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비꽃(Viola mandshurica)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9-hydroxy-$\\alpha$-tocopherone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보호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9-hydroxy-$\\alpha$-tocopherone from Viola mandshurica Extract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1 no.3 = no.162, 2010년, pp.166 - 173  

이미라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황지환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  박재희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정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해룡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xidative stress to proteins, lipids, or DNA is higher in human autopsy tissue and in rodent models of a number of neurodegenerative conditions, including Alzheimer's and Parkinson's disease. On the basis of this information, we established a screening system using N18-RE-105 cells to identify the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제비꽃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물질 αTP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인구고령화와 더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제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가 인체 내에서 제거되지 못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3,4) 인체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등 항산화 효소와 glutathione (GSH), uric acid 등의 여러 가지 비효소적 항산화 물질들에 의해 활성산소의 축척이나 해로운 산화작용을 막음으로 인해 활성산소 생성과 항산화 효소에 의한 제거작용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활성산소들은 불안정하고 산화력이 높아 여러 생체 물질과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인체 내에서 제거되지 못하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며 동맥경화 및 당뇨병 등 각종 질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생체 대사과정에서 세포막 지질을 과산화시키고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를 초래하여 DNA 손상을 유발시킨다.5-8) 특히, 다른 장기에 비해서 뇌는 대사를 위한 산소 이용률이 높고 과산화지질의 함량도 높은 반면에 활성산소에 대한 산화방지 효소계나 저분자의 산화방지제가 타 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관계로 유해 활성산소나 라디칼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대하여 매우 약하기 때문에 쉽게 신경세포 사멸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9-11)
제비꽃의 주요성분과 약리작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꽃은 보통 4~5월에 농자색으로 피며 과실은 원추형으로 성숙하면 3열로 갈라지며 다갈색의 종자가 튀겨서 나간다. 주요성분은 지상부에 flavone 배당체18)로 orientin, isoorient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리작용으로는 적리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피부진균, 결핵간균의 성장 억제 및 소염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제비꽃에 관한 생리·약리학적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불과하며, 특히 신경세포 보호효과와 관련된 연구는 수행된 바가 없다.
인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2) 이러한 활성산소를 조절할 수 있는 항산화제의 개발과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3,4) 인체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등 항산화 효소와 glutathione (GSH), uric acid 등의 여러 가지 비효소적 항산화 물질들에 의해 활성산소의 축척이나 해로운 산화작용을 막음으로 인해 활성산소 생성과 항산화 효소에 의한 제거작용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활성산소들은 불안정하고 산화력이 높아 여러 생체 물질과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인체 내에서 제거되지 못하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며 동맥경화 및 당뇨병 등 각종 질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생체 대사과정에서 세포막 지질을 과산화시키고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를 초래하여 DNA 손상을 유발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i, H. Y., Kim, K. H., Kong, W. S., Kim, S. L., Kim, J. A., Chung, I. M. and Kim, J. T.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ompound of P. eryngii spp. extracts. Korean J. Crop Sci. 50: 216-219. 

  2. Lee, S. O., Lee, H. J., Yu, M. H., Im, H. G. and Lee, I. 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3. Cho, S. H., Choi, Y. J., Rho, C. W., Choi, C. Y., Kim, D. S. and Cho, S. H. (2008)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ytotoxicity of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sap. Korean J. Food Preserv. 15: 105-110. 

  4. Kwon, G. J., Choi, D. S. and Wang, M. H. (2007)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uonymus alatus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69-574. 

  5. Fridorich, I. (1978) The biological activit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 875-881. 

  6. Imalay, I. A. and Limm, S. (1989) DNA damage and oxygen radical toxicity. Science 240: 1302-1309. 

  7. Ames, B. N., Shigenaga, M. K. and Hagen, T. 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 of aging. P.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8. Mccord, J. M. (1987) Oxygen derived radicals: A link between repercussion injury and inflammation. Fed. Proc. 46: 2402-2406. 

  9. Omodeo, S. F., Gramigna, D. and Campaniello, R. (1997)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systems in rat brain: effect of chronic alcohol consumption. Neurochem. Res. 22: 557-582. 

  10. Good, P. F., Werner, P., Hsu, A., Olanow, C. W. and Perl, D. P. (1996) Evidence for neuronal oxidative damage in Alzheimer's disease. Am. J. Pathol. 149: 21-28. 

  11. Bae, M. K., Choi, S., Ko, M. J., Ha, H. J. and Kim, H. J. (2005) Effect of OQ21 and melatonin on lipopolysaccharide 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 brain. Yakhak Hoeji 49: 347-354. 

