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면도의 면적 변화와 연안침식지역 해안선의 속성 분포
Area Change and Coastline Attribute Distribution of Coastal Erosion Zone in Anmyondo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2 no.3, 2010년, pp.143 - 148  

김백운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초록

1910년대에 제작된 지형도와 2003년에 구축된 해안선 조사측량 DB를 비교하여 안면도의 해안선 길이 및 면적 변화와 해안선의 속성 분포를 산정하였다. 안면도의 해안선은 수많은 간척사업으로 단순화되어 58%정도 감소하였으나, 면적은 36%정도 증가하였다. 2003년에 자갈 해안선의 분포가 가장 우세하였다. 방조제 해안선의 길이도 전체 해안선의 33%에 달하였다. 자갈 해안선은 안면도 동측 해안에, 모래 해안선은 안면도 서측 해안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해안선 속성을 연안침식지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과거의 해안선이 요구되는 바, 1910년대에 제작된 지형도는 이러한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coastline length and land area as well as coastline attribute distribution in Anmyondo were quantified by comparing topographic map produced in 1910's with coastline survey database compiled in 2003. Numerous reclamation has simplified complicated coastline, which resulted in reducing co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와 같이 2003년 안면도 해안선의 속성 분포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였다. 나아가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해안선 속성 자료를 연안침식지역의 해안 특성을 파악하는데 이용하였다. 그러나 1915년 지형도에 기인한 연안침식지역의 정확도와 마찬가지로 연안침식지역의 해안선속성 분포의 정확도도 낮을 수 밖에 없다.
  • 그러나 해안선을 구분하는 속성자료가 수치화되어 있는 해안선조사측량 DB와 비교하여 해안선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GIS 환경 하에서 두 종류의 해안선 자료를 중첩 비교함으로써 해안선 변화와 연안침식지역을 정량적으로 조사하고, 침식지역을 2003년 해안선의 속성과 연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해안공학적인 측면에서 근세 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와 해안선조사측량 DB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과 기초조사 자료를 활용하는 수준에서 안면도의 연안침식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1910년대에 제작된 1:50,000 축척의 지형도와 2003년에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수행한 평택-안면지구 해안선조사 사업으로 구축된 1:5,000 축척의 해안선조사측량 DB를 이용하여 안면도의 장기간 지형변화를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GIS 환경 하에서 두 종류의 해안선 자료를 중첩 비교함으로써 해안선 변화와 연안침식지역을 정량적으로 조사하고, 침식지역을 2003년 해안선의 속성과 연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해안공학적인 측면에서 근세 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와 해안선조사측량 DB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거 안면도를 육지에서 섬으로 바꾸는 계기는 무엇이었는가? 우리나라에서 안면도는 인공적인 지형변화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존재하는 지역이다. 과거 고려 및 조선시대에 조운선의 해난사고를 피하기 위하여 태안반도 주변 연안에 운하 굴착을시도하였었고, 조선 인조때 수행된안면도 운하 굴착은 안면도를 육지에서 섬으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곽, 2009).
근세 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를 이용한 선행연구 중 진행된 적 없는 연구는 무엇인가? 김(2008), 노(2007), 범(2002), 배(2007), 이(1998) 등에서 근세 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를 활용하여 토지이용변화, 간척지와 하천습지의 변화, 지명과 행정구역의 변경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해안선을 구분하는 속성 자료가 수치화되어 있는 해안선조사측량 DB와 비교하여 해안선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GIS 환경 하에서 두 종류의 해안선 자료를 중첩 비교 함으로써 해안선 변화와 연안침식지역을 정량적으로 조사하고, 침식지역을 2003년 해안선의 속성과 연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 임시 토지 조사국에서 1910년대에 제작한 축척 1:50,000 지형도가 가치 있는 자료인 이유는 무엇인가? 범례에는 도로, 식생, 수계, 토지이용 등의 정보가 총 117종의 점, 선, 면의 기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2007)는 한글로 번역된 범례를 제시하였다. 이 지형도는 일본이 한반도를 수탈할 목적으로 제작하였으나 삼각망이 완비된 이후 근대적인 지도제작 방법에 의하여 한반도 전역을 대상으로 동일한 축척으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한일합병 이후에 간척이나 하천 및 산지의 개간에 의한 토지이용의 변화, 댐, 제방, 양·배수장과 같은 근대적인 수리시설이 설치되는 등 근대적인 변화가 시작되었으나, 구한말 한반도의 자연적인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는 자료이다. 따라서 본격적인 국토 개발로 변화된 오늘날의 한반도 지형과 비교하기에 매우 유용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대균 (2003). 해안사구의 물질 구성과 플라이스토세층. 대한지리학회지, 38(4), 505-517. 

  2. 강대균 (2004). 안면도의 해안지형과 경관-서쪽 해안을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1(3), 75-84. 

  3. 고의장, 이승곤 (2000). 태안 해안 국립공원의 관광 지형학적 특성. 지리학연구, 34(1), 27-37. 

  4. 곽호제 (2009). 고려-조선시대 태안반도 조운의 실태와 운하굴착. 지방사와 지방문화, 12(1), 301-325. 

  5. 노백호 (2007). 유역특성에 따른 한강하구 습지의 공간분포 및 변화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2(3), 344-354. 

  6.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4), 361-374. 

  7. 김백운, 이창경 (2009). 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 항공사진의 이용.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5), 371-379. 

  8. 김선희 (2008). 오만분일지형도에 나타난 20세기 초 한반도의 지명 분포와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3(1), 87-103. 

  9. 김성환 (2005).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 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0(4), 416-427. 

  10. 범선규 (2002). 영산강유역의 농경지개발에 따른 지형의 변화. 문화역사지리, 14(3), 37-54. 

  11. 배선학 (2007). 1910년대 지형도를 이용한 근대화 이후의 도시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 93-103. 

  12. 양태진 (1998). 근세 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 경인문화사. 

  13. 이경훈, 이윤균, 이성민 (2004). 수치지도상에서의 해안선 추출 및 국토면적 산정전략. 한국의 해안선 정립을 위한 워크숍 논문집, 75-79. 

  14. 이준선 (1998). 강릉지역의 저습지 개간과정. 문화역사지리, 10, 55-68. 

  15. 조동오, 장학봉 (2003). 바다모래 수급실태 및 관리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55 p. 

  16. 허철호, 최상훈 (2007). 관광지질학 활성화를 위한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 개발에 관한 연구-태안해안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8(1), 75-86. 

  17. 황세열, 서병덕, 진준호 (2004). 우리나라 해안선 조사측량 및 DB구축 현황. 한국의 해안선 정립을 위한 워크숍 논문집, 27-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