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부산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불볼락 (Sebastes thompsoni) (쏨벵이목: 양볼락과)의 생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a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Scorpaeniformes: Scorpaenidae) in the Coastal Waters of Busan, Korea원문보기
부산 주변해역에서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채집된 불볼락 421 개체의 생식생태를 조사하였다. 불볼락의 체장범위는 13.8~31.8cm SL이었다. 불볼락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3월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 6월까지 감소하였다. 수컷의 경우 생식소중량지수는 2월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 감소하였다. 산란시기는 1~6월로 추정되었다. 불볼락의 암수간 성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x^2$-test, p>0.05). 불볼락 암컷의 최소성숙체장은 16.8cm였고 50% 성숙체장은 20.11 cm로 추정되었다. 모든 암컷은 25cm 이상의 성숙하였고 난경은 0.6~1.75mm의 범위를 보였다 포란수는 23,881~44,509개의 범위였고 평균 30,9377개 였다. 체장과 포란수의 관계식은 F=9.3762 SL$^{1.1662}$($R^2$=0.8120), 체중과 포란수의 관계식은 F=184.37 Ln(BW)-665.09($R^2$=0.8713)로 추정되었다.
부산 주변해역에서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채집된 불볼락 421 개체의 생식생태를 조사하였다. 불볼락의 체장범위는 13.8~31.8cm SL이었다. 불볼락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3월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 6월까지 감소하였다. 수컷의 경우 생식소중량지수는 2월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 감소하였다. 산란시기는 1~6월로 추정되었다. 불볼락의 암수간 성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x^2$-test, p>0.05). 불볼락 암컷의 최소성숙체장은 16.8cm였고 50% 성숙체장은 20.11 cm로 추정되었다. 모든 암컷은 25cm 이상의 성숙하였고 난경은 0.6~1.75mm의 범위를 보였다 포란수는 23,881~44,509개의 범위였고 평균 30,9377개 였다. 체장과 포란수의 관계식은 F=9.3762 SL$^{1.1662}$($R^2$=0.8120), 체중과 포란수의 관계식은 F=184.37 Ln(BW)-665.09($R^2$=0.8713)로 추정되었다.
The reproductive ecology of the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was examined using 421 specimens collected monthly from January to December 2005 in the coastal waters of Busan, Korea. Specimens ranged in standard length (SL) from 13.8 to 31.8 cm. The gonadosomatic index (GSI) of females was hi...
The reproductive ecology of the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was examined using 421 specimens collected monthly from January to December 2005 in the coastal waters of Busan, Korea. Specimens ranged in standard length (SL) from 13.8 to 31.8 cm. The gonadosomatic index (GSI) of females was highest in March and decreased until June. In males the GSI was the highest in February after that the values declined. The spawning season lasted from January to June, and the ratio of female to mal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x^2$-test, p>0.05). The length at first spawning was 16.8cm SL, and the size at 50% maturity was estimated at 20.11 cm SL. All females more than 25 cm SL were sexually mature and the egg diameters were from 0.60 to 1.75 mm. Fecundity (F) ranged from 23,881 to 44,509 eggs, with a mean of 30,937 eggs.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 and standard length was estimated as F=9.3762 $SL^{1.1662}$ ($R^2$=0.81).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 and body weight (BW) was estimated as F=184.37 Ln (BW) - 665.09 ($R^2$=0.87).
The reproductive ecology of the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was examined using 421 specimens collected monthly from January to December 2005 in the coastal waters of Busan, Korea. Specimens ranged in standard length (SL) from 13.8 to 31.8 cm. The gonadosomatic index (GSI) of females was highest in March and decreased until June. In males the GSI was the highest in February after that the values declined. The spawning season lasted from January to June, and the ratio of female to mal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x^2$-test, p>0.05). The length at first spawning was 16.8cm SL, and the size at 50% maturity was estimated at 20.11 cm SL. All females more than 25 cm SL were sexually mature and the egg diameters were from 0.60 to 1.75 mm. Fecundity (F) ranged from 23,881 to 44,509 eggs, with a mean of 30,937 eggs.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 and standard length was estimated as F=9.3762 $SL^{1.1662}$ ($R^2$=0.81).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 and body weight (BW) was estimated as F=184.37 Ln (BW) - 665.09 ($R^2$=0.87).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대부분의 해산경골어류의 경우 일반적으로 체외수정을 통한 난생의 생식방법을 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나, 체내수정을 통한 난태생 및 태생의 어류들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극히 단편적 이며 불충분한 점 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부산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불볼락의 생식소중량지수(GSI) 변화, 성비, 성숙도, 난경, 포란수를 조사하여 불볼락의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생태학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2). 어획된 시료는 ice box에 보관하여 즉시 실험실로 옮겨 각 개체의 체장 (0.1 mm)과 체중(0.01 g)을 측정하였다.
