energy intake and substrate oxidation: studies in identical twins consuming diets matched for energy density, fiber, and palatability. Am J Clin Nutr 1997; 66(6) : 1332-1339 

  3. Collaku A, Rankinen T, Rice T, Leon AS, Rao DC, Skinner JS, Wilmore JH, Bouchard C. A genome-wide linkage scan for dietary energy and nutrient intakes: the Health, Risk Factors, Exercise Training, and Genetics (HERITAGE) Family Study. Am J Clin Nutr 2004; 79(5) : 881-886 

  4. Cai G, Cole SA, Bastarrachea RA, Maccluer JW, Blangero J, Comuzzie AG. Quantitative trait locus determining dietary macronutrient intakes is located on human chromosome 2p22. Am J Clin Nutr 2004; 80(5) : 1410-1414 

  5. Choquette AC, Lemieux S, Tremblay A, Chagnon YC, Bouchard C, Vohl MC, Perusse L. Evidence of a quantitative trait locus for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s on chromosome 3q27.3: the Quebec Family Study. Am J Clin Nutr 2008; 88(4) : 1142-1148 

  6. Frazer KA, Murray SS, Schork NJ, Topol EJ. Human genetic variation and its contribution to complex traits. Nat Rev Genet 2009; 10(4) : 241-251 

  7. Baik I, Shin C. Prospective study of alcohol consumption and metabolic syndrome. Am J Clin Nutr 2008; 87(5) : 1455-1463 

  8. Shahar DR, Yu B, Houston DK, Kritchevsky SB, Newman AB, Sellmeyer DE, Tylavsky FA, Lee JS, Harris TB. Health, Aging, and Body Composition Study. Misreporting of energy intake in the elderly using doubly labeled water to measure total energy expenditure and weight change. J Am Coll Nutr 2010; 29(1) : 14-24 

  9.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Food composition table 5th ed. Suwo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f Korea; 1996 

  10. Ahn Y, Lee JE, Cho NH, Shin C, Park C, Oh BS, Kim K. Validation and Calibration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ith Participants of the Korean Health and Genome Study.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2) : 173-182 

  11. Ahn Y, Kwon E, Shim JE, Park MK, Joo Y, Kimm K, Park C, Kim DH. Validation and reproducibility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genome epidemiologic study. Eur J Clin Nutr 2007; 61(12) : 1435-1441 

  12. Cho YS, Go MJ, Kim YJ, Heo JY, Oh JH, Ban HJ, Yoon D, Lee MH, Kim DJ, Park M, Cha SH, Kim JW, Han BG, Min H, Ahn Y, Park MS, Han HR, Jang HY, Cho EY, Lee JE, Cho NH, Shin C, Park T, Park JW, Lee JK, Cardon L, Clarke G, McCarthy MI, Lee JY, Lee JK, Oh B, Kim HL. A large-scale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Asian populations uncovers genetic factors influencing eight quantitative traits. Nat Genet 2009; 41(5) : 527- 534 

  13. Lee JH, Reed DR, Li WD, Xu W, Joo EJ, Kilker RL, Nanthakumar E, North M, Sakul H, Bell C, Price RA. Genome scan for human obesity and linkage to markers in 20q13. Am J Hum Genet 1999; 64(1) : 196-209 

  14. Klupa T, Malecki MT, Pezzolesi M, Ji L, Curtis S, Langefeld CD, Rich SS, Warram JH, Krolewski AS. Further evidence for a susceptibility locus for type 2 diabetes on chromosome 20q13.1- q13.2. Diabetes 2000; 49(12) : 2212-2216 

  15. Luo TH, Zhao Y, Li G, Yuan WT, Zhao JJ, Chen JL, Huang W, Luo M. A genome-wide search for type II diabetes susceptibility genes in Chinese Hans. Diabetologia 2001; 44(4) : 501-506 

  16. Hager J, Dina C, Francke S, Dubois S, Houari M, Vatin V, Vaillant E, Lorentz N, Basdevant A, Clement K, Guy-Grand B, Froguel P. A genome- wide scan for human obesity genes reveals a major susceptibility locus on chromosome 10. Nat Genet 1998; 20(3) : 304-308 

  17. Imperatore G, Knowler WC, Pettitt DJ, Kobes S, Fuller JH, Bennett PH, Hanson RL. A locus influencing total serum cholesterol on chromosome 19p: results from an autosomal genomic scan of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Pima Indians.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0; 20(12) : 2651-2656 

  18. Rotimi CN, Comuzzie AG, Lowe WL, Luke A, Blangero J, Cooper RS. The quantitative trait locus on chromosome 2 for serum leptin levels is confirmed in African-Americans. Diabetes 1999; 48(3) : 643-644 

  19. Loos RJ, Katzmarzyk PT, Rao DC, Rice T, Leon AS, Skinner JS, Wilmore JH, Rankinen T, Bouchard C; HERITAGE Family Study. Genome- wide linkage scan for the metabolic syndrome in the HERITAGE Family Study. J Clin Endocrinol Metab 2003; 88 (12) : 5935-5943 

  20. Luke A, Wu X, Zhu X, Kan D, Su Y, Cooper R. Linkage for BMI at 3q27 region confirmed in an African-American population. Diabetes 2003; 52(5) : 1284-1287 

  21. Lin WH, Huang CJ, Liu MW, Chang HM, Chen YJ, Tai TY, Chuang LM. Cloning, mapp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human sorbin and SH3 domain containing 1 (SORBS1) gene: a protein associated with c-Abl during insulin signaling in the hepatoma cell line Hep3B. Genomics 2001; 74(1) : 12-20 

  22. Lin WH, Chiu KC, Chang HM, Lee KC, Tai TY, Chuang LM. Molecular scanning of the human sorbin and SH3-domain-containing- 1 (SORBS1) gene: positive association of the T228A polymorphism with obesity and type 2 diabetes. Hum Mol Genet 2001; 10(17) : 1753-1760 

  23. Idris I, Gray S, Donnelly R. Protein kinase C activation: isozymespecific effects on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in diabetes. Diabetologia 2001; 44(6) : 659-6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