  12. Eriksson, C. J. and Na, A. (1996) Antioxidant agents in raw materials and processed foods. Biochem. Soc. Symp. 61: 221-234. 

  13. Silveria, E. R. and Moreno, F. S. (1998) Natural reinoids nad $\beta$ -carotene: From foods to their actions on gene expression. J. Nutr. Biochem. 9: 446-456. 

  14. Pitchumoni, S. S. and Doraiswamy, P. M. (1998) Current status of antioxidant therapy for Alzheimer's disease. J. Am. Geriatr. Soc. 46: 1566-1572. 

  15. Vatassery, G. T. (1998) Vitamin E and other endogeneous antioxidant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Geriatrics 53: S25-S27. 

  16. Lee, M. R., Han, C. S., Han, D. Y., Park, E. J., Lee, S. C. and Park, H. R. (2008) Protective effect of neuronal cell on glutamate-induced oxidative stress from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79-83. 

  17. Yoon, M. Y., Kim, J. Y., Hwang, J. H., Cha, M. R., Lee, M. R., Jo, K. J. and Park, R. H. (2007) Protectiv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s from Dendrobium nobile Lindl. on $H_2O_2$ - induced neurotoxicity in PC12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63-67. 

  18. Yook, C. S., Lee, W. T. and Moon, C. K. (1989) Studies on flavonoid glycoside of the leaves of Viola diamantica. Yakhak Hoeji 33: 124-128. 

  19. Urckheimer, W. and Cohen, L. (1964) The Chemistry of 9-hydroxy-a-tocopherone, a quinine hemiacetal. J. Am. Chem. Soc. 86: 4388-4393. 

  20. Marcus, M. F. and Hawley, M. D. (1970) Electrochemical studies of the redox behavior of a-tocopherol. Biochim. Biophys. Acta. 201: 1-8. 

  21. An, D. H., Cho, S. J., Jung, E. S., Lee, H. J., Hwang, J. H., Park, E. J., Park, H. R. and Lee, S. C. (2006)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Ceramium kondo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04-1308. 

  22. Mensor, L. L., Menezes, F. S., Leitao, G. G., Reis, A. S., Santos, T. C., Coube, C. S. and Leitao, S. G. (2001) Screening of brazilian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by the use of DPPH free radical method. Phytother. Res. 15: 127-130. 

  23. Rice-Evans, C. A. and Miller, N. J. (1994) 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NewYork 279-293. 

  24. Kim, A. R., Lee, J. J. and Lee, M. Y. (2009) Antioxidative Effect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Ethanol Extract. J. Life Sci. 19: 117-122. 

  25. Bondet, V., Williams, W. B. and Berset, C. (1997) Kinetic and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ebensmittel Wissenschaft Un Technologie. 30: 609-615. 

  26. Arts, M. J. T. J., Dalliga, J. S., Voss, H.-P., Haenen, G. R. M. M. and Bast, A. (2004) A new approach to assess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using the TEAC assay. Food Chem. 88: 567-570. 

  27. Laporta, O., Pe'rez-Fons, L., Mallavia, R., Caturla, N. and Micol, V. (2007)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capacity assessment of the bioactive compounds derived from Hypoxis rooperi corm extract (African potato). Food Chem. 101: 1425-1437. 

  28. Rice-Evans, C. A., Miller, N. J. and Paganga, G. (1996) Structure-antioxidant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al Biology Med. 20: 933-956. 

  29. Berg van den, R., Haenen, G. R. M. M., Berg van den, H., Vijgh van der, W. and Bast, A. (2000) The predictive value of the antioxidant capacity of structurally related flavonoids using the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od Chem. 70: 391-395. 

  30. Jeon, H. J., Park, S. W., Lee, I. and Mun, B. S. (2004) Effects of Gwibitang on glutamate-induced death in rat neonatal astrocytes. J. Korean Oriental Med. 25: 184-193. 

  31. Nikolova, S. Y., Lee, Y. S., Lee, Y. S. and Kim, J. A. (2005) Racl-NADPH oxidase-regulate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mediates glutamate-induced apoptosis in SHSY5Y human neuroblastoma cells. Free Radical Res. 39: 1295-1304. 

  32. Yoon, M. Y., Lee, B. B., Kim, J. Y., Kim, Y. S., Park, E. J., Lee, S. C., Park, E. J., Lee, S. C. and Park, H. R.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Psoralea corylifolia Linne extracts. Kor. J. Pharmacogn. 38: 84-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