생식소 추출과정에서 암수를 구분하고, 간과 생식소를 추출하여 각각의 중량(0.01g)을 측정하였다. 생식소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 간중량지수 (hepatosomatic index, HSI), 비만도지수(conditi아ifacto如 CF)를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K也g, 2007).
대상 데이터
부산 주변해역에서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채집 된 불볼락 421개체의 생식생태를 조사하였다. 불볼락의 체 장범위는 以8~31.
본 연구에 사용된 불볼락 시료는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부산 주변해역에서 자망과 주낙을 사용하여 어획하였다(Fig. 1). 본 연구에 사용된 불볼락 시료는 암컷 201 개체, 수컷 220개체로 총 421개체였으며, 체장(standard length, SL)은 13.
1). 본 연구에 사용된 불볼락 시료는 암컷 201 개체, 수컷 220개체로 총 421개체였으며, 체장(standard length, SL)은 13.8~3L8cm의 범위를 보였다(Fig. 2). 어획된 시료는 ice box에 보관하여 즉시 실험실로 옮겨 각 개체의 체장 (0.
산란시기 동안의 난경 변화 및 포란수를 파악하기 위해 난소 성숙이 시작되는 1월부터 산출이 끝나는 6월까지의 암컷을 대상으로 난소 내 난경 조성 변화를 조사하였다(Fig. 6). 불볼락의 난은 성숙기 초기인 1월에 0.
데이터처리
각 개체의 생식소를 3개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한 난의 개수와 난경분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Kolmogorov-Smimov test, p>0.05), 성숙한 개체의 생식소 가운데 부분은 약 0.05 g을 추출하여 난경과 포란수를 측정하였다. 난의 직경은 0.
이론/모형
05 g을 추출하여 난경과 포란수를 측정하였다. 난의 직경은 0.1 mm 단위까지 해부현미경을 이용에서 측정하였고, 포란수는 난의 무게를 이용한 중량법 (gravimetric method)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성능/효과
3은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조사된 불볼락 암컷과 수컷의 GSI의 월별 변화를 보여준다. 암컷의 GSI값은 1월에 평균 0.77이었던 것이 증가하여 3월에 가장 높은 3.28을 나타내었고 5월까지 2.0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후 그 값은 급격히 감소하여 6월에 연중 가장 낮은 값(0.
24)을 보였다. 수컷의 GSI값은 1월에 평균 0.26이었던 것이 증가하여 2월에 연중 가장 높은 0.60을 나타낸 후 급격히 감소하여 4월부터 0.10 수준의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불볼락의 GSI의 월별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산란시기는 1월부터 6월 사이로 추정되며, 1 ~2월은 암수의 교미가 이루어지는 교미기와 알이 성숙하는 성숙기, 3~6월은 암컷 체내에서 알이 성장하고 부화하는 성장기 및 출산기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10 수준의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불볼락의 GSI의 월별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산란시기는 1월부터 6월 사이로 추정되며, 1 ~2월은 암수의 교미가 이루어지는 교미기와 알이 성숙하는 성숙기, 3~6월은 암컷 체내에서 알이 성장하고 부화하는 성장기 및 출산기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불볼락 암컷의 월별 간중량지수(HSI)와 비만도지수(CF) 의 변화양상을 조사한 결과(Fig. 4), 간중량지수의 평균값은 성숙기인 1월에 2.31 을 나타내었고 2월에 연중 가장 높은 2.80을 나타내었다. 이후 5월까지 점점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불볼락의 암컷과 수컷의 성비(우 : /)는 1: 1.09로 수컷이 암컷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Table 1), 암 . 수간 성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test, p>0.
09로 수컷이 암컷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Table 1), 암 . 수간 성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test, p>0.05). 월별 성비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면 성숙기(1 ~2월)와 산출기 (3~6월) 동안 수컷의 비율이 암컷보다 5 월을 제외하고 모두 높았으나, 그 외의 기간(7~ 12월) 에는암컷의 비율이 8월을 제외하고 모두 높게 나타났다.
05). 월별 성비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면 성숙기(1 ~2월)와 산출기 (3~6월) 동안 수컷의 비율이 암컷보다 5 월을 제외하고 모두 높았으나, 그 외의 기간(7~ 12월) 에는암컷의 비율이 8월을 제외하고 모두 높게 나타났다.
5에서 나타내었다. 불볼락 암컷은 체장 16.8cm 이상에서 성숙한 개체가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체장 25cm 이상부터는 모든 개체가 성숙하여 100% 성숙율을 나타났다. Logistic equation을 통하여 추정한 50% 군성숙체장은 20.
체장별 포란 수는 체장 16~["이에서 평균 24, 49挪, 18~ 19cm에서 평균 29.025개, 2。~21 cm에서 평균 37, 601개 그리고 25~30cm에서 평균 44, 100개를 나타내어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포란수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불볼락 암컷의 체장과 포란수 관계식은 F=9.
8i)로 나타났다. 체중별 포란수는 140~200 g에서 평균 27, 400개, 200 ~300g에서 33, 612개, 그리고 400~500g에서 44, 500개의 난을 가져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포란수 또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불볼락 암컷의 체중과 포란수 관계식은 F= 184.
체중별 포란수는 140~200 g에서 평균 27, 400개, 200 ~300g에서 33, 612개, 그리고 400~500g에서 44, 500개의 난을 가져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포란수 또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불볼락 암컷의 체중과 포란수 관계식은 F= 184.37Ln(BW)-665.09(R2=0.87)로 나타났다.
勿以, 1986). 본 연구에서 산란에 참여하는 불볼락의 체장을 알아보기 위해 산란시기인 1~6월의 암컷 109마리를 대상으로 최소성숙체장과 군성숙도를 조사해 본 결과 최소성숙 체 장은 16.8 cm, 50% 군성 숙체 장은 20.11 cm 이 었고 25 cm 이상의 개체에서는 100%의 군성숙도를 나타내었다. 이전에 이루어진 연구에서 불볼락 암컷은 17.
0cm의 크기군에서 50% 이상의 군 성숙도를 나타내었다(이 등, 1998). 따라서 불볼락은 만 2세인 약 17cm(SL) 내외의 크기에서 최소성숙체장에 이르며, 만 3세인 20cm(SL) 내외의 크기에서 50% 이상의 개체가 성숙, 만 5세 이상에서 100% 성숙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0cm에서 약 2~41만개의 포란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불볼락은 16.8 cm에서 23, 831개, 29.5 cm에서 44, 509개의 포란하여 평균 30, 937개의 포란수를 나타내었다(Table 2). 따라서 이들 3종에서는 수정된 난의 크기는 유사하였지만 상대적으로 체장이 큰 조피볼락이 가장 많은 포란 수를 가졌고 그 다음이 불볼락, 볼락 순이었다.
11cm로 추정되었다. 모든 암컷은 25cm 이상의 성숙하였고 난경은 0.6~ 1.75 mm의 범위를 보였다. 포란 수는 23,881 ~44,509개의 범위였고 평균 30,937개 였다.
그리고 생식소의 발달은 근육과 간에서 에너지 증가와 관련 있고 간과 근육에서 증가된 에너지 생식소가 더 발달함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불볼락 암컷의 간중량지수 (HSI)와 비만도지수(CF)는 성숙기인 2월과 3월에 가장 높았고 산출기동안 그 값이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Fig. 4). 따라서 이러한 변화는 성숙기에 많은 양과 고열량의 먹이를 섭식함으로 영양분을 간과 체내에 축적하여 체내에 자어를 품고 있는 동안 축적된 영양분을 사용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Aida, K, V. Nagama and T. Hibiya. 1973. Physical studies on the gonadal maturation of fish. I. Sexual difference in composition of plasma protein of ayu in relation to gonadal maturation. Bull. Jap. Soc. Sci. Fish., 39: 1091-1106.
Mizue, K. 1958. Studies on a scorpaenous fish Sebasticus marmoratus Curvier et valenciennes-II. The seasonal cycle of mature testis and the spermatogenesis. Bull. Fac. Fish. Nagasaki Univ., 6: 27-38.
Mori, H., M. Nakagawa, K Soyano and Y. Koya. 2003.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black rockfish Sebastes chlegeri in captivity. Fish. Sci., 69: 910-923.
Moyle, P.B. and J.J. Cech Jr. 1996. Fishes: An Introduction to Ichthyology. Prentice Hall. New Jersey, 590pp.
Ramon, D. and K. Bailey. 1996. Spawning seasonality of albacore, Thunnus alalunga, in the South Pacific Ocean. Fish. Bull., 94: 725-733.
Schmidt, D.J., M.R. Collins and D.M. Wyanski. 1993. Age, growth, maturity, and spawning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maculatus (Mitchill), from the Atlantic Coast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Fish. Bull., 91: 526-533.
Strum, M.G. de Land P. Salter. 1989. Age, growth and reproduction of the king mackerel Scomberomorus cavalla (Cuvier) in Trinidad waters. Fish. Bull., 88: 361-370.
Suzuki, T., K. Ouchi and K Ikehara. 1978. On the determination of the age and growth of Sebastes thompsoni. Bull. Jap. Sea Reg. Fish. Res. Lab., 29: 111-119. (in Japanese)
Suzuki, H.I., A.A. Agostinho and K.O. Winemiller. 2000. Relationship between oocyte morphology and reproductive strategy in loricariid catfishes of the Parana River, Brazil. J. Fish Biol., 57: 791-807.
Wotton, R.J. 1990. Ecology of Teleost Fishes. Champman Hall, New York, USA, 404pp.
Yamada, U., M. Tagawa, S. Kishida and K. Honjo. 1986. Fishes of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Seikai Reg. Fish. Res. Lab., 501pp. (in Japanese)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