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비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Amylase와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4, 2008년, pp.405 - 409  

이보배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박순례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한창석 (대한당한약방 한약연구실) ,  한동열 (대한당한약방 한약연구실)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해룡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이승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민간요법에서 화농성 피부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제비꽃(Viola mandshurica)의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제비꽃 10 g에 200 mL의 네 가지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를 각각 가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이용매별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이 34.49 mg/g 갈산 당량으로 가장 높았고, DPPH 라디칼ABTS 라디칼 소거능은 아세톤 추출물이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21.13%와 43.53%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환원력의 경우에는 물 추출물이 $1,000{\mu}g/mL$ 농도에서 0.454의 값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당뇨 활성은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으로 측정하였는데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으며 $1,000{\mu}g$/mL 농도에서 모든 효소 활성들을 저해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비꽃 추출물은 항산화능과, 당뇨 관련 효소에 대한 저해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Viola mandshurica.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phenolic contents, reducing pow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azino-di-2-ethyl-benzthiazoline sulphonate (AB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비꽃의 다양한 용매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탐색하여 기능성식품 소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비꽃은 무엇인가? 제비꽃(Viola mandshurica)은 제비꽃과(Violaceae)의 다년생 식물로서 우리나라 전역의 양지바르고 습기가 있는 지역에 무리를 이루어 자라는 식물이다(9). 제비꽃의 성분으로는 배당체류, 플라본류, 세로틴류, 알코올류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 한방에서는 일반적으로 화농성피부질환에 대한 상용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각종 염증성 질환에 외용제 또는 내복약으로도 사용되었다.
제비꽃의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제비꽃(Viola mandshurica)은 제비꽃과(Violaceae)의 다년생 식물로서 우리나라 전역의 양지바르고 습기가 있는 지역에 무리를 이루어 자라는 식물이다(9). 제비꽃의 성분으로는 배당체류, 플라본류, 세로틴류, 알코올류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 한방에서는 일반적으로 화농성피부질환에 대한 상용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각종 염증성 질환에 외용제 또는 내복약으로도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자화지정초’라 하여각종 종기, 급성결막염, 해충에 물렸을 때 또는 전염성 간염초기에 사용되었다(10).
민간요법에서 화농성 피부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제비꽃(Viola mandshurica)의 항산화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조사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민간요법에서 화농성 피부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에 대해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제비꽃(Viola mandshurica)의 항산화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제비꽃 10 g에 200 mL의 네 가지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를 각각 가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이 용매별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이 34.49 mg/g 갈산 당량으로 가장 높았고,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소거능은 아세톤 추출물이 1,000 μg/mL 농도에서 각각 21.13%와 43.53%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환원력의 경우에는 물 추출물이 1,000 μg/mL 농도에서 0.454의 값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당뇨 활성은 α-amylase와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으로 측정하였는데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으며 1,000 μg/mL 농도에서 모든 효소 활성들을 저해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비꽃 추출물은 항산화능과, 당뇨 관련 효소에 대한 저해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D,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2. Yim MH, Hong TG, Lee JH. 2006.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extracts of pine needles (Pinus densiflora). Food Sci Biotechnol 15: 582-588 

  3. Kim YG. 2004. Antioxidants. Yeomunkak, Seoul. p 153-176 

  4. Kim OK. 2005.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rni fruct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Oil Chemists Soc 22: 157-167 

  5. Takamatsu S, Hodges TW, Rajbhandari I, Gerwick WH, Hamann MT, Nagle DG. 2003. Marine natural products as novel antioxidant prototypes. J Nat Prod 66: 605-608 

  6. Lim CS, Li CY, Kim YM, Lee WY, Rhee HI. 2005.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extract against αamyl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03-108 

  7. Kwon GJ, Choi DS, Wang MH. 2007.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uonymus alatus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69-574 

  8. Lee WY, Ahn JK, Park Y, Park SY, Kim YM, Rhee HI. 2004. Inhibitory effects of proanthocyanidin extracted from Distylium racemosum on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activities. Kor J Phamacogn 35: 271-275 

  9. Park HM. 2006. Method of extraction anticancer activity substance from violet. Korean Patent 10-061208-7-00 

  10. Chung CJ. 1989. Viola mandshurica W. Becker. Bull Korean Plant Conserv Soc 14: 100 

  11.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2. Jeong SM, Kim SY, Park HR, Lee SC. 2004.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on th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0-1583 

  13.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ap J Nutr 44: 307-315 

  14. Muller HE. 1995.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ed by microorganism on ABTS-peroxidase medium. Zentralbl Bakteriol Mikrobio Hyg 259: 151-158 

  15. SAS. 1995.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NC, USA 

  16.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17. Ahn SI, Heuing BJ, Son JY.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some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9-24 

  18.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0-1315 

  19. Caldwell CR. 2001.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f the phenolic compounds in plant extracts fractionat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 Biochem 293: 232-238 

  20. Arnous A, Makris DP, Kefalas P. 2001. Effect of principal polyphenolic components in rel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stic of aged red wines. J Agric Food Chem 49: 5736-5742 

  21.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 Biol Med 20: 933-956 

  22. Ahn DK. 2004. Pharmaceutical activity of Viola mandshurica W. Becker. Bull Korean Plant Conserv Soc 59: 20-21 

  23. Kim JH, Kim JK, Kang WW, Ha YS, Choi SW, Moon KD. 2003. Chemical composition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in different sections of saffl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33-738 

  24. Shon MY, Kim SH, Nam SH, Cho YS, Park SK, Sung NJ.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Korean fermented tea. Korean J Food Preserv 11: 544-549 

  25. Meller NJ, Rice-Evans C, Davies MJ, Gopinathan V, Milner A. 1993.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application to monitoring the antioxidant status in premature neonates. Clin Sci 84: 407-412 

  26. Diplock AT. 1997. Will the good fairies please prove to us that vitamin E lessens human degenerative disease? Free Radic Res 27: 511-532 

  27. Kim JH, Kim MU, Cho YJ. 200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inhibitory compound from Crataegi fructus on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204-209 

  28. Gua J, Jin YS, Han W, Shim TH, Sa JH, Wang MH. 2006.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tioxidative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from Equisetum arven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77